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와인에 호환될 수 있도록 윈도우 프로그래밍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특정한 폰트가 없으면 와인에서 제대로 돌아가지 않을 때가 많더군요.
특정한 폰트이름을 하드코딩 하는 대신 리눅스의 그것처럼 가상폰트(sans, serif 등)를 지정하는 방법 처럼 일반적이게 프로그래밍 하는 방법이 있습니까?
질문이 부족했던 것 같습니다.
질문의 요지는 와인에서의 설정 방법을 묻는 것이 아니고 윈도우 프로그래밍 방법을 묻는 것이었습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특정 폰트에 구속되지 않고 제네릭하게 폰트를 지정하여 코딩해 넣는 방법을 알고 싶은 것입니다. 아니면 그런 폰트에 해당하는 이름이라도요.
이를테면, 장식없는 폰트패밀리(고딕 또는 산세리프계열 영문폰트)를 지정하기 위해 리눅스에서는 가상폰트인 Sans serif 를 지정합니다. 그와같이 윈도우에서도 그에 해당하는 대표폰트이름이나 방법이 있는 지 알고 싶습니다.
윈도우에서도 비슷한 개념을 사용합니다.
serif, sans-serif하고 비슷하지만 일치하지는 않고, 폰트 하나에다가 다국어 폰트를 묶어놓는 형식이더군요.
가령 '굴림'을 쓰면 다른 언어의 sans 폰트들과 연결이 됩니다. ( 참고: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FontLink\SystemLink )
그러니까 그냥 윈도우 기본 폰트 쓰시면 될겁니다.
rc파일에 보면 폰트가 지정되어있습니다.
즐린
그리고 그걸 wine 설정에서 다른 폰트로 매핑해주면됩니다.,
~/.wine/system.reg 을 regedit로 편집하거나 수동으로
"MS Shell Dlg"="Tahoma"
"MS Shell Dlg 2"="Tahoma"
를
"MS Shell Dlg"="Gulim"
"MS Shell Dlg 2"="Gulim"
이런 식으로 고쳐주면 됩니다.
http://kldp.org/node/58467
참고하세여
즐린
질문이 부족했던 것
질문이 부족했던 것 같습니다.
질문의 요지는 와인에서의 설정 방법을 묻는 것이 아니고 윈도우 프로그래밍 방법을 묻는 것이었습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특정 폰트에 구속되지 않고 제네릭하게 폰트를 지정하여 코딩해 넣는 방법을 알고 싶은 것입니다. 아니면 그런 폰트에 해당하는 이름이라도요.
이를테면, 장식없는 폰트패밀리(고딕 또는 산세리프계열 영문폰트)를 지정하기 위해 리눅스에서는 가상폰트인 Sans serif 를 지정합니다. 그와같이 윈도우에서도 그에 해당하는 대표폰트이름이나 방법이 있는 지 알고 싶습니다.
화이팅(fighting) 말고 화이트닝(whitening) 하면 안되나요.
윈도우에서도 비슷한
윈도우에서도 비슷한 개념을 사용합니다.
serif, sans-serif하고 비슷하지만 일치하지는 않고, 폰트 하나에다가 다국어 폰트를 묶어놓는 형식이더군요.
가령 '굴림'을 쓰면 다른 언어의 sans 폰트들과 연결이 됩니다. ( 참고: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FontLink\SystemLink )
그러니까 그냥 윈도우 기본 폰트 쓰시면 될겁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화이팅(fighting) 말고 화이트닝(whitening) 하면 안되나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