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통신과 관련해서 문의 드립니다.(뜬금 없으시겠지만 답답해서 올려봅니다.)
글쓴이: koreteck / 작성시간: 수, 2010/01/06 - 9:50오후
소켓 통신과 관련해서 문의 드립니다.
일전에 한번 같은 네트워크 대역폭에서 두개의 NIC 사용과 관련해서 글을 올린적이 있습니다.(http://kldp.org/node/108625)
그 해결책을 가지고 윈도우로 포팅 중인데, 윈도우에서는 setsockopt에서 SO_BINDTODEVICE를 지원하지 않네요.
열심히 구글링 중인데, 답이 안나와 KLDP에 문의 드려 봅니다.
리눅스 개발자라고 죽어라 리눅스만 하는 분들의 거의 없을 것 같아서요. :)
윈도우에 두개의 NIC 카드가 있습니다. 이 중 하나의 소켓에서 하나의 NIC을 지정해서 그것만으로 통신을 시도하고 싶습니다.
경험이 있는 분들이 있으시면 자문 부탁드리겠습니다.
그럼 좋은 하루 되세요.
Forums:
리눅스건 윈도건...
리눅스건 윈도건... 대역을 나누고 netmask 를 제대로 만들어 주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한 라우팅 문제라 생각합니다.
eth0, 1.1.1.2/255.255.255.254
eth1, 1.1.1.4/255.255.255.254
eth2, 1.1.1.6/255.255.255.254
eth3, 1.1.1.8/255.255.255.254
정도로만 해도
RAID장비는 1.1.1.3 으로 eth0 에 붙이고
카메라장비는 1.1.1.5 로 eth1 에 붙이고
모니터장비는 1.1.1.7 로 eth2 에 붙이고
기타장비는 1.1.1.9 로eth3 에 붙이면
리눅스서버에서 뿐만 아니라 각 장비들끼리도 문제없이 모두 접근할 수 있지않을까요 ?
OTL
네 일단
네 일단 이론적으로는 맞습니다.
그런데 실제 운영을 해보면 리눅스의 경우 IP를 달리해도
처음 커널에서 인지하는 NIC카드를 대표로 잡아 하나의 NIC을 통해서만 통신하더군요.(http://kldp.org/node/108625)
리눅스의 경우 각 NIC과 IP를 SO_BINDTODEVICE 옵션으로 (하드하게) 묶어주는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eth0 = 1.1.1.2/255.255.255.254
eth1 = 1.1.1.4/255.255.255.254
윈도우도 동일할 거라고 생각했는데 bushi님 말씀을 듣고 곰곰히 생각해보니
윈도우에서 같은 대역폭의 IP를 동시에 두 개 쓰는 경우가 있나요?
저 같은 경우는 한번도 없었는데, 다른 분들은 어떠신가요?
ifconfig(ipconfig), route
ifconfig(ipconfig), route 명령등의 결과물을 보시고,
netmask 와 라우팅 테이블이 어떻게 엉켰는지 따져보세요.
OTL
bind 함수를 사용해도
bind 함수를 사용해도 그런가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