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 IP 웹서버 설정 질문 드립니다.
저는 현재 ubuntu 8.10 상에서 유동 ip 웹서버를 집에서 돌리려고 시도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저의 부모님이 살고 있는 광명시에서 웹서버를 설치해 돌리면 외부에서
정상적으로 저의 웹서버로 접속이 이루어지는데 반해, 현재 제가 살고 있는 서울의
봉천동 저의 집에서 똑같이 설정한 상태에서, 외부에서 저의 웹서버로 접속이 이루
어지지 않고 있다는데 있습니다.
일단은, 테스트를 간단히 하기 위해, '두 집의 경우 모두' 공유기 기능은 끄고, 집에 연결
되어 있는 '랜접속 단자에 직접 연결'해 테스트를 시행했습니다. 다이내믹 DNS 서비스는
kr.dnsever.com을 이용했습니다.
먼저 외부에서의 웹 접속에 성공한 저의 부모님댁의 경우를 먼저 설명드리면, 한빛 인터넷의
케이블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이때 ifconfig 명령을 내리면 inet addr:124.199.177.33 이라 나오고요, 현재의 자신의 ip
주소를 알려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www.whatismyipaddress.com 에 접속해도 마찬가지로
현재의 저의 ip 접속 주소가 124.199.177.33 라고 나옵니다. 이 상태에서
kr.dnsever.com의 DDNS 설정을 124.199.177.33 이라고 설정한 후에, 저의 웹서버 접속을
시도하면 정상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집니다.
반면에, 봉천동 저의 집에서는 KT 메가패스를 이용하고 있는데요,
ifconfig 명령을 내리면 inet addr:192.168.20.6 이라 나옵니다. 이때 이상한 것은,
공유기를 이용하지 않고, 저의 방의 랜접속 단자에 직접 랜선을 연결했는데도 사설 ip 주소인
192.168. xxx.xxx 대가 나온다는 것입니다.
어쨋든 이 상태에서 www.whatismyipaddress.com 에 접속하면 222.112.72.20 이라는
저의 현재 ip 접속 번호가 나오는데, 왜 이 두 번호가 서로 틀린 것인지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
어쨋든 이 상태에서 kr.dnsever.com의 DDNS 설정을 222.112.72.20 으로 설정한 후에, 저의
웹서버 접속을 시도하면 접속이 이루어지질 않고 아무런 응답이 없습니다.
저의 봉천동 집은 원룸 빌딩입니다. 그래서 건물주가 건물 전체의 가구주들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메가패스에 건물 차원에서 일괄적으로 인터넷을 신청해 설치한 후, 그 이용료를 원룸 가구주들에게
관리비의 형태로 받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것은 저의 추측이기는 합니다만, 메가패스 회사에서 건물 차원에서 별도의 자체 공유기를 설치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아닐까 추측해 봅니다만(ifconfig 명령을 내리면 inet addr:192.168.20.6
이라 나오는 것으로 보아), 자세한 것은 잘 모르겠습니다.
저와 같은 상황에서 유동 ip 웹서버를 돌리는 것이 가능한 것인지, 가능하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인지
아시는 분의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의견주시는 분들에게 미리 감사드립니다.
.
KT메가패스,
KT메가패스, 하나로통신, 파워콤 모두 아주 일부 지역에서는 여러가지 다양한 문제로 인하여(^^) 일종의 공유기 비슷한 장치가 설치 되어서 서비스 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제 지인도 일명 광랜이라고 불리우는 100M 라인을 사용중 비슷한 경우가 있었는데(일반 가정집에서 사용하는데 전봇대에 말 그대로 공유기가 장치된 경우) 알아보니 장비 문제(포트수를 늘리기 위함) 로 저렇게 설치가 되었더군요.
재미있는건 KT에서 전봇대에 설치한 공유기에 암호가 설정 되어 있지 않아서 접근이 가능했다는 정도였고....
재미없는건 이런 경우에는 서버를 돌리기 곤란하다는 점이 있겠습니다. 운이좋아서 공유기에 접근 할 수 있으면 다행이지만, 그렇지 못하면 VPN을 사용하거나 외부에 있는 호스트에 터널링 등을 설정하던지 무슨 수를 써야지, 그냥은 안 됩니다.
참고로 원룸 같은 소형 빌딩에 자체적으로 KT의 장비(코어라고 하나요?) 가 들어온게 아니라 따로 신청을 해서 서비스를 받는 경우라면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광랜+공유기로 서비스 되는게 일반적이라고 하더군요. 요금도 KT에서 따로 책정해서 내고, 비용은 라인수대로 신청하는것보다 저렴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아마 기본료 얼마에+PC 1대 추가당 5천원인가 만원인가 그럴겁니다.
-------------------------------------
김동수 - Prototype for Evolution
김동수 - Prototype for Evolution
사는 곳이 원룸
사는 곳이 원룸 빌딩이라면 원래의 KT회선에서 IP공유기를 통해서 192.168.??.?? 의 내부용 IP를 뿌려주는것 같군요.
다시말해서, 메가패스 라인하나를 IP공유기를 통해서 여려명이 공유해서 사용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인터넷회선비용을 관리비에 얼마나 책정해서 받고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웹서버는 운영하기 힘들겠네요.
그리고, 게시판에 올린 내용이 RealIP 라면 IP주소는 지우시는게 좋겠습니다. 유동IP라고 해도 공격대상이 되기 쉽습니다.
조언주신 분들꼐 감사드립니다.
김동수 님의 댓글을 보고, 저의 집에 설치된 것으로 추정되는 KT 메가패스 공유기의
주소(Mask가 255.255.255.0 으로 되어 있어서, 192.168.20.1 로 연결)를 입력해 보니, 저의
경우에는 접속 아이디와 암호를 요구합니다. 아무 아이디나 암호를 쳐보니, 역시나 접속
거부 메시지가 뜹니다. 그래서 아이디와 암호를 모르는 상황에서 공유기를 설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네요. 저의 지금 상황에서는 위의 분들이 말씀하신대로 유동IP 웹서버
운영이 불가능한 것 같습니다.
그래도 불가능하다는 것을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은 큰 차이가 있는 것이니, 조언을 주신 모든
분들꼐 감사드립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