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tpd 문의
글쓴이: jungj3 / 작성시간: 화, 2014/02/11 - 12:37오후
안녕하세요 처음으로 글을써보네요. ^^;
aix에서 proftpd 깔고 conf파일을 설정하고 21port를 임으로 변경을하였습니다. ex)11111 port
이렇게 하여 다른서버에서 동일네트워크 test시 정상적임을 확인하고 상대에게 알려주었는데
접속은 잘되는데 data전송이 안되다고 합니다.[227 Entering Passive Mode]
혹시 proftpd 의 data전송포트를 지정하는 방법도 있는지요?
Forums:
추가 정보
[2014-02-11] [10:57:09] XXXX[warning] daemon proftpd[11237]: auth-test (172.16.21.2[172.16.21.2]) - Refused PORT 172,16,20,2,2
50,174 (address mismatch).
messages log를 확인하니 이렇게 되어 있네요. 네트워크에서 172.16.20.2에 대한 NAT를 하여 172.16.21.2로 변경을했는데...왜 refused port 172.16.20.2이런식으로 발생되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172.16.20.2,[250,174]이건 또 뭘까요???구글링 실력이 일천하여 못찾겠네요...ㅜㅜ
ftp nat 개인 blog에 적혀 있는
ftp nat
개인 blog에 적혀 있는 따라하기식의 문서를 멀리하시면 최단거리로 결승선 통과하실 수 있습니다.
최단시간은 보장드리지 못하지만...
ftp 는 포트를 하나 이상 사용합니다. 데이타
ftp 는 포트를 하나 이상 사용합니다.
데이타 전송용으로 사용하는 포트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21번 포트가 아니고, 고정되어 있지도 않습니다.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가 PORT 커맨드로 알려준 주소와 포트를 사용해서 서버가 클라이언트측으로 접속을 시도하게 되며 이것을 active mode 라 부릅니다.
클라이언트가 NAT 이거나 방화벽 내부에 있을 경우엔 접속이 되지 않습니다. 클라이언트가 PORT 커맨드로 알려준 주소가 틀리거나(NAT) 포트가 막혀있기(방화벽) 때문입니다.
이 경우에 클라이언트측에서 서버측으로 접속을 시도하는 방식으로 전환 할 수 있으며, 이것을 passive mode 라 부릅니다. (클라이언트측과 서버측 s/w 모두가 passive mode 를 지원해야만 합니다)
passive mode 를 사용하는 이유는,
설령 서버가 NAT 이거나 방화벽 내부에 있다해도 관리자가 FTP 서버측 설정과 함께 NAT 혹은 방화벽 설정을 잘(!) 하면 깔끔하게 해결되기 때문입니다.
잘(!) 하시길 응원하겠습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