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망 구성할때...
글쓴이: munhoney / 작성시간: 목, 2008/12/11 - 9:59오후
안녕하세요
요근래 네트워크 망을 구성할려고 하는데, 잘 이해가 안가는 게 있어서요
대략적인 내용은 이렇습니다.
타겟(임베디드 시스템) 과 Host간에 네트워크 망을 구성하는데
타겟에 6개의 이더넷이 있습니다.
이들은 192.168.5.5, 192.168.6.6 , 192.168.7.7 .... 192.168.11.11
여기에 맞게 Host의 네트워크 망도
192.168.5.15, 192.168.6.16, ..... 192.168.11.21
이런식으로 있다고 하죠.
그런데 어떤 이유로 인해 하나의 허브 (요즘은 스위치 기능이 있는것)로 이들을 모두 연결했습니다.
그럼 문제가 생기나요? 문제가 있다면 어떤 문제가 생길까요?
고수님들의 한수 부탁드립니다.
...
참고로 5.5와 5.15간의 통신 6.6과 6.16간의 통신 등등 만 사용됩니다.
Forums:
질문이 얼른 이해가 안가서....
스위칭 허브는 별도의 특수한 기능이 있지 않은 한 IP는 전혀 모를테구요.
오로지 아는 거라곤 어떤 스위칭 포트에 MAC 어드레스 몇 번을 가진 녀석이 붙어 있다겠죠.
구체적인 다이어그램이 머리에 그려지질 않아서 뭐라 답변을 달기가 그렇네요.
6개의 이더넷이 있다고 하셨는데.....
제가 보기엔 6개의 IP주소가 있는 호스트를 말씀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이것들이 모두 하나의 스위칭 허브에 물려 있다는 말씀이신 것 같은데.......
제 짐작이 맞다면....
어떤 문제를 말씀하시려는 것인지 감이 잡히질 않습니다.
IP 주소체계는 IP 주소의 network id와 host id를 이용하여 서로 구분합니다.
서브넷이 다른 네트워크란 말 그대로 서브넷이 다른 네트워크를 칭합니다.
다른 네트워크가 동일한 스위치에 연결이 되어 있는지 없는지는 라우팅 테이블에 이 정보가 있느냐 없느냐가 문제겠죠?
192.168.5.5과 192.168.6.16이 (물론 이때 서브넷은 255.255.255.0 이상일테구요) 동일한 스위치에 물려 있다고 바로 통신할 수 있을까요?
설마, 이걸 물어보고 계실까요?
제가 질문이 어떤 것인지 상상하려니까 머리가 다 아프군요.
중요한 건 프로토콜의 어느 수준에서 보실 것인지를 잘 주의깊게 살펴보세요.
그리고, 스위치 중에 좋은 것들은 파티션 기능(VLAN)이 있어서 실제 같은 기기라 하더라도 논리적으로 완전히 다른 네트워크로 관리할 수도 있습니다.
정확히 질문하셔야 정확한 답변을 기대하실 수 있습니다.
RTFM 이런 말 안나오고요.
There's always another way, dear.
---------------------------------
There's always another way, dear.
전혀 문제
전혀 문제 없습니다.
타겟 -- L2(스위칭 허브) -- Host
이런식이라는 건데 어차피 MAC 만 가지고 통신하므로 문제 없습니다.
routing 과 gateway 만 잘 잡아주면 될 듯합니다.
p.s
- 여기서 routing 은 L3 단의 라우팅이 아니라 시스템안의 라우팅입니다. ㅡ.ㅡ;;;
- 각 IP 에 대한 gw 혹은 디바이스를 잘 지정해주어야 겠죵.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