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기로 NFS 설정...
질문) 리눅스 서버와 공유기의 어떤 설정을 어떻게 바꿔야 할까요??
|--------------------| |----------------------------|-------port 1------장비A 192.168.0.2 |Linux server | |공유기(외부IP) (내부 IP) | |165.10.10.10 |-------|165.10.10.11 192.168.0.1|-------port 2------장비B 192.168.0.3 |NFS 가능 | | | |A mount /nfs/rootA | | 공유기(IPTime) |-------port 3------장비C 192.168.0.4 |B mount /nfs/rootB | |----------------------------|
* 장비 A,B,C 에서 인터넷 잘됨
* 장비 A,B,C 에서 tftp 잘 가져옴.
* Mount 만 Fail
될듯될듯한데 안됨.....iptime 에서는 linux 전문가와 nfs 전문가가 없어서 답변이 어렵다고하네요...kldp 분들께 문의...
리눅스 서버와 공유기의 어떤 설정을 어떻게 바꿔야 할까요??
Linux개발서버(165.10.10.10) 공유기 WAN (165.10.10.11) 공유기 내부IP(192.168.0.1) -- LAN#1장비A번 (192.168.0.2)LAN#2장비B번 (192.168.0.3)LAN#3장비C번 (192.168.0.4)
문제는 이렇게 설정을 했을때 tftp 로 장비 1번이 서버 165.10.10.10 으로 부터 이미지는 가져오는데 nfs 를 붙이려고 하니 Error 가 납니다.
물론 공유기 없이 디이렉트로 붙이려고 하면 잘 붙습니다.
nfs 설정은 아래와 같이 export 파일에 수정되어있습니다.
물론 처음엔 192망이 아닌 165망에 바로 붙였지만 한대밖에 못붙이는게 좀 그래서...
공유기를 통해 여러대 붙이기위해서 아래처럼 여러개로 나누고 각각 붙이려고합니다.
vi etc/export
/nfs/root_A *.*.*.*(rw,sync)
/nfs/root_B *.*.*.*(rw,sync)
[root@linuxmanager1 ~]# vi /etc/sysconfig/nfs
LOCKD_TCPPORT=32803
LOCKD_UDPPORT=32769
STATD_PORT=662
MOUNTD_PORT=892
[root@linuxmanager1 ~]# /etc/init.d/nfs restart
[root@CHAMCHI ~]# rpcinfo -p
프로그램 버전 원형 포트
100000 2 tcp 111 portmapper
100000 2 udp 111 portmapper
100024 1 udp 893 status
100024 1 tcp 896 status
100011 1 udp 650 rquotad
100011 2 udp 650 rquotad
100011 1 tcp 653 rquotad
100011 2 tcp 653 rquotad
100003 2 udp 2049 nfs
100003 3 udp 2049 nfs
100003 4 udp 2049 nfs
100003 2 tcp 2049 nfs
100003 3 tcp 2049 nfs
100003 4 tcp 2049 nfs
100005 1 udp 892 mountd
100005 1 tcp 892 mountd
100005 2 udp 892 mountd
100005 2 tcp 892 mountd
100005 3 udp 892 mountd
100005 3 tcp 892 mountd
[root@CHAMCHI ~]#
공유기만 설정하면 될듯한데....
공유기에서 192.168.0.3 , 192.168.0.4 , 192.168.0.5 등등의 private 망이 165망과 어떻게 nfs 로 붙여 쓸수 있을까요???
1) 공유기 NFS 설정 가능할까요??
2) 가능하면 configuration 을 좀 부탁드립니다.
3) 포트포워드등 설정하는곳이 많으니 가능할듯하지 않나싶습니다. 확인 부탁꼭 드립니다.
========================LOG================================
아래성공로그예제
서버 165.10.10.10 장비 165.10.10.11
===========================================================
hub 1-1:1.0: 4 ports detected
usb 1-1: New USB device found, idVendor=0424, idProduct=2514
usb 1-1: New USB device strings: Mfr=0, Product=0, SerialNumber=0
e1000: eth0: e1000_watchdog: NIC Link is Up 100 Mbps Full Duplex, Flow Control: RX
IP-Config: Guessing netmask 255.255.0.0
IP-Config: Complete:
device=eth0, addr=165.10.10.11, mask=255.255.0.0, gw=255.255.255.255,
host=165.10.10.11, domain=, nis-domain=(none),
bootserver=255.255.255.255, rootserver=165.10.10.10, rootpath=
Looking up port of RPC 100003/2 on 165.10.10.10
Looking up port of RPC 100005/1 on 165.10.10.10
VFS: Mounted root (nfs filesystem).
Freeing unused kernel memory: 248k freed
init started: BusyBox v1.10.2 (2010-04-07 16:12:51 KST)
starting pid 560, tty '': '/etc/init.d/rcS'
Entering rc file
--->정상부팅.
========================LOG================================
아래실패 로그예제
서버 165.10.10.10 공유기 165.10.10.11/192.168.0.1 장비A 192.168.0.2 등등..
===========================================================
IP-Config: Complete:
device=eth0, addr=192.168.0.3, mask=255.255.255.0, gw=255.255.255.255,
host=192.168.0.3, domain=, nis-domain=(none),
bootserver=255.255.255.255, rootserver=165.10.10.10, rootpath=
Looking up port of RPC 100003/2 on 165.10.10.10
rpcbind: server 165.10.10.10 not responding, timed out
Root-NFS: Unable to get nfsd port number from server, using default
Looking up port of RPC 100005/1 on 165.10.10.10
rpcbind: server 165.10.10.10 not responding, timed out
Root-NFS: Unable to get mountd port number from server, using default
--> 에러
공유기 설정 시도 -> 포트포워딩 Fail....
규칙이름 내부 IP 프로토콜 외부 포트 내부포트
1 192.168.0.3 TCP 892 892
2 192.168.0.3 UDP 892 892
3 192.168.0.3 TCP 32803 32803
4 192.168.0.3 UDP 32769 32769
5 192.168.0.3 TCP 662 662
6 192.168.0.3 UDP 662 662
7 192.168.0.3 TCP 2049 2049
8 192.168.0.3 UDP 2049 2049
NFS는 보통 같은
NFS는 보통 같은 네트웍에서만 동작하도록 되어 있을텐데요. 공유기 문제라기보다는 보안 때문에 NFS 설정이 다른 네트웍 주소일 경우 거부하는게 아닐까 합니다.
클라이언트 측 A, B, C
NFS는 네트웍을 가리지 않습니다. 삼바가 ISP에서 포트를 기본적으로 모두 막아놔서 그렇죠.
클라이언트 측 A, B, C 컴에서 모두 portmap 데몬을 먼저 실행한 뒤 마운트 시도해 보시기 바랍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