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플레이어의 경우 광고, 제휴 프로그램 포함, 방송 중계 등으로 수익을 내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아마, 광고와 방송 중계로 수익을 낼거라 보는데, 불필요한 제휴 프로그램 마저 포함되어 있는걸로 보아 수익이 만족스러운 정도는 아닌것 같아 보이네요.
기부 활동을 통해 수익을 얻는 경우도 있습니다. 다만, 괜찮아 보이는 프로그램이나 서비스라도 모금만을 통해 먹고 살고 개발 유지 보수는 어려워 보입니다. 우분투만 하더라도 꽤 높은 점유율을 가진 배포판인데도 불구하고 자금의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
광고를 통해 수익을 얻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자신의 프로그램 사용 행태를 살펴보면 이익은 커녕 유지비 조차 벌기 어려울거란건 쉽게 알수 있습니다. 아마, 1억명쯤 되는 이용자층이 없는 이상에야 이것만으로는 부족해 보입니다.
범죄의 경우도 있습니다. 소스코드가 공개되지 않은 프로그램에서는 직접 바이러스를 심지는 않지만, 쿠키나 웹페이지 로그, 임시 파일, 장치 정보 등을 수집해 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용자로 부터는 돈을 받진 않으나, 폐쇠 생태계를 형성시켜 서비스 중계자로서 중간에 수익을 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수수료 사업이죠.
기업에서 만들지 않은 무료 프로그램은 수익을 염두해두지 않은 봉사 활동으로 보아야 할것같습니다.
기업에서 만든 무료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간접적으로 대가를 지불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봐야 합니다.
봉사활동입니다.
대표적으로 구 kmplayer는 제작자분의 순수한 봉사활동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안타깝게도 시간과 금전의 압박으로 인해 좋은분께 팔았다고 합니다.
인지도 상승을 위해 만들어두는 경우도 있습니다. 네이버 플레이어나 곰플레이어 등...
혹은 기업용은 유료, 개인용은 무료로 배포하여 자사 프로그램을 불법적으로 사용하는 사업주로 부터 합의금이나 벌금을 챙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시는 생략합니다.
곰플레이어의 경우 광고, 제휴 프로그램 포함, 방송
곰플레이어의 경우 광고, 제휴 프로그램 포함, 방송 중계 등으로 수익을 내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아마, 광고와 방송 중계로 수익을 낼거라 보는데, 불필요한 제휴 프로그램 마저 포함되어 있는걸로 보아 수익이 만족스러운 정도는 아닌것 같아 보이네요.
기부 활동을 통해 수익을 얻는 경우도 있습니다. 다만, 괜찮아 보이는 프로그램이나 서비스라도 모금만을 통해 먹고 살고 개발 유지 보수는 어려워 보입니다. 우분투만 하더라도 꽤 높은 점유율을 가진 배포판인데도 불구하고 자금의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
광고를 통해 수익을 얻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자신의 프로그램 사용 행태를 살펴보면 이익은 커녕 유지비 조차 벌기 어려울거란건 쉽게 알수 있습니다. 아마, 1억명쯤 되는 이용자층이 없는 이상에야 이것만으로는 부족해 보입니다.
범죄의 경우도 있습니다. 소스코드가 공개되지 않은 프로그램에서는 직접 바이러스를 심지는 않지만, 쿠키나 웹페이지 로그, 임시 파일, 장치 정보 등을 수집해 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용자로 부터는 돈을 받진 않으나, 폐쇠 생태계를 형성시켜 서비스 중계자로서 중간에 수익을 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수수료 사업이죠.
기업에서 만들지 않은 무료 프로그램은 수익을 염두해두지 않은 봉사 활동으로 보아야 할것같습니다.
기업에서 만든 무료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간접적으로 대가를 지불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봐야 합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