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 전공생입니다. 웹 입문에 관하여..
선배님들 안녕하세요,
저는 올해 3학년이 되는 학부생 입니다. 현재 미국에서 학교를 다니고 있고, 웹 입문에 관한 고견을 듣고자 글을 올려봅니다.
특정한 답이 있는건 아니라 생각되어 자유게시판에 올리는데, 문제가 된다면 옮기도록 하겠습니다.
개인적인 욕심 때문에 올 가을에 편입을 하게 되었는데, 편입 준비를 하다보니 저학년 때 남들 다 듣는 웹 관련 수업을 아직 못 들은 상태입니다. 이번에 가서 들을까 했는데 그 마저도 자리가 다 차는 바람에 대기열에 올라가 있는 상태이구요. 굳이 수업을 들어야되나 싶어서 최근에 온라인 상에서 html 강좌를 쭉 훑어보고 지금은 css 강좌를 보는 중인데 결국엔 모든 언어가 그렇겠지만 사용법을 배우면 알아서 사용하기 나름 아니겠습니까? css 를 다 본 후 js 강좌 까지만 끝내고 학기 시작 전까지 웹 공부 겸 개인 웹사이트를 하나 만들어 보려고 생각중인데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프론트엔드를 공부한다면 웹 사이트 제작시 처음부터 끝까지 하드코딩으로 해야 할까요? 아니면 부트스트랩 같은 주어진 도구들을 가져다 뚝딱 만들어도 괜찮을까요? 강좌 도중에 부트스트랩 사용하는 법을 가볍게 알려주는데 이걸 보니 "이런식으로 사이트를 제작해도 이걸 내가 만들었다" 라고 할 수 있을지가 의문입니다. 웹 사이트 제작시 온라인상에 오픈소스로 공개 되어있는 사이트 포멧을 가져다 쓰고 내용만 바꾸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지도 교수님과 먼저 상의해보는게 어떨까요?
지도 교수님과 먼저 상의해보는게 어떨까요?
* 포럼 주제와 무관한 신변잡기를 반복해서 올리지 맙시다.
* 질문 게시판 만이라도 익명 글쓰기를 막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가요? 한번 고려해보겠습니다..
그런가요? 한번 고려해보겠습니다..
취미나 또는 라이브러리 개발이 아니면 상용은 무조건
취미나 또는 라이브러리 개발이 아니면 상용은 무조건 잘 구성된 포트폴리오에서 시작합니다.
고객에게 여러 포트폴리오를 보여주고, 고객이 마음에 들어하는 하나를 골라 기능 추가나 튜닝을 하는 것입니다.
이때 만들어진 기능이 좋으면 새로운 포트폴리오가 되는 것이고요. 당연히 도구를 사용하고 포트폴리오가 매우 잘 되어 있습니다.
당연히 디버그나 자세한 기능 추가를 위해선 밑바닥을 잘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상용 개발은 무조건 아주 잘 셑업된 도구와 라이브러리를 가지고 합니다.
그러지 않으면 수지타산이 안 맞습니다.
포트폴리오라는게 제가 언급한 오픈소스로 제공되는
포트폴리오라는게 제가 언급한 오픈소스로 제공되는 포멧들을 말씀하시는건가요? 아니면 제가 스스로 처음부터 구상하는식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야하나요? 아는게 전혀 없어서...ㅠㅠ
포트폴리오란 오픈소스도 좋고, tools에서 제공하는
포트폴리오란 오픈소스도 좋고, tools에서 제공하는 것도 좋고, 직접 만든 것도 좋고
일반적으로 고객이 원하는 기능을 갖춘 작업 예제입니다. 또는 직장을 잡는 다면 면접관에게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구요.
간단하게는 게시판, 공지, Q&A 등이 있겠고. DB, 그래픽/UI 등도 엄청 중요하죠.
기능은 거기서 거기입니다. 외양과 인터페이스가 고객의 눈길을 사로잡아야 합니다.
직접 scratch 부터 할수도 있겠으나 tools이나 오픈 웹 소스를 보시고 기존 사람들이 어떤 구조로 만들었는지 파악하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각각 기능 자체보다는 기능간 인터페이스가 향후 업그레이드나 유지보수시 중요해 지거든요.
상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핵심을 쏙쏙
상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핵심을 쏙쏙 이해시켜주셨네요 ㅎㅎ..
새로 입문하신다면, 자바스크립트 기반의
새로 입문하신다면, 자바스크립트 기반의 MEAN(Mongo DB, Express, Angular 2, Node) 스택이 올바른 방향입니다.
JSP에 밥그릇이 달려 있는 개발자가 많은 국내에서는 아직 자바가 대세이지만, 외국에서는 MEAN 플랫폼이 이미 일반화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러한 플랫폼에서, 개발자는 가능한 한 스스로 코드를 작성하지 않으며, 기존의 모듈들을 조합하는 방식으로 웹 프로그램이 구축되죠. 간단한 방식으로 웹 구축이 가능하고 생산성이 높기 때문에 머잖아 국내에서도 자리잡게 될 것입니다.
MEAN 스택 매번 말로만 많이 들었었는데.. 답변
MEAN 스택 매번 말로만 많이 들었었는데.. 답변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