[완료]랜카드 두개인 PC에서 인터넷이 잘 안 되요 ㅜㅜ
리눅스를 처음 쓰는데 회사에서 클러스터를 구축할 일이 생겼습니다. ㅡㅜ
그런데 master의 두 랜카드가 충돌인지 인터넷이 됐다 말았다 합니다. ㅠㅡ
세부적으로 설명을 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기본적으로 master PC에서 외부 회선을 받아 내부의 허브를 통해 여러 대의 node로 연결되는 형태입니다.
master PC에는 따라서 두개의 랜카드가 있는데요
리눅스를 설치하니 하나는 e1000e / 하나는 intel 82574 라고 잡히고 각각 eth0/eth1로 잡힙니다.
eth0가 외부와 연결할 것이라 IP와 mask gateway, DNS 등을 설정하고, eth1에는 192.168.0.1의 내부 IP와 mask를 설정하였습니다.
그리고 나서 인터넷을 하면 내부 회사 네트워크의 컴은 보이는데 인터넷은 안됩니다. ping은 내부끼리만 가능합니다.
그래서 막 이것저것 만지다 보니 네트워크 설정에 있는 peth0를 지우거나 eth1의 내부 ip등을 변경하고 저장한 후에 바로 인터넷을 하면 인터넷 접속이 됩니다.
문제는 service network restart를 하거나 전원을 껐다켜면 처음과 똑같이 인터넷이 안 되게 됩니다.
또 좀 꺼림직한 것이 오른쪽 상단에 유선 네트워크가 잡혔다고 해서 열어보면 eth0나 eth1둘다 intel 82574로 잡혀있습니다. 네트워크 설정에는 두 개가 다르게 잡혀있는데 위에 나타나는 부분은 다르게 나타나 있습니다.
무엇이 문제일까요? 비슷한 문제를 겪으셨거나 해답을 아시는 분 답변 좀 꼭 부탁드리겠습니다.
* master의 대략적 스펙은 제온 5550 dual cpu이고 tyan s7025 보드입니다.
검색해보니 ifconfig eth1 192.168.0.10 up이라고 하니 해결되었다고 하던데 이것 역시 안 됩니다. <- 이 명령줄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도 알려주시면 더욱 감사드리겠습니다.
네트웍이 조금
네트웍이 조금 복잡해지면,
설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해 주셔야 합니다.
'인터넷이 된다' 라는 것은 보통 외부 네트웍과 통신이 된다는 얘기인데,
위에서 인터넷이 된다고 쓰신 문장에는 주어가 없습니다.
ifconfig 명령의 man페이지 정도는 숙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ifconfig 자체를 처음 써보셨다면, 아예 iproute 쪽을 사용하시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차라리 이쪽이 직관적입니다.
ᆫ랜카드를 여러개 달아서 충돌나는 경우는... 없다고 봐도 됩니다.
만약 그런 상황이라면 dmesg에 무언가 떴거나,
컴퓨터자체가 다운됐을지도 모릅니다.
그리고 아이피가 양쪽에 잘 들어간 상태에서 내부pc가 외부로 통신이 안된다면,
masquerade(혹은 SNAT) 설정이 잘 되었는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흔히 얘기하는 인터넷 공유 설정입니다. 위의 Master PC는 공유기의 역할을 하게 되는거죠.
구글에서 iptables, 인터넷공유, masquerade 등으로 검색해보시면 많이 나옵니다.
service network restart 를 하게 되면 네트웍이 안되는 이유는, 설정이 초기화 되기 때문입니다.
ifconfig 명령으로 설정한 것은 현재 상태에 반영되지만, 설정파일로 자동 저장 되지는 않습니다.
레드햇 계열의 네트웍 설정파일은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 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언제나 삽질 - http://tisphie.net/typo/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 - http://langdev.net
언제나 삽질 - http://tisphie.net/typo/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 - http://langdev.net
기본적인 것이 안 되는 상태입니다.
우선 답변 감사드립니다. OS는 centOS 5.5구요
인터넷이 안 되는 것은 마스터입니다. 노드와의 연결은 잘 되어 있습니다. 우선 노드와의 연결은 부차적인 문제입니다.
즉 외부와 마스터간의 연결이 왔다갔다 하는 것인데 아무래도 1을 외부와 연결하는 랜카드이고 0을 내부와 연결하는 랜카드라고 했을 때 이 두 개가 시동시나 서비스 리스타트시에 바뀌어 있는 상태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게 네트워크 설정에서 일정부분을 바꾸어주면 일시적으로 제대로 인식하다가 재가동을 시키면 다시 거꾸로 인식하는 것 같습니다.
말씀해주신 네트워크 설정부분의 파일을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ifcfg-eth0
# Please read /usr/share/doc/initscripts-*/sysconfig.txt
# for the documentation of these parameters.
TYPE=Ethernet
DEVICE=eth0
HWADDR=00:e0:81:b8:9f:9e
BOOTPROTO=none
BROADCAST=192.168.0.255
NETMASK=255.255.255.0
NETWORK=192.168.0.0
IPADDR=192.168.0.1
ONBOOT=yes
USERCTL=no
IPV6INIT=no
PEERDNS=yes
================================================
ifcfg-eth1
# Intel Corporation 82574L Gigabit Network Connection
TYPE=Ethernet
DEVICE=eth1
BOOTPROTO=none
HWADDR=00:E0:81:B8:9F:9F
IPADDR=10.178.198.154
IPV6INIT=no
IPV6_AUTOCONF=no
NETMASK=255.255.255.0
ONBOOT=yes
TYPE=Ethernet
PEERDNS=yes
USERCTL=no
GATEWAY=10.178.198.1
===============================================
ifcfg-lo
DEVICE=lo
IPADDR=127.0.0.1
NETMASK=255.0.0.0
NETWORK=127.0.0.0
# If you're having problems with gated making 127.0.0.0/8 a martian,
# you can change this to something else (255.255.255.255, for example)
BROADCAST=127.255.255.255
ONBOOT=yes
NAME=loopback
포맷도 다시해봤는데 잘 안 되더군요 ㅜㅜ
인터넷 될 때와 안 될때 변경내용 저장 후 저 파일의 내용이 바뀌었나 비교해보았으나 내용이 전혀 변하지 않았습니다.
eth0와 eth1의 HWADDR이
eth0와 eth1의 HWADDR이 같군요. 좀 이상해보이긴 합니다.내부 연결용 인터페이스를 다운 시키고
- ifdown 명령
하면 외부와 통신이 잘 되나요?
언제나 삽질 - http://tisphie.net/typo/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 - http://langdev.net
언제나 삽질 - http://tisphie.net/typo/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 - http://langdev.net
음..
에이..mac이 끝자리 하나 다른건 아마 dual port ethernet일거예요. ^^
둘다 9f인줄 알았네요
둘다 9f인줄 알았네요 -_-;;
어흑 쪽팔리게;;;
언제나 삽질 - http://tisphie.net/typo/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 - http://langdev.net
언제나 삽질 - http://tisphie.net/typo/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 - http://langdev.net
에 일단.. route 혹은
에 일단..
route 혹은 netstat -rn 을 실행하신 결과를 보여주세요.
gateway 설정을 다시 잡아주셔야 할 것 같고..정확하게 이야기하자면 eth1에 gateway 설정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왜냐면 내부에서 eth1 의 IP가 그 외의 내부 node들에서 사용할 gateway가 될테니까요. ^^
이후에 sysctl.conf 에
net.ipv4.ip_forward = 1
을 박아주시고 (0으로 되어있는 기본 설정이 있을테니까 변경을..)
그 다음에 iptables 의 masquerading 설정을 올리시면 될겁니다.
근데..그러니까..지금 하시려는 클러스터링이라는게 이게 어쨌거나 외부로 통신이 되셔야 하는 상황이니까 이렇게 하시는거잖아요? 그렇죠? (...) 그러니까 masquerading..
내부 상관없이 저
내부 상관없이 저 마스터라는 녀석이 통신이 안되는거래요;;;
언제나 삽질 - http://tisphie.net/typo/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 - http://langdev.net
언제나 삽질 - http://tisphie.net/typo/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 - http://langdev.net
ㅇㅇ
ㅇㅇ. gateway가 2개잖아요. 아마 routing이 꼬일거예요.
많은 분들 답변 감사드려요 ㅜㅡ
결국 fedora10으로 갈아탔습니다 ㅜㅜ
일단 마스터 노드의 네트웍까지는 잡혔네요..이것도 은근 삽질을 했지만 ㅜㅜ
왠지 centos가 안정적이고 기본적으로 클러스터를 지원하는 것 같아 끌렸는데 결국 fedora로 ㅜㅜ
답변 감사드리고요..또 문제 생기면 질문 드리겠습니다..정말로 다들 감사합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