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베디드 리눅스 IP 고정..
글쓴이: sootoo23 / 작성시간: 금, 2019/05/24 - 4:03오후
임베디드 리눅스를 사용중인데요.
고정 IP를 하고싶은데.. 아래와 같은 문제가 있습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
1. IP가 고정 IP가 안됩니다.
-> 처음 부팅하면 IP가 DHCP로 잡히게 됩니다. (부팅 시 스크립트에 IP를 설정해 놓아도 DHCP로 잡힘)
-> /etc/network/interface를 static으로 놓고 고정IP를 설정해도 안됩니다.
auto eth0 iface eth0 inet static address 192.168.123.50 netmask 255.255.255.0 broadcast 192.168.123.255 gateway 192.168.123.1
2. LAN선을 뽑으면 IP가 사라집니다.
-> 부팅하고 ifconfig eth0 192.168.123.22 up; 설정 후
LAN선을 뽑으면 IP가 사라집니다.
~# ifconfig eth0 192.168.123.50 up ~# ifconfig eth0 Link encap:Ethernet HWaddr 3C:A3:08:FE:65:DC inet addr:192.168.123.50 Bcast:192.168.123.255 Mask:255.255.255.0 UP BROADCAST MULTICAST MTU:1500 Metric:1 RX packets:12509 errors:0 dropped:0 overruns:0 frame:0 TX packets:322 errors:0 dropped:0 overruns:0 carrier:0 collisions:0 txqueuelen:1000 RX bytes:937677 (915.7 KiB) TX bytes:32309 (31.5 KiB) Interrupt:88 ~# ~# cpsw 48484000.ethernet eth0: Link is Down ~# eth0 Link encap:Ethernet HWaddr 3C:A3:08:FE:65:DC inet6 addr: fe80::3ea3:8ff:fefe:65dc%775872/64 Scope:Link UP BROADCAST MULTICAST MTU:1500 Metric:1 RX packets:1861 errors:0 dropped:0 overruns:0 frame:0 TX packets:87 errors:0 dropped:0 overruns:0 carrier:0 collisions:0 txqueuelen:1000 RX bytes:129879 (126.8 KiB) TX bytes:11319 (11.0 KiB) Interrupt:88
Forums:
어느 종류의 임베디드 리눅스를 사용하고 계신가요?
어느 종류의 임베디드 리눅스를 사용하고 계신가요? 수정했다고 하는 /etc/network/interface 파일이 실제로 해당 임베디드 환경에서 읽어 오는 파일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음.. 데스크탑의 리눅스 종류가 아니라..
음.. 데스크탑의 리눅스 종류가 아니라..
뭐 Ubuntu, CentOS, Mint, Fedora 같은 종류는 없구요..
임베디드 리눅스는 보통 각 칩의 제조사에서 커스터마이징해서 베포하는 리눅스를
사용하는 걸로 알고있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리눅스는 TI사에서 베포한 Linux-RT로 4.14.79 버전을 사용중입니다.
아마 TI에서는 https://www.kernel.org/ 에서 커널을 받아 베포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배포판에서 데스크탑은 옵션에 불과 합니다.
배포판에서 데스크탑은 옵션에 불과 합니다.
님이 말하는 /etc/network/interface 도 데비안 계열등에서나 사용하는 것 뿐이지
레드햇 계열에서는 /etc/sysconfig/network-scripts/* 로 인터페이스를 설정합니다.
배포판에 관계 없이 IP 설정을 하려면,ifconfig, ip, route 등의 명령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제가 궁금한건..
제가 궁금한건..IP를 고정하는 겁니다..
위에 제가 쓴 글을 보시면 문제는 2가지 입니다.
1. IP가 고정되지 않아 부팅시 DHCP로 잡히는 문제
2. LAN선의 연결이 끊기면 IP가 날아가는 문제
이 두가지 입니다...
ifconfig, ip, route는 그냥 현재 ip, route를 변경하는 것이지...
부팅시 고정 IP와, IP가 날아가는 것과는 아무런 연관이 없습니다..
ps -ef 로 dhcpclient 관련 데몬이 있을
ps -ef 로 dhcpclient 관련 데몬이 있을 있을 확율이 높아 보입니다.
부팅시 어디선가 dhcpclient를 실행 하는 곳이 있을꺼에요
/etc/rc.local /etc/rc*/ 를 찾아 보시기 바랍니다.
dhcpclient에서 nolink시 ip제거하는 script도 있을거에요
첫글을 잘 못 썻네요
첫글을 잘 못 썻네요
ps -ef 로 dhcpclient 있는지 확인 해보세요.
음.. 일단 dhclient는 없습니다..
음.. 일단 dhclient는 없습니다..
제 Root filesystem에서 dhclient를 호출하는 Script나 Service를 찾아봤는데
아에 없고, 제 File system에는 dhclient 자체가 없습니다.
udhcpc가 대신 들어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udhcpc가 대신 들어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udhcpc는 있네요..
udhcpc는 있네요.. 호출하는 script를 찾아 dhcp는 지웠습니다. 감사합니다.
하지만, 아직 eth0가 Link가 down될때 ip주소가 사라지는 증상이 아직 있습니다.
link down 시 호출되는 스크립트가 따로 있나요
link down 시 호출되는 스크립트가 따로 있나요? 해당 스크립트에서 IP 주소를 지우는 명령을 호출하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https://superuser.com/questions/153559/how-can-i-clear-the-ip-address-of-ethernet-interface-without-cycling-the-interfa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