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표현식에 대하여 질문합니다.
Lua처럼 스크립트 엔진을 만들고 있습니다.
Function ScriptEngine(Int Index, Int Position)
{
If(Position == Index)
{
Return("RETN_INDEX", "1503", "INT");
}
Else If(Position > Index)
{
Return("RETN_INDEX", "0", "INT");
}
}
이렇게 스크립트가 있다면 정규식으로
If(Position == Index)
{
Return("RETN_INDEX", "1503", "INT");
}
Else If(Position > Index)
{
Return("RETN_INDEX", "0", "INT");
}
딱 추출하고싶은데 추출이 되긴합니다.
겨우겨우 찾아서 {([^{}]+)} 이거를 사용해보니깐 되기는 되는데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가 같이 포함되서 나옵니다.
Function ScriptEngine(Int Index, Int Position)
{
Function("Call", "Initialize");
}
여기에 위 정규식을 적용시켰을 경우
{
Function("Call", "Initialize");
}
이렇게 나옵니다.
즉 함수안에 {}가 있다면 상관없지만 {}가 함수에만 존재하는경우에 그것이 포함되서나옵니다.
제가원하는 결과는
{}안에 존재하는 모든내용들 즉,
Function("Call", "Initialize");
이것만 딱 나오게하고싶은데
안에 괄호가 더있지않는이상 {}이게 포함되서나옵니다.
정규식에 관한 글을읽어도 도무지 이해를 못하겠습니다.
어떤 정규식을써야 {}을 제외한 안에 존재하는 내용만 나오게 할 수 있을까요??
*정규식에 관련된 책 좋은것있다면 소개해주세요. 검색을해봐도 도무지 어떤게 초보자에게 좋은지 모르겠습니다.
정규식은 비추입니다
정규식에 워낙 기기묘묘한 기능이 많으니까 안된다고 말은 못하겠는데, 혹시 되더라도 안 쓰시는 게 낫다고 자신있게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 부분을 제대로 추출하려면 괄호가 몇 개 열리고 닫히는지를 셀 수 있어야 하는데 이런 건 정규식에서 제대로 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닙니다.
(게다가 중간에 Function("{") 같은 거 나오면 어쩌실라구요?)
좀 귀찮더라도 정식적으로 tokenize해서 여는 괄호, 닫는 괄호 갯수를 세면서 괄호가 딱 맞게 닫히는 지점을 찾는 것이 낫습니다. 안 그러면 두고두고 maintenance를 괴롭히는 원흉이 됩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