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 질문입니다. fetch할경우
글쓴이: qodwlql / 작성시간: 목, 2009/12/31 - 1:31오후
PRO*C에서
FETCH를 해서 호스트변수에 값을 넣어주엇습니다.
그리고
if (sqlca.sqlcode == DB_ACCESS_OK) {
iFetch_Cnt = FETCH_ARR_CNT;
}
else {
iFetch_Cnt = (sqlca.sqlerrd[2] % FETCH_ARR_CNT);
}
이런식으로 되있을경우에
이 소스가 이해가 안되서그러는데 어떤설명인가요 ㅠ
또한 왜
sqlca.sqlcode != 0 && sqlca.sqlcode != 1403
이걸로 if문을 해주는 건지 궁금합니다
저게 무슨소리인가요
Forums:
오라클이 이런걸보면
오라클이 이런걸보면 개인적으로 코드체계가 마음에 안드는부분이기도한데요..
위는 아마도 구조체 배열패치했을것이고
DB_ACCESS_OK 일때 배열에곽찬경우이고
그렇지 않을경우 배열의갯수로 전체패치갯수의 나머지수가 바로 자투리카운터일것이므로 마지막 패치맏은갯수입니다.
즉 현재배열에 담겨져오는 데이터의 갯수를 구하는것이지요.
아래 질문에대해서는
sqlca.sqlcode != 0 && sqlca.sqlcode != 1403
란것은 정상(0)이 아니면서 찾지못하는것(1403)이 아닌경우..
즉, 오류에의해 조회되지 못하는경우 처리하기 위함입니다.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ㅠㅠㅠ
그렇다면 DB_ACCESS_OK 이것이 0 이라면 만약에
0이 아닐때에는 어떤 SQLCA.SQLCODE가 떨어지는지 아시는지요?ㅠㅠ
안녕하세요
0 이 아닐때 말그대로
0 이 아닐때 말그대로 0 이외의 모든값이겠죠..
-값부터 1403등 무수히 많습니다.
oracle sqlcode 로 구글해보세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