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다면, 어디에서 사용이 되어야 할지도 쉽게 추축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먼저, 몇가지 가정 혹은 주변상황이 갖추어주어야 더욱더 활성화가 될 것입니다.
1. 통신은 All-IP 기반으로 간다.
2. IPv4 로 해결하지 못 하는 문제(주소 부족, 네트워크 성능 저하, 기본 end-to-end 통신 보안 문제)로 인해 IPv6 로 이동 한다.
대략, 위의 2개의 가정(혹은 주변 정황)이 확실해져야 더더욱 IPv6 기반의 모빌리티 프로토콜들(MIPv6, FMIPv6, HMIPv6, PMIPv6, NEMO)이 활성화 될 것입니다.
활성화가 되어 있지 않다고요? 으흠, 필드 혹은 앤드개발자/망 관리자 입장에서는 전혀 피부로 다가오지 않을것입니다. 하지만, 정말 많은 인력이 달라 붙어서 연구를 진행 했으며 지금도 진행 중입니다. 이러한 연구가 5-10년 안에 이루어질 상용화(필드에서의 운용)에 밑거름이 되겠죠.
음...좀 더 현실적인 예을 들어 달라고 하신다면, WiMAX 의 표준 모빌리티 프로토콜로는 PMIPv6 가 사용 될 것입니다. 백본단의 머신에서는 IPv6 로 연결되고 앤드단(단말기와 액세스라우터)은 IPv4 로 당분간 운용이 되다가 IPv6 로 완죤 전이 하겠죠.
참고로 NEMO (개별적인 단말기에 대한 모빌리티 지원이 아닌, 네트워크 단위의 모빌리티 지원 프로토콜) 기반의 이동성 문제도 큰 이슈입니다. 차량이나 기차 혹은 비행기 등등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이루게 되게 이것들이 이동이 될 때...효율적인 주소 바인딩 문제와 패킷 전송(라우트 옵티마이징)이 더더욱 큰 이슈가 됩니다.
아무튼 반갑네요. ^^ 저는 현재 INRIA (프랑스 국립 연구소) 에서 NEMO 기반의 통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표준화 문서를 보시는게.
표준화 문서들(IETF RFC)을 보시는게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Mobile IP 라고 하셨는데, Mobile IPv6 라고 가정하고, 구현물을 찾으시는 것이라면 UMIP 구현물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최근 리눅스 커널에는 기본적으로 Mobile IPv6 에 대한 코드가 탑재 되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실제로 많이 사용되는지도 알고 싶던데요.
혹시 그런 정보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Internet을 보면 대부분 예전자료여서, 혹시 요즘에는 잘 사용이 안되는 기술이라거나
또는, Mobile IPv6로 관심이 옮겨져서 Mobile IP로만 검색하면 이전의 자료가 보이는 것인지,
그런 것도 궁금하던데요, 딱히 물어볼 사람을 못찾았었습니다. ^^
혹시 이런 궁금함에 대해서도 조언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왜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이 필요 한지는 아시겠고요...
그렇다면, 어디에서 사용이 되어야 할지도 쉽게 추축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먼저, 몇가지 가정 혹은 주변상황이 갖추어주어야 더욱더 활성화가 될 것입니다.
1. 통신은 All-IP 기반으로 간다.
2. IPv4 로 해결하지 못 하는 문제(주소 부족, 네트워크 성능 저하, 기본 end-to-end 통신 보안 문제)로 인해 IPv6 로 이동 한다.
대략, 위의 2개의 가정(혹은 주변 정황)이 확실해져야 더더욱 IPv6 기반의 모빌리티 프로토콜들(MIPv6, FMIPv6, HMIPv6, PMIPv6, NEMO)이 활성화 될 것입니다.
활성화가 되어 있지 않다고요? 으흠, 필드 혹은 앤드개발자/망 관리자 입장에서는 전혀 피부로 다가오지 않을것입니다. 하지만, 정말 많은 인력이 달라 붙어서 연구를 진행 했으며 지금도 진행 중입니다. 이러한 연구가 5-10년 안에 이루어질 상용화(필드에서의 운용)에 밑거름이 되겠죠.
음...좀 더 현실적인 예을 들어 달라고 하신다면, WiMAX 의 표준 모빌리티 프로토콜로는 PMIPv6 가 사용 될 것입니다. 백본단의 머신에서는 IPv6 로 연결되고 앤드단(단말기와 액세스라우터)은 IPv4 로 당분간 운용이 되다가 IPv6 로 완죤 전이 하겠죠.
참고로 NEMO (개별적인 단말기에 대한 모빌리티 지원이 아닌, 네트워크 단위의 모빌리티 지원 프로토콜) 기반의 이동성 문제도 큰 이슈입니다. 차량이나 기차 혹은 비행기 등등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이루게 되게 이것들이 이동이 될 때...효율적인 주소 바인딩 문제와 패킷 전송(라우트 옵티마이징)이 더더욱 큰 이슈가 됩니다.
아무튼 반갑네요. ^^ 저는 현재 INRIA (프랑스 국립 연구소) 에서 NEMO 기반의 통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네 정말 반갑습니다.
이렇게 설명을 듣고 나니, 더 공부를 열심히 해야겠다 싶네요.
앞으로도 더 질문을 올릴지도 모르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