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바이너리 파일을 실행하면 "illegal instruction" 이라고 에러가 납니다.
글쓴이: k1d0bus3 / 작성시간: 금, 2016/03/11 - 10:42오후
젠투기반의 리눅스배포판을 x86-generic 용으로 빌드했습니다.
그 리눅스배포판을 IBM thinkpad (Intel Pentium M processor, 768M RAM)에서 부팅시키고 쉘까지 띄웠습니다.
그런데 "mount-encrypted"(dm-crypt관련 바이너리)와 "mkfs.ext4" 명령을 실행하면 "illegal instruction"이라고 에러가 납니다.
다른 명령들은 잘먹히고, 에러가 나던 명령들도 다른 PC에서는 잘 작동됩니다.
해당 processor가 x86-generic과 안맞아서 생기는 현상인가요? 아니면 뭔가 커널쪽에 디바이스드라이버를 추가해야 하나요?
주로 어떨때 이런 에러가 생깁니까?
어떻게 디버깅해야 할지 막막합니다.
왜 이런현상이 생기는지 짐작되는 원인 몇개 알려주시면, 디버깅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Forums:
USE Flag를 어떻게 주셨고, 다른 PC에서
USE Flag를 어떻게 주셨고, 다른 PC에서 사용하는 CPU는 어떤 것이었나요? 기본적인 x86 명령은 다 지원하겠지만, 펜티엄 M은 이제 10년 가까이 된 프로세서이기 때문에 SSE 등 추가 명령어 지원 때문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쉘(X) 셸(O)과 같은 상대적으로 복잡하지 않은 프로그램이라면 기본 x86 명령 만으로도 충분하겠지만, mkfs나 dm-crypt 등이라면 새로운 SSE 명령어 셋을 사용해서 이런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말씀하신데로 였습니다.펜티업M에서는 sse3를
말씀하신대로 였습니다.
펜티엄M에서는 sse3(pni)를 지원하지 않는데, 젠투리눅스를 빌드할때 sse3옵션을 넣은게 문제였던 거 같습니다.
그런데 그건 그렇고,
특정 바이너리파일(ex: mkfs, dm-crypt)이 특정 명령어셋을 사용하는지 여부는 어떻게 아셨습니까?
참고문서가 있나요? 혹은 알아내는 방법론이 있습니까?
소스 코드에서 SSE intrinsic을 사용하거나
소스 코드에서 SSE intrinsic을 사용하거나 어셈블리를 직접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glibc도 옵션에 따라서 C 표준 함수들을 최소한의 x86 명령어만 사용할 지, SSE를 사용할 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컴파일러 또한 glibc를 호출하지 않고 최적화 옵션에 따라서 직접 SSE 명령을 집어넣는 경우도 있습니다. 소스 코드를 일일이 뒤져서 찾아내는 것은 명령들을 다 알아야 하기도 하고, 컴파일러 옵션에 따라서 바이너리가 달라지기 때문에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아, 저는 Illegal instruction에서 감으로 파악했습니다. 저 오류가 뜨는 이유는 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