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ute table 보는 방법 질문드립니다.
글쓴이: ncck2000 / 작성시간: 월, 2016/05/02 - 12:02오후
이렇게 라우트 테이블을 셋팅을 했습니다.
지금 연결된 네트웍 환경이 없어서 테스트를 못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간단한 이용법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98.130.208.2 으로 가는 핑을 98.130.209.9 로 가게 한 후에 그 아래에 있는 98.130.209.8 은
지정된 것이 없으니, Default Gateway로 핑이 가는 것인가요? 아니면 바로 위의 98.130.209.9 로 가는 건가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사진 다시 올렸습니다.
png->jpg 변경하다가, 작은 이미지로 대처가 되어 버렸습니다.
File attachments:
첨부 | 파일 크기 |
---|---|
![]() | 35.47 KB |
Forums:
지정된 것이 없다고 무조건 default
지정된 것이 없다고 무조건 default gateway로 가는 것은 아닙니다.
routing table에서 asterisk는 로컬 네트워크를 의미하기 때문에 그 라우팅을 타고 나갑니다.
추가로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통해 특정 목적지가 어떤 routing table에 매치 되는지 확인 할 수 있겠네요.
소곤소곤
도움 감사드립니다.알려주신 명령어를 통해 확인해
도움 감사드립니다.알려주신 명령어를 통해 확인해 보겠습니다.
정말 많은 도움이 될 듯 합니다.
안드로이드상에서 이런 Static Route Table에 대해 아는 것이 기능을 구현하라고 해서
어떻게 어떻게 찾아다니다, App에서 사용할 수 있게 API를 제공해 줬는 데...
host수 제한을 위해 subnetmask를 255.255.255.248로 운영을 하니 생각지도 못한 IP정보가
Route Table에 들어가서 너무 혼란스럽습니다.
정확히는 지정된곳 없으면 아무데도 안갑니다. 라우팅
정확히는 지정된곳 없으면 아무데도 안갑니다.
라우팅 테이블에서 *는 사용되지 않으며
0.0.0.0/255/255.255.255 테이블을
고정 라우팅 정보에 없는 기타 패킷을 말하며 이것이 지정된 게이트웨이가 곧 default gateway로 됩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