쉘뿐만아니라 우분투 자체의 계정을 root계정으로 바꾸는 방법이 있읍니까?
글쓴이: tmetospc / 작성시간: 금, 2014/08/08 - 3:11오전
우부투에서 웹에서 화일을 다운 받으면 root계정이 아닌 일반사용자계정으로 해당 사용자 디레토리에 다운되는데,
쉘에서 su - root 라는 명령으로 일반사용자계정에서 root계정으로 바꾸듯, 쉘뿐만아니라 우분투 자체의 계정을 root계정으로 바꾸는 방법이 있읍니까?
그리고 우분투 자체의 계정이 일반사용자로 되어 있어 일반사용자계정의 디렉토리에 플러그인프로그램을 다운 받았을 경우,
/root디렉토리의 plugin 디렉토리에 설치해도 이상 없읍니까? 또는 그 반대의 경우에도 이상 없읍니까?
Forums:
root 로긴 하시면 됩니다.
예, 방법이 있습니다.
컴퓨터 시작후에 바로 root 계정으로 로긴하시면 됩니다.
root 계정을 활성화 시키는 방법은 아래 링크에 나와있습니다. 참조하세요.
http://askubuntu.com/questions/44418/how-to-enable-root-login
올바른 표현인진 모르겠으나.. 제가 인식하고 있는
올바른 표현인진 모르겠으나..
제가 인식하고 있는 개념은..
리눅스 OS 자체가 기본계정인 root를 이용해 최초 설치등을 진행하나
우분투의 경우 보안 목적상 OS 설치 완료 이후로는 "root"라는 계정 자체를 사용못하도록 하기 위해서
무조건 유저가 직접 생성한 계정 하나에 관리자 권한을 부어주고
root 계정은 패스워드를 무작위 생성해버리는 겁니다.
root가 없는 것이 아니고, 패스워드를 모르게 만들어버려서..
"왠만하면 쓰지 마시죠?!?!"식의 뉘앙스를 풍기는 거죠.
그래서..
root를 굳이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그 방법이란게
sudo passwd root 로 root 계정의 패스워드를 직접 설정해주면 되는거죠
(GUI 로그인관리자등에서 설정으로 root를 막아놓은 경우는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CLI상에서는 root를 사용하는데 딱히 제한은 없어보입니다)
아예 사용못하도록 "막아버렸다"는 개념이 아니라..
"감춰놨다"에 가깝습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