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케이블모뎀의 dhcp서버와 게이트웨이와 tracert경로?
글쓴이: gyxor / 작성시간: 화, 2004/03/09 - 11:00오후
Physical Address. . . . . . . . . : 00-E0-18-FA-2F-76 DHCP Enabled. . . . . . . . . . . : Yes Autoconfiguration Enabled . . . . : Yes IP Address. . . . . . . . . . . . : 220.70.78.20 Subnet Mask . . . . . . . . . . . : 255.255.255.0 Default Gateway . . . . . . . . . : 220.70.78.254 DHCP Server . . . . . . . . . . . : 220.70.78.254 DNS Servers . . . . . . . . . . . : 168.126.63.1 Lease Obtained. . . . . . . . . . : 2004년 3월 8일 월요일 오후 7:28:52 Lease Expires . . . . . . . . . . : 2004년 3월 8일 월요일 오후 8:28:52
위 내용은 메가패스를 사용하는컴퓨터의
ipconfig /all 내용입니다.
그런데 내용중에
Default Gateway . . . . . . . . . : 220.70.78.254
DHCP Server . . . . . . . . . . . : 220.70.78.254
이런식으로 게이트웨이랑 dhcp서버의 아이피가 같습니다.
몇군데를 확인해본 결과 하나로통신은 두값이 다르게 나오는데
한국통신은 같게 나오는거 같았습니다.
default 게이트웨이는 케이블모뎀의 lan게이트웨이라고 알고있습니다.
그런데 dhcp는 프로토콜로 알고있는데요. dhcp서버는 무엇인지..
dhcp서버ip 라는것은 dhcp를 담당하는 곳의 ip를 의미하는 것인가요?
첫째,
게이트웨이와 dhcp서버아이피가 같은 경우는 케이블 모뎀이 두가지를 한꺼번에 담당하는것으로 생각하면 되나요?
두값이 같은 경우와 다른경우가 무엇이 차이가 있는것인지..잘 모르겠습니다.
설명부탁드립니다.
Physical Address. . . . . . . . . : 00-E0-18-C0-07-AE Dhcp Enabled. . . . . . . . . . . : Yes Autoconfiguration Enabled . . . . : Yes IP Address. . . . . . . . . . . . : 211.204.80.29 Subnet Mask . . . . . . . . . . . : 255.255.255.0 Default Gateway . . . . . . . . . : 211.204.80.1 DHCP Server . . . . . . . . . . . : 211.200.111.106 DNS Servers . . . . . . . . . . . : 210.220.163.82 210.94.6.67 Lease Obtained. . . . . . . . . . : 2004년 3월 9일 화요일 오후 10:32:36 Lease Expires . . . . . . . . . . : 2004년 3월 9일 화요일 오후 11:32:36 C:\Documents and Settings\Home>tracert www.kldp.org Tracing route to www.kldp.org [211.39.143.146] over a maximum of 30 hops: 1 11 ms 20 ms 21 ms 10.30.16.1 2 18 ms 28 ms 17 ms 10.31.255.7 3 13 ms 15 ms 8 ms 211.108.35.241 4 22 ms 28 ms 11 ms 211.176.50.25 5 10 ms 19 ms 15 ms 211.117.39.170 6 15 ms 14 ms 48 ms 128.134.10.41 7 22 ms 20 ms 11 ms 211.196.156.170
하나로 통신을 사용하는 컴퓨터의 내용입니다.
게이트웨이가 211.204.80.1으로 나왔습니다.
둘째,
그런데 tracert결과에선 이 게이트웨이를 지나가지 않고있습니다.
케이블모뎀의 게이트웨이를 지나고 나서 라우터의 게이트웨이만
잡아내기 때문인가요?
2가지 질문..설명부탁드립니다.
Forums:
dhcp서버는 dhcp프로토콜을 바탕으로, 클라이언트에서 요구를 하면 I
dhcp서버는 dhcp프로토콜을 바탕으로, 클라이언트에서 요구를 하면 IP,gateway,dns등의 정보를 뿌려주는기능이 있습니다.
소프트웨어적으로 대몬이 하나 떠서 서비스를 하는것이니, 서버용으로 나온 대몬을 서버에서 돌릴수도있고, 라우터나 스위치같은 네트웍장비에서도 지원을 하고있으니 네트웍장비에서 서비스를 할수도있습니다.
그러니 게이트웨이가 같은 장비에 있을수도 있고, 다른장비에 있을수도있습니다.
뭐 중요한건 아니지만 정확히 알고싶으면 하나로통신에 물어봐야죠.
그리고... 두번째...
저도 하나로통신을 쓰면서 궁금했던건데요...
잘 모르겠습니다. ㅡㅡ;;
그런데 한가지 아셔야 할 사실은 하나로 통신이 이렇게 구성된다는것입니다.
<집PC>-------<케이블모뎀>---------------<전화국케이블모뎀>-------<하나로통신 네트웍(인터넷)>
여기서 케이블모뎀과 케이블모뎀은 브릿지처럼 작동한다는거죠.
아래 집에서 naver.com으로 트레이스한결과와, 외부의 사무실에서 집으로 트레이스한 결과를 캡쳐했습니다.
아무래도 전화국 케이블모뎀 뒷쪽에 사설아이피가 박혀있고, 나갈때와 들어올때 경로가 다른것같습니다.
아마도 비대칭이라 업다운 트래픽을 따로 처리하고, 대역폭도 조절을 해야하니까 업/다운트래픽을 분리하는게 아닐까 추측만 해봅니다.
하나로통신에 전화해보지않고 알수있는건 이정도일것같습니다.
C:\Documents and Settings\박영선>tracert -d naver.com
Tracing route to naver.com [211.218.150.200]
over a maximum of 30 hops:
1 3 ms 1 ms 1 ms 221.138.232.158
2 28 ms 11 ms 20 ms 10.99.224.1
3 16 ms 37 ms 8 ms 211.200.43.65
4 29 ms 22 ms 46 ms 211.117.1.193
5 13 ms 96 ms 21 ms 211.117.39.170
6 102 ms 37 ms 36 ms 128.134.10.41
7 56 ms 102 ms 16 ms 168.126.109.194
8 33 ms 44 ms 56 ms 218.145.27.199
9 49 ms 26 ms 23 ms 211.218.151.16
10 43 ms 30 ms 19 ms 211.218.150.200
Trace complete.
[root@FW: /etc]# traceroute 221.138.232.158
traceroute to 221.138.232.158 (221.138.232.158), 64 hops max, 44 byte packets
1 211.234.126.1 (211.234.x.x) 0.444 ms 0.405 ms 0.291 ms
2 211.172.248.45 (211.172.248.45) 0.367 ms 0.311 ms 0.797 ms
3 211.172.248.33 (211.172.248.33) 0.495 ms 0.530 ms 0.553 ms
4 210.92.194.34 (210.92.194.34) 0.493 ms 0.496 ms 0.425 ms
5 211.44.125.25 (211.44.125.25) 0.867 ms 0.776 ms 0.802 ms
6 211.58.252.181 (211.58.252.181) 1.119 ms 1.030 ms 1.051 ms
7 211.58.252.201 (211.58.252.201) 0.994 ms 1.029 ms 0.926 ms
8 211.117.1.194 (211.117.1.194) 1.619 ms 1.654 ms 1.675 ms
9 211.200.43.74 (211.200.43.74) 2.367 ms 1.910 ms 2.227 ms
10 221.138.232.158 (221.138.232.158) 21.981 ms 21.888 ms 11.535 ms
^^;;
양방향 traceroute의 결과에 대해
원 질문에 대한 답변은 아닙니다만,
http://netro.ajou.ac.kr/~escape/nag/3/nag3.html
이 문서의 중간쯤에 보면 망 구조와 양방향에서 traceroute한 결과가 나옵니다
동일한 구간을 통과할 때에도 결과는 서로 다르게 나오더군요. 윗 글에서의 예와 마찬가지죠.
아마도 traceroute는 라우터를 통과할 때 자기가 보이는 쪽의 IP만 알려주는 것 같습니다.
Traceroute에 대해서만..
Traceroute에 대해서만 답변드리겠씁니다.
우선 TTL이란 것을 설명드리겠습니다.
TTL은 Time to live의 약자이며, IP패킷이 살아있을 시간을 나타냅니다.
어떤 호스트에서 IP 패킷을 생성하게 되면 TTL이란 값을 넣어서 생성하게 되는데,
이 값은 라우터라든지 어떤 장비(IP기반장비)를 거치면 1씩 감소시키게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TTL 값이 0이 되면 패킷은 버려지며, 라우터가 TTL이 1인 패킷을 받으면,
보통 보낸 호스트로 TTL이 소진되었다는 메시지를 보냅니다.
그래서 만약 PC에서 TTL값을 1이나 2와 같이 작은 값을 넣게 되면,
멀리 있는 호스트와는 통신을 할수 없게 되죠..
이런 TTL의 감소를 이용한 것이 Trace Route인데,
Trace Route시에 사용되는 패킷은 일반적인 PING테스트시에 사용되는
패킷에 TTL값이 변조된 것입니다.
그리고 어떤 식으로 변조하는지는 위의 1씩 감소하는 특징을 이용해서 1에서부터
1씩 증가시키면서 보내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그래서 PC에서 맨 처음에는 TTL을 1로 해서 보내며,
그러면 Gateway에서 받은 후 TTL을 1감소시키며, 감소시킨결과....
0이란 것을 알고 패킷을 버린다고 PC에게 알려주는 패킷을 다시 보냅니다.
그러면 PC는 그 받은 패킷을 보고 어떤 라우터를 거쳤는지를 알고 화면에 보여주죠..
그리고 다음으로 보낼때는 2를 넣어서 보냅니다.
그러면 게이트웨이는 TTL을 1 감소시켜서 다음 라우터로 보내게 됩니다.
그러면 그 다음라우터가 다시 1을 감소시키고, 0이란 것을 알고 다시 PC로 패킷을 버린단것을
알려주게 됩니다.
이런 식으로 최종 목적지까지 TTL을 감소시키면서 보내면 어떤 라우터들을 거치는지 알 수 있는 것이죠..
그리고 라우터의 IP가 보낸쪽에서 TraceRoute하는 것과 받는 쪽에서 TraceRoute하는 것이 다른 이유는..
(A라는 PC에서 B라는 PC로 보내는 것과 B에서 A로 보내는 것)
패킷을 받는 라우터의 방향(인터페이스 or 랜카드)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라우터는 패킷을 받은 쪽의 라우터IP를 보여주게 되므로,
다음 그림과 같은 환경에서 나오는 결과를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위 환경에서 PC1에서 PC2로 Trace하면
a.b.c.1 다음에 a.b.d.2가 뜰 것이며
PC2에서 PC1로 Trace하면
a.b.d.1 다음에 a.b.c.2가 뜹니다.
라우터가 여럿 있다면 위와 같이 받은 쪽(라우터 입장에서)의 IP주소를 보내게 되죠
(물론 라우터에 따라 받는 쪽의 IP주소가 아닌 다른 것을 보낼 수도 있습니다.
질문하신 분의 결과와 같이 Gateway주소가 아닌 다른 IP가 뜨는 경우)
설명이 약간 엉성한 건 아닌가 모르겠네요..
.
tracert 등에 관한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게이트웨이를 통과하지 않는 이유를 하나로 통신에 전화해서 물어봤습니다.
잘모르는거 같더라구요.. 미궁에 빠졌습니다.
아무래도 케이블모뎀의 게이트웨이는 무시하고 하나로 통신쪽의
라는 게이트웨이를 tracert가 체크한것같습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