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개의 ethernet interface에 하나의 IP address를 할당하면 어떻게 될까요?
오늘 동료랑 얘기하다가,,갑자기 궁금해져서 이런 걸 해봤습니다.
System에 eth0와 eth1이 있습니다.
eth0와 eth1은 서로 다른 network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eth0는 10.10.10.23 (mask 255.255.255.0) 이라는 ip adress를 가지고 있습니다.
eth1은 100.100.100.23 (mask 255.255.255.0) 이라는 ip address를 가지고 있습니다.
--아래에는 제가 해본 내용입니다.
1) eth0를 통해서 10.10.10.x network에 연결되어 있는 PC (예를 들어 10.10.10.25)로 ping을 보냅니다.
2) reply를 잘 받을 수 있었습니다.
3) eth1을 10.10.10.23으로 설정합니다. 즉 eth0과 같은 ip address를 가지도록 설정합니다.
4) 하지만,,,ping은 계속 잘 됩니다.
5) 이번에는 ifconfig eth0 down, ifconfig eth1 down으로 eth0, eth1 interface를 down했습니다.
6) ifconfig eth0 up, ifconfig eth1 up한 이후에 다시 ping 10.10.10.25를 실행해보니 계속 잘 됩니다.
7) 다시 ifconfig eth0 down, ifconfig eth1 down으로 eth0, eth1 interface를 down했습니다.
8) 이번에는 ifconfig eth1 up, ifcofnig eth0 up한 이후에 다시 ping 10.10.10.25를 해보니 안됩니다.
그래서 생각하는 것은 어떤 interface가 먼저 up되었는지에 연관이 있는 것 같습니다.
제가 이해하는 것이 맞는지요?
그리고 혹시 interface를 up하는 순서와 상관없이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조언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예를 들면 위의 8)번과 같은 절차로 eth1을 먼저 up하지만, ping이 되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지
에 여쭤보고 싶습니다.
조언 부탁 드립니다,,,감사합니다.
추측입니다만
6)와 8)의 경우 라우팅 테이블이 다르게 생성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즉, 6)의 경우 eth0에 대한 route가 우선순위가 높고 8)의 경우는 eth1에 대한 route가 우선순위가 높은 것이 아닐까 싶네요. (한번 확인해보시길... route나 netstat -r로)
두 경우 다 잘 되게 하려면 라우팅 테이블을 직접 적절히 편집하시면 될 듯 합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