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웍 이용 부팅 및 설치
글쓴이: davinci / 작성시간: 목, 2004/03/11 - 7:32오후
네트웍을 이용하여 부팅 및 윈도우즈 또는 리눅스 설치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현재, 가지고 있는 노트북의 CD-ROM고장 및 설치된 OS의 삭제로 전혀 사용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우연히 Windows 2003의 경우 네트웍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에 윈도우즈 XP등의 OS를 설치하는 방법을 지원하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2003의 RIS서버와 PXE지원 클라이언트 이용)
리눅스의 경우 Windows 2003의 RIS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방법이 있을 듯하여 문의 드립니다.
현재 상태
1. 노트북 CD-ROM 드라이브의 하드웨어 고장
2. 노트북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없음
3. 노트북 설치되어 있던 OS삭제됨
4. 노트북 PXE지원 네트웍 카드 설치되어 있슴 (테스트시 정상 작동하는 것으로 보여짐)
5. 로칼 랜에, Windows XP Pro, RedHat 9.0이 설치되어 있음
하여야 될 일
1. 기 설치된 데스크탑의 레드헷 9 및 네트웍을 이용하여 OS가 설치되어 있는 않은 노트북을 부팅 (XP 또는 리눅스)
2. 기 설치된 데스크탑의 레드헷 9 및 네트웍을 이용하여 OS 설치 (XP 또는 리눅스)
노트북에 저장된 기존 데이타는 삭제되어도 상관없습니다.
Forums:
네트웍 이용 OS설치는 지원되지 않더라도, 네트웍 이용 부팅정도는 지원되
네트웍 이용 OS설치는 지원되지 않더라도, 네트웍 이용 부팅정도는 지원되는 걸로 알고 있는데, 네트웍을 이용하여 부팅시키는 방법이라도 알고 싶습니다.
PXE로 부팅하면 됩니다.'Diskless Cluster'라고 찾아보
PXE로 부팅하면 됩니다.
'Diskless Cluster'라고 찾아보십시오.
--------------------------------
윈도위의 리눅스 윈도위의 윈도우 리눅스위의 익스플로러
구글에서 Diskless Cluster 로 검색해 보았는데, 찾는 정보를
구글에서 Diskless Cluster 로 검색해 보았는데, 찾는 정보를 찾기가 힘드네요.
좀더 상세히 알려주시면 도움이 많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loadlin을 이용해보시죠
데비안의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loadlin을 이용한 방법이 있습니다.
다른 배포판의 경우도 이와같은 비슷한 방법이 있을거 같은데 찾기 어렵더군요.
노트북 하드를 떼서 다른 컴퓨터에 붙인 후 도스파티션을 하나 만듭니다. 파티션이 클 필요는 없구요. 도스로 부팅가능하게 만드셔야 합니다. 그리고 http://www.debian.org/releases/stable/i386/ch-install-methods.en.html#s-boot-drive-files
에서 basedebs.tar drivers.tgz linux.bin root.bin rescue.bin loadlin.exe 를 다운받아서 도스파티션에 저장합니다.
도스로 부팅한 후에
c:\>loadlin linux.bin root=/dev/ram initrd=root.bin
와 같이 입력하면 데비안 설치화면이 뜰겁니다.
노트북 하드를 붙일때는 다른 노트북을 이용하시거나 아니면 데스크탑에 노트북 하드를 붙일수 있는 개조된 IDE 케이블을 구하셔야 겠네요.. :wink:
이것 저것 시험해보다 PXE이용 부팅과정중 일부를 성공했습니다.지
이것 저것 시험해보다 PXE이용 부팅과정중 일부를 성공했습니다.
지금까지의 과정은
1. 기 설치된 리눅스 박스에 PXE 및 TFTP 서버 설치
2. 노트북 PXE 사용 부팅
- DHCP이용 IP 주소 할당 성공
- DHCP 서버 및 TFTP 서버 주소 등 수신 성공
- Remote Install Linux 선택
- TFTP이용 Intel Linux NBP, Beta-3 실행
- Downloading Linux kernel image 실패
리눅스 커널 이미지를 서버에 저장해야 되는 것 같은데, 참조할 만한 자료를 찾지 못했습니다. PXE이용 부팅 및 설치과정을 참조할만한 자료가 있으면, 알려주세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