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cron 관련 질문 입니다.
안녕하세요. 전 it회사의 시스템엔지니어 입니다^^;
질문하나 드리겠습니다.
cron 에 작업을 등록할때..
1. vi /etc/crontab 이용할수가있고, 또 하나의 방법은
2. crontab -e 명령을 통해서 작업을 예약등록 할 수가 있습니다.
여기서 부터 질문입니다..
1, 2 번의 차이를 알고 싶습니다.
1번과 같은경우는 58 23 * * * root /usr/local/webalizer/bin/webalizer.sh 와같이 /etc/crontab 에 서비스를 등록하면 당연히 실행되는 것은 당연하고,
또한 cron 로그를 봐도 클론에 의하여 스크립트가 실행됐다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스크립트에 따라서 어떤스크립트를 실행이 되어도 실질적인 작업이 이루워지진 않습니다.
가령 webalizer.sh있는 /usr/local/webalizer/bin/webalizer -c /usr/local/webalizer/etc/jb.conf > /aa/weblog/jb.hist 가 클론에 의해서 실행은 되었지만, 실질적인 작업은 이루어지지않았다는 것입니다.
콜손에서 바로 root@localhost#/usr/local/webalizer/bin/webalizer -c /usr/local/webalizer/etc/jb.conf > /aa/weblog/jb.hist 명령을 내린다면.. 원하는 결과를 얻을수가 있구요..
제가 말을 좀 어렵게 썻을수 있으나, 간단히 말하자면 cron에서 스크립트는 실행되지만, 클론에서 실행한 스크립트는 실행안된것과 같은 결과를 낳으며,
콘솔에서 바로 스크립트를 실행한다면, 실행된다는 것이죠~
저는 클론으로 반드시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방법을 찾았는데,,
2번의 crontab -e 로 59 23 * * * su - root - c '/usr/local/webalizer/bin/webalizer.sh' 와같이 등록한다면 클론이 정상적으로 명령을 실행시키더군요.
/var/log/cron 로그를 확인해 보면 1번(vi /etc/crontab),2번(crontab -e)은 똑 같이 실행됬다고나오지만, 결과는 2번만 실행된거죠..
1, 2번의차이가 있는듯 싶은데,,답변부탁 드립니다.
cron 관련 질문이라는 점을 제목에서 알수 있게 하면 댓글이 달릴 가능성이 높아질 것 같습니다.
일단 제가 보기에 두 경우의 차이는 root login shell을 실행했는가?의 차이입니다.
1,2 번 둘다 root권한으로 webalizer.sh을 실행한 것은 동일하나, 2번의 경우 webalizer.sh 실행 전 su -를 사용함으로써, webalizer.sh 실행하기 전, login shell을 실행합니다.
즉 login shell을 실행함으로써, root의 login script들을 자동으로 먼저 실행합니다.(login script내 여러 환경 변수들 설정도 적용)
man su 한 후, - option을 살펴보면 세부적인 내용을 알수 있습니다.
ps)
/etc/crontab은 system-wide한 설정파일이고,
crontab -e( 사용자별 설정)로 추가하는 경우, /var/spool/cron/crontabs/ 디렉토리에 저장(vixie-cron, ubuntu 경우)
^^
답변감사 드립니다.
매번 저를 삽질하게 만드는 리눅스 입니다.
ㅡㅡ;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