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료] 로드발란서의 작동방식은 어떤 형태인가요 ?
글쓴이: ljh0431 / 작성시간: 토, 2010/01/23 - 12:39오전
로드발란서의 작동방식에 궁금한 점이 많습니다.
라우터가 있고 그 다음 로드발란서가 있고 로드발란서 밑에 web server 3대가 있다고 가정할 경우,
클라이언트가 접속하는 ip는 로드발란서의 VIP(가상)로 접속이 되고 로드발란서가 이 후 web server로의 접속을 통제한다고
책을 통해 해석했습니다. 이때 로드발란서의 작동방식은 어떻게 구현되는 건가요 ?
부하분산을 시도하는 로드발란서의 경우,내부적으로 web에 접속할 경우 공유기처럼 공인ip와 port를 기억하고 있다가 서버로
부터 오는 data를 로드발란서가 받아서 기억하고 있던 client에게 data를 전달하나요 ?
로드발란서가 마치 공유기+트래픽조정(부하분산)형태로 있는 것 같습니다.
어떻게 해석해야 하나요 ?
궁금합니다.
Forums:
네 님이
네 님이 말씀하신대로입니다.
하지만 몇가지 다른 종류가 더 있습니다.
( 리눅스의 lvs의경우.. 다른 것은 어떤지 모르겠네요..^^; )
님이 말씀하신것은 NAT인데요.
NAT외에도 Tunneling, Direct 방식이 있습니다.
( 이름이 이게 맞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
tunneling은 lvs서버와 실제 웹서버(물리적으로 먼 곳에 있다고 하더라도...)가 vpn연결이 되어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러니 패킷은
클라이언트 -> lvs서버 -> 실제웹서버 -> 클라이언트
이렇게 되겠지요.
그다음 direct는 nat방식과 많이 유사하나
웹 서버에 사설ip 이외에 공인ip를 hidden으로 설정해놓고 이 hidden ip로 직접 패킷을 보내는 것 이지요.
그러니 패킷은
클라이언트 -> lvs서버 -> 실제웹서버 -> 클라이언트
위 tunneling방식과 같지만 direct방식은 동일 네트웍상에 있어야 합니다.
님 글에 적혀있지만 NAT의 경우 패킷의 흐름은
클라이언트 -> lvs서버 -> 웹서버 -> lvs서버 -> 클라이언트
입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