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사내에서 문서화 이야기가 나옵니다.
만일 문제가 발생했을때 해당 담당자가 부재시라던가..
해당 업무를 문서화 하라고 하는데요...
저도 시스템담당자가 저 혼자이기때문에 필요하긴 한거 같은데..
만약 담당자 부재시에 필요한 문서를 만들때 어떤항목이 들어가야 하는지.
여기 계신분들중 문서화 한적이 계신분들은 주로 어떤식으로 하는지요..
어떤 항목이 들어가고요..
너무 폭넓은 질문인가요?
대부분 회사에서 작성하는 경우는
"절차서" 라고 많이 하죠
이렇게 따라하기만 하면 할 수 있다 정도의 문서 겠군요
뭐 서버가 죽었을 경우
순차적으로 명령어나 해야 할 일을
나열하고 짤막한 설명을 붙여서 만듭니다.
누가 봐도 따라할 수 있을 정도로 말이죠..
설치 절차서 같은 경우 HOWTO 문서 식으로 많이들 만듭니다.
글ㅠㅆㅖㅤ여... 워낙 많은 변수가 있어서 그걸 어느날 한시에 문서 작성을 한다는 건 어려울 것같습니다. 물론 위에서 시키면 해야겠지만...
위키같은 걸 이용해서 장기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 저는 생각합니다만은.
힘없는자의 슬픔
서버 관리란
일이 크게 터지거나 할 경우 서버 관리자가 아니면 해결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죠
하지만 응급조치 정도의 문서화는 남겨 두시는게 좋습니다.
간단한 네트워크 설정법도 괞찬고요
일반적인 회사는 MS워드를 많이 사용하니 저도 어쩔수 없이 워드로 만듭니다.
대부분 회사에서 작성하는 경우는 "절차서" 라고 많이 하죠
대부분 회사에서 작성하는 경우는
"절차서" 라고 많이 하죠
이렇게 따라하기만 하면 할 수 있다 정도의 문서 겠군요
뭐 서버가 죽었을 경우
순차적으로 명령어나 해야 할 일을
나열하고 짤막한 설명을 붙여서 만듭니다.
누가 봐도 따라할 수 있을 정도로 말이죠..
설치 절차서 같은 경우 HOWTO 문서 식으로 많이들 만듭니다.
글ㅠㅆㅖㅤ여... 워낙 많은 변수가 있어서 그걸 어느날 한시에 문서 작성
글ㅠㅆㅖㅤ여... 워낙 많은 변수가 있어서 그걸 어느날 한시에 문서 작성을 한다는 건 어려울 것같습니다. 물론 위에서 시키면 해야겠지만...
위키같은 걸 이용해서 장기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 저는 생각합니다만은.
힘없는자의 슬픔
서버 관리란일이 크게 터지거나 할 경우 서버 관리자가 아니면 해결
서버 관리란
일이 크게 터지거나 할 경우 서버 관리자가 아니면 해결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죠
하지만 응급조치 정도의 문서화는 남겨 두시는게 좋습니다.
간단한 네트워크 설정법도 괞찬고요
일반적인 회사는 MS워드를 많이 사용하니 저도 어쩔수 없이 워드로 만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