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서버- RAID 0 사용중인 상태에서 오류 메세지
글쓴이: 망치 / 작성시간: 월, 2010/03/08 - 9:17오전
처음 부팅시엔 괜찮다가 레이드로 잡혀있는 파티션의 파일을 사용하다보면 어느순간 콘솔에 저 메세지가 계속해서 반복됩니다.
약 2~4초 주기로 비슷한 형식의 메세지가 계속 뜨네요..
뭘 확인해봐야 하는건가요? 그냥 badblocks 로 레이드로 잡힌 파티션을 검사해봐도 괜찮은건가요?
File attachments:
첨부 | 파일 크기 |
---|---|
![]() | 112.85 KB |
Forums:
네, 배드섹터요.
네, 배드섹터요. 하드를 어레이에서 뺐다가 다시 넣으세요 그러면 resync하면서 괜찮아질거에요. 그러고 나서도 또 그러면 하드를 버리시구요.
--추가--
헉 RAID0로군요. 하드디스크가 저 섹터는 못 읽는 건데, 그 섹터를 안 쓰거나 해당 섹터를 덮어서 써줘야합니다. e2fsck를 -c 옵션을 주고 돌리면 알아서 할겁니다. RAID0는 왠만하면 피하세요 그냥 하드도 불안한데 위험도를 두배로 올려서 사용하긴 -_-;;;;
오늘 다시 싹 밀고,
오늘 다시 싹 밀고, RAID 1 로 새로 셋팅했습니다.
내일쯤 badblocks 로 싹 검사해볼 생각입니다.
그런데 디스크에 문제가 있더라도 badblocks 로 안잡히는 경우도 있던데, badblocks 말고 좀 더 정말하게 테스트할만한 프로그램도 있나요?
---------------------------------------
http://www.waitfor.com/
---------------------------------------
http://www.waitfor.com/
http://www.textmud.com/
smart long 테스트 같은
smart long 테스트 같은 거 거시는 게 더 낫고 백그라운드로 되서 편합니다. (man smartctl) 그런데 그렇다고 해서 하드가 죽을 걸 미리 알 수 있다거나 하는 건 아니고, 현 상태에서는 다 읽을 수 있고 별 문제가 없어보이더라 정도입니다. 그리고 R1 어레이를 새로 만드셨으면 resync하면서 전체를 다 쓰니 아마 예전의 배드블럭들은 없어졌을겁니다. 잃어버리면 스트레스 받을 데이터를 다룰 경우 다음 정도를 하면 대게의 경우 안전합니다.
* Redundancy가 있는 설정사용 - R1/5/10등
* 가끔씩 smart 검사
* 주기적인 백업 - 하드디스크를 하나 더 달고 rdiff-backup같은 걸로 매일 백업하면 편합니다. 시간도 얼마 안걸리고 타임머신처럼 일정 기간동안(두달이라던지) 매일의 스냅샷을 보관해줍니다.
백업이 꼭 필요한게, 어레이를 사용하면 개별 디스크의 실패로부터는 확률적으로 충분히 안전해집니다만 (두개 디스크의 실패가 겹쳐야 하니까 R1의 경우 위험도가 1/2보다 훨씬 더 낮아집니다, 반면 stripe 어레이의 경우 위험도는 *n 됩니다) 두개의 디스크에 동시에 발생할 수 있는 실패로부터는 안전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PSU 실패로 인한 (꽤 흔해요 이거) 순간적인 전원 강하가 발생하는 경우, 디스크가 쓰기 중이면 쓰기 버퍼에 있는 내용을 까먹을 수 있습니다. 호스트쪽에선 그냥 링크가 잠깐 나갔다 들어온 걸로 보이기 때문에 리셋시키고 계속 진행하게되는데, 화일시스템을 체계적으로 말아먹을 가능성이 꽤 높습니다. 더 간단하게는 rm -rf /도 있구요.
물론 늘 다시 구할 수 있는 데이터의 경우엔 레이드만으로도 하드디스크 죽어서 재설치해야하는 귀찮음은 충분히 피할 수 있습니다.
오늘 raid0 으로
오늘 raid0 으로 묶여있던 두개의 하드를 모두 badblocks 로 테스트했습니다.
일단 첫번째 하드디스크는 문제 없다고 나왔고 두번째 디스크 검사 되는거 보고 퇴근했었는데
내일은 smartctl 로 테스트를 해봐야겠네요.
rdiff-backup 도 확인해봐야겠습니다.
조언 감사드립니다.
---------------------------------------
http://www.waitfor.com/
---------------------------------------
http://www.waitfor.com/
http://www.textmud.com/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