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료] 잘 알려진 프로토콜 중에 TCP와 UDP를 같이 사용하는 프로토콜 좀 소개 부탁 드립니다.
글쓴이: mandugukbap / 작성시간: 월, 2009/06/08 - 1:41오전
eDonkey에 대한 분석을 하려고 하는데, eDonkey처럼 UDP와 TCP를 병행해서 사용하는 잘 알려진 프로토콜이 있을까요? VoIP나 멀티미디어용 프로토콜들은 시그널링용과 데이터 전송용으로 UDP와 TCP의 역활을 나누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eDonkey처럼 같은 역활에 대해 TCP와 UDP를 병행하는 프로토콜이 또 있을까요?
Forums:
DNS가 동시에 씁니다.
TCP/UDP를 53포트로 보냅니다.
zone정보는 전송손실를 대비해서 TCP로 일반정보는 UDP로 보냅니다.
그 외에는 없을 듯 합니다.
-------
추가합니다.
SNMP, NTP등도 있군요.
아래를 참조하세요. 생각보다 많습니다. -.-;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TCP_and_UDP_port_numbers
답변 감사드립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DNS에서 zone 정보를 보내는 것은 서버 사이의 데이터 전송이겠지요? 예컨대,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TCP 정보가 오가는 일도 있을까요?
네. 있습니다. 질의
네. 있습니다.
질의 결과가 일정 사이즈보다 크면(이 수치는 까먹었네요 ㅡ.ㅡ;;;) tcp 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아마 KLDP 에서 검색하면 나올겁니다.
udp 패킷 사이즈인
udp 패킷 사이즈인 512byte를 넘기면 tcp로 통신합니다.
여담으로 루트서버가 13대인 이유가 512byte안에 루트서버의 정보를 담기 위해서입니다.
그래서 루트서버의 미러서버 운영은 anycast를 이용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http://star4u.org
http://mirror.star4u.org
제가 이해한 바에
제가 이해한 바에 의하면 eDonkey 프로토콜의 경우 서버-서버, 서버-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클라이언트간의 통신에 각각 UDP와 TCP를 통한 전송이 일어나는 것 같습니다. (!아직은 확실하지 않습니다만.)
걔다가 TCP와 UDP패킷의 사이의 차이점이 거의 없는 TAG들이 많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런 비슷한 개념의 프로토콜이 또 있을까요? 즉, 서버-서버, 서버-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클라이언트 구별없이 또한 시그널링과 데이터 전송의 구별 없이 데이터의 Chunk유무(또는 Firewall등의 다른 이유에 의해서라도)에 따라 같은 목적의 패킷을 TCP 또는 UDP를 통해 전송하는 프로토콜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RTSP 프로토콜도 있는 것 같네요.
참고 : RFC 2326 (http://www.ietf.org/rfc/rfc2326.txt)
http://www.ietf.org/rfc/rfc2326.txt
There is no notion of an RTSP connection; instead, a server maintains
a session labeled by an identifier. An RTSP session is in no way tied
to a transport-level connection such as a TCP connection. During an
RTSP session, an RTSP client may open and close many reliable
transport connections to the server to issue RTSP requests.
Alternatively, it may use a connectionless transport protocol such as
UDP.
답변 감사드립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DNS 데이터그램은 포인터를 이용해 정보를 줄이는 압축형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렇게 해서도 512를 넘는 경우가 있는거군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