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호스팅사무실에 견습처럼다니는데 리눅스 도서좀 추천해주세요

lee026의 이미지

웹이랑 서버호스팅하는곳이에요 리눅스 첨배우는데 괜찬은책좀 추천해주세요
요즘 하는일이 맨날 리눅스설치하면서 커널 업데이트,apm설치하다가
다른데 서버 백업연습하다가 또 다시깔고 이러네요 ^^;

추천부탁합니다 ^^*

maylinux의 이미지

http://debianusers.org/DebianWiki/_c3_df_c3_b5_bc_ad_c0_fb

데비안 유저스 위키중에 하나 입니다.

처음에 보는 책자로는.. 뚜렷히 추천하고 싶은 책은 없습니다...
(사실 고만고만 해서..쩝)

그냥, 첨에는 많이 보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저두 입문책많이 봤었습니다.

아바타 제작기간~~ 무려 5초!!!

jachin의 이미지

무지하게 많지요. 레드햇 시리즈는 압도적으로 많고, (한컴프레스가 드림북으로 바뀌면서 그곳 책들도 많이 사라졌지만...)

가끔 데비안도 보이고, 터보 리눅스 시리즈도. 쿨럭. >o< =3

하지만, RedHat 계열 책을 보신다면, 별탈없이 하실 수 있으실 것 같네요.

Debian을 쓰고 계신 상태라면, Debian 책을 쓰셔야 겠지만요.

개인적으로 많이 본 책은, 오렐리 책하구 한컴에서 나온 레드햇 5.x 였답니다.

오래전에 봐버려서 지금은 구시대의 책이 되어 버렸군요. -_-a

문재식의 이미지

네트워크 분야는 김칠봉님이 만든신 "리눅스 네트워크" 책을 추천합니다.
네트워크의 기본이해부터 DNS, WWW, MAIL, FTP, SAMBA, MYSQL 등 다양한 서버의 설정을 예를 통해서 깊이 있게 설명해 두었습니다.

http://www.yes24.com/home/pd.asp?SID=GOtFI1uHR3WQzR0SSmKDndPG4JYFimVpLi2KVa265eTFrohk0FL6@8QMa&STAG=13&AK=300012&TABID=1

위의 링크를 클릭하면 목차 등을 보실 수 있습니다.

maylinux의 이미지

문재식 wrote:
네트워크 분야는 김칠봉님이 만든신 "리눅스 네트워크" 책을 추천합니다.
네트워크의 기본이해부터 DNS, WWW, MAIL, FTP, SAMBA, MYSQL 등 다양한 서버의 설정을 예를 통해서 깊이 있게 설명해 두었습니다.

http://www.yes24.com/home/pd.asp?SID=GOtFI1uHR3WQzR0SSmKDndPG4JYFimVpLi2KVa265eTFrohk0FL6@8QMa&STAG=13&AK=300012&TABID=1

위의 링크를 클릭하면 목차 등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저도 이책있는데, 정말 쓸모가 많습니다)

그런데 이책 개정판이 있습니다.

'리눅스 서버관리 실무바이블 v1.5' 입니다.

데비안책자추천에서도 나옵니다.

참고하실려면 superuser.co.kr 로 가시면, 팝업창으로 뜹니다.

아바타 제작기간~~ 무려 5초!!!

fibonacci의 이미지

리눅스에 익숙해지기 위한 정도의 공부라면
문서는 하우투, MAN, 온라인 강좌정도만으로 충분한것 같습니다.

No Pain, No Gain.

문재식의 이미지

maylinux wrote:
(저도 이책있는데, 정말 쓸모가 많습니다)

그런데 이책 개정판이 있습니다.

개정판이라는 의미가 제가 말한 책의 업그레이드라는 이야기인가요???
보니깐... 저자도 다르고... 그래서요.

말씀하신 의미는 책의 내용이 훨씬 향상되고, 최신의 내용을 가지고 있다는 뜻으로 생각되는데요...

이건 여담인데... 제가 만든 책도 있담니다. 670여 페이지 되는... 시중에서는 시판되지 않고... 제가 가르치는 곳에서만 사용하는 ^^

maylinux의 이미지

문재식 wrote:
maylinux wrote:
(저도 이책있는데, 정말 쓸모가 많습니다)

그런데 이책 개정판이 있습니다.

개정판이라는 의미가 제가 말한 책의 업그레이드라는 이야기인가요???
보니깐... 저자도 다르고... 그래서요.

말씀하신 의미는 책의 내용이 훨씬 향상되고, 최신의 내용을 가지고 있다는 뜻으로 생각되는데요...

흠.. 엄밀히 말하면 개정판은 아니겠네요.
그런데, 이책이 이상하게 개정판처럼 여겨지고 있었던것 같네요
(왠지 그렇게 분위기가 간듯.. 싶네요)

저도 그렇게 느끼고 있었으니깐요.

다시 한번 서점에서 훌터봐야 겠네요.
과연 어떻게 틀린지 확인하고 싶네요ㄴ

아바타 제작기간~~ 무려 5초!!!

logout의 이미지

lee026 wrote:
웹이랑 서버호스팅하는곳이에요 리눅스 첨배우는데 괜찬은책좀 추천해주세요
요즘 하는일이 맨날 리눅스설치하면서 커널 업데이트,apm설치하다가
다른데 서버 백업연습하다가 또 다시깔고 이러네요 ^^;

추천부탁합니다 ^^*

책보다는 노가다(!)를 추천합니다. 예쁘게 말해서 삽질. :)

우선 노는 피씨를 한대 장만하세요. 메모리는 한 128메가 이상 정도,
시피유는 상관없지만 한 600Mhz 이상이면 좋겠구요. (소스 코드 컴파일이
너무 오래걸리면 안되니까요.)

그 다음, 배포본으로 Gentoo 리눅스나 Debian을 깔아보십시오. Debian보다는
소스 코드 중심의 Gentoo를 추천하고 싶은데 그 이유는 시스템이 깔리는
과정이 하나하나 구체적인 명령어와 함께 제시되기 때문입니다. Debian은
dselect에서 패키지 선택 노가다를 하다보면 대강 리눅스에 어떤 패키지들이
깔리며 비슷한 역할을 하는 패키지들이 어떤 것이 있는지에대한 감을
잡게 됩니다. 젠투는 http://gentoo.org, http://gentoo.or.kr 을 참고하시고
데비안은 http://debian.org, http://debianusers.org 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책은 그리고 나서 보아야 할 것이 생기면 보십시오. 일단은 Linux
Documentation Project (http://www.linuxdoc.org)의 howto 문서들부터
읽으시길 권해드립니다. 관심가는 것 마다 가끔 하나씩 읽어 주면 좋습니다.
번역이 필요하시면 여기 kldp를 참조하시면 되구요.

일단 서버를 깐 다음에는 간략하지만 자신의 서비스를 인터넷에 해 보세요.
여러가지 경험을 하게 될 겁니다.

"I conduct to live,
I live to compose."
--- Gustav Mahler

bh의 이미지

http://doc.kldp.org/ 에 있는거두
읽고 생각하고 실습하는데,,
시간이 모자랄 지경입니다.. -_-

--
이 아이디는 이제 쓰이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