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료] 리눅스 서버 사용자 관리에 대해서
글쓴이: jiggol / 작성시간: 토, 2009/05/30 - 3:11오후
웹서버를 관리하는데 웹마스터를 겸하고 있어서 홈페이지 소스파일들을 수정해야 할 일들이 있습니다.
ssh 접속하여 작업을 합니다. root 로 바로 로그인 하는 것은 막아두어
일반 계정으로 접속 후에 su - 로 루트로 전환하여 작업을 해왔는데요
root 로 작업하는게 좀 위험하기도 하고, vim이 아직 익숙치 않아서 WinSCP 를 이용해서 작업을 할려고 하는데 su - 가 먹히질 않아서
기존 로그인 하는 일반 계정을 이용해서 작업을 하려 합니다. 물론 root 로 로긴 가능하게 풀어놓으면 되겠지만
아무래도 위험하겠죠.
홈페이지 소스는 이전에 다른 업체가 개발을 해서 도큐먼트 루트 이하 전부다. 제가 접속하는 일반계정이 아닌 다른 일반계정으로 소유자가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제가 사용하는 일반계정으로는 접근이 불가 합니다. 그렇다고 소유자를 제가 접속하는 일반계정으로 변경을 하자니 가끔 그 업체에 의뢰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가 간간히 있습니다.
그렇다면 소유자는 그대로 놓아두고 그룹을 하나 생성 해서 홈페이지 개발업체의 일반 계정과, 제가 로긴할때 사용하는 일반 계정이
둘다 rwx(그룹권한을 줘서) 작업이 가능하게끔 하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그냥 Other 에게 rwx 를 줘 버리는게 좋을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Forums:
acl을 쓰시죠.
소유자는 현재대로 놔두고 acl을 쓰시죠. 복잡하게 그룹 권한 등을 건드리는 것보다 훨씬 편할 겁니다.
sombody한테 rw 권한을 주려면
setfacl -m u:somebody:rw somefile
특정 디렉토리에 새로 생성되는 파일에도 동일한 권한을 부여하려면(즉, 디폴트 권한을 설정하려면)
setfacl -m d:u:sombody:rwx somedir
이렇게 지정해놓으면 somedir 밑에 새로 생성되는 파일은 rw, 디렉토리는 rwx 권한을 자동으로 갖게 됩니다.
--
academic은 제 고등학교 때 동아리 이름입니다.
academic, 아주 가끔은 저도 이랬으면 좋겠습니다.
----
academic은 제 고등학교 때 동아리 이름입니다.
academic, 아주 가끔은 저도 이랬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조언 감사합니다.
acl 에 대해서 좀 더 알아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