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내용으로 인해 오해를 드릴 수 있을 거 같아 삭제합니다.]

xenoz0718의 이미지

현재 서비스와는 관련 없는 오래된 내용을 가지고 있어 불가피하게 내용을 삭제하였습니다.

마잇의 이미지

실시간 코드 동시 편집, 이 기능 넣으 시려면 '실시간 중재' 기능도 넣으셔야 합니다. 쌈나요. : )

라이센스를 이미 확정하셨다면 README 보다는 LICENSE 파일을 루트 디렉토리에 따로 만드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
마잇

마잇의 이미지

http://en.goorm.io/open-source

Is the open source version free to use?

It is free for private users, but it is not free for groups with more than 2 members, corporations, etc. goorm is protected by copyright law and the official license, if the violation of the legal action can be imposed.

라이센스가 AGPL 3.0인데 저 내용은 어긋나는 게 아닌가요?

같은 페이지에 있는 이 내용도 좀 의아해 보입니다.

goormIDE fundamentally has a dual license. Currently being released as open source version is the AGPL v3 conforms to the open source project. Modifying the source code must be disclosed the source code using the same license. If you want to use goorm IDE commercially, you must purchase the license.(contact@goorm.io)

AGPL 3.0 이면 공개하신 구름 소스 코드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때 코드 공개의 의무가 있는 것이지만 유료 버전을 구매해야 하는 강제성은 없지 않은가요?

2명 이상의 사용자가 사용할 때, 상업적으로 사용할 때, 이런 조건이 붙으면 그건 더이상 AGPL이 아니지 않을까 생각 합니다.

제가 알고 있는 바로는 AGPL은 GPL + 해당 소프트웨어를 이용해서 네트웍을 통한 서비스를 할 때도 코드 공개의 의무를 가진다. 이렇게 알고 있습니다.


--
마잇

xenoz0718의 이미지

현재 오픈 소스 정책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사업화를 하고자 하고 있는데, 지금은 듀얼 라이센스 정책을 취하려고 하는 상태입니다.

오픈 소스 저작권 위원회?! 인가 하는 곳으로부터 상담도 받아 보았는데, 명확한 답변보다는 모호한 답변을 얻어 현재는 보시는 바와 같이 사이트에 올라가 있는 상황입니다 ㅜㅜ

혹시 이러한 부분에 대하여 자세히 알고 계신다면 도움을 주실 수 있을런지요?! ㅜㅜ

사실 2명 이상의 사용자도 무료로 사용하여도 상관없을 것 같고, 기업이 상업화를 하는 등의 문제만 방지하고 싶을 뿐입니다.

마잇의 이미지

제가 지적할려고 했던 부분은 AGPL 라이센스에 다른 조건을 거는 순간 AGPL이 아니게 된다는 것이었습니다.

"AGPL인데 추가적으로 이러이러한 조건이 있다" 하면 이미 AGPL은 아니고 또 다른 라이센스가 되는 거죠.

굳이 따지자면 그것도 새로운 라이센스가 맞긴 합니다. 리눅스 커널도 "GPLv2 + 예외적인 조건 추가"로 알고 있습니다.

근데 AGPL 3.0인데 두 명 이상 사용해서는 안되고 상업적 사용도 안되고... 이건 좀 너무 하신게 기본적인 GPL 내용은 알고 계신가 의심이 될 정도로 엉뚱합니다.

GPL 뿐만 아니라 그 어떤 오픈 소스 라이센스도 저런 제약은 없습니다.

오픈소스 라이센스의 기본은 '사용, 수정, 배포의 자유' 이 세가지는 기본 입니다. 좀 세밀한 차이는 있긴 한데, 유료나 무료나는 전혀 영향이 없습니다. 다시 말하면 상업적인 서비스에 이용할 수 있느냐 아니냐는 전혀 관계 없습니다. 완전 자유롭습니다.

제가 아는 한도에서는 AGPL이 의도하신 목적에 맞는 라이센스는 맞는 것 같습니다. 그냥 GPL은 "내가 그냥 사용할 경우"에는 소스 코드의 공개 의무가 없습니다. 사용자에게 직접 배포를 안하니깐요.

GPL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서 서비스를 운영하는 회사도 "내가 그냥 사용할 경우"에 해당 되어서 코드 공개의 의무가 없었습니다. '구름'을 가져다 '안개' 서비스를 해도 코드 공개의 의무가 없는 것이죠.

AGPL은 해당 소프트웨어를 네트웍을 통해서 서비스를 하는 경우에도 코드 공개의 의무가 있다고 확장한 라이센스로 알고 있습니다. 설치용 소프트웨어만 아니라 웹을 통한 서비스 형태로의 소프트웨어가 보편화 되니까 그에 맞춰 약간 더 코드 공개에 대한 의무적인 부분을 확장했다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정확히 이해하셔야 할 건 코드 공개의 의무를 가지느냐 아니냐의 차이지 상업적인 서비스를 하느냐 마느냐를 제약할 수 있는 건 아닙니다.

누군가가 AGPL 3.0의 '구름' 코드를 가져다 '안개' 서비스를 하게 되면 코드 공개 유무의 부분만 라이센스의 제약을 받지, 상업적인 서비스냐 아니냐는 전혀 관계 없습니다.

제가 다른 댓글에서 지적한 부분 - 두명 이상의 사용자 라던가 상업적 사용이 문제 된다면 오픈 소스라는 타이틀을 포기하셔야 합니다.

오픈 소스 라이센스 중에 그런 조건 만족하는 건 없습니다.


--
마잇

jick의 이미지

AGPL이라면 지금 이 순간 (예를 들면) 네이버 담당자가 "어? 괜찮은 아이디어네" 하고 이 코드를 통째로 다 가져가다 똑같은 서비스를 만들어서 운영해도 됩니다. (소스만 AGPL로 공개하면 됩니다.)

그때 가서 "네이버 같은 대기업이 어떻게 이럴 수 있냐 스타트업 아이디어를 도용했다"라고 길길이 뛰어도 소용없습니다. 자신의 아이디어를 오픈소스로 배포한다는 게, "이 아이디어 아무나 가져가서 똑같은 서비스 제공할수록 저는 좋으니 많이많이 가져가서 서비스하세요"라는 얘기입니다.

라이선스도 계약이고 계약은 현실입니다. 사무실 계약할 때 계약서 문구가 멋져 보인다고 읽지도 않고 대충 사인하지는 않죠. 신중하게 생각해 보시길 바랍니다.

xenoz0718의 이미지

일단 저희 입장에서는 두 분의 답글을 통해 근본적으로 오픈 소스를 진행해야 하는 가에 대한 의문부터 다시 시작해야할 것 같습니다.

흔히들 이야기하는 듀얼 라이센스를 염두에 두고 진행을 했었고, 아래 페이지도 많이 참고했습니다.

http://www.mysqlkorea.co.kr/sub.html?mcode=product&scode=08

우선은 라이센스라는 부분... 그 누구도 속시원한 대답을 해주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앞으로 계속 공부하고 조언을 얻어 개선해나갈 수 밖에 없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이미 고지가 되어 있는 부분이긴 하지만, 최대한 명확하게 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뭔가 다른 조언해주실 내용이 있으시면 2번 3번 읽고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 부탁드립니다!

klara의 이미지

이건 법적책임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정말로 제대로된 답변을 얻고자 하시면 돈주고 변호사와 상담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원하시는건 아무래도 듀얼라이센스가 아니라 독자적인 라이센스같네요. 보통 듀얼라이센스라 하면 소스 코드의 제약을 풀어서 그로부터 파생물에 원 소스코드의 제약이 걸리지 않게하는게 목적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라이브러리가 GPL/독점라이센스 듀얼 라이센스라면 해당 라이브러리의 파생물에 GPL이 적용되게 하고 싶지 않으면 독점라이센스를 구입하여라, 이와같은 거래가 되는겁니다.

마잇의 이미지

직접 사용해볼수 있는 데모 버전 링크가 없네요. 아쉽습니다.


--
마잇

xenoz0718의 이미지

베타 서비스 계정을 신청하시면 기능을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

마잇의 이미지

http://goorm.io/open-source

한글로 된 페이지를 이제 봤네요.

오픈 소스 버전은 무료인가요?

개인 사용자에 한해 무료로 사용하여도 상관없습니다. 하지만 2인 이상의 단체, 기업 등은 무료로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구름IDE는 공식적인 라이센스와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으며, 이를 침해할 경우 법적인 조치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구름은 기본적으로 듀얼 라이센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 오픈 소스로 공개중인 버전은 AGPL을 따르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이며,
소스 코드를 수정하셔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동일한 라이센스로 소스 코드를 공개하여야 합니다.
만약 구름 IDE를 상업적으로 이용하실 경우에는 라이센스를 구매하여 사용하셔야 합니다. 
상용 라이센스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가 공개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 조직을 대상으로 합니다. 
상용 라이센스를 가진 사용자는 그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보증 받습니다.
또한 상용 라이센스를 가진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오픈소스로 만드는 데에는 아무런 제약이 없습니다.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이 무료 소프트웨어로 등록된 AGPL에 상응하는 무료 소프트웨어 라이센스가 아니거나,
OSI 호환이 아닌 경우에 goorm IDE를 배포하고자 한다면, 먼저 상용 라이센스를 획득해야 합니다.

상용 라이센스 구매가 필요한 구름 설치/사용의 예
- goorm IDE를 포함하고 있는 소프트웨어를 고객에게 팔아 고객이 소유한 장비에 설치하는 경우
- goorm IDE를 포함하고 있는 소프트웨어를 고객에게 서비스하는 경우
- goorm IDE를 포함하고 있는 하드웨어를 고객에게 파는 경우
- goorm IDE를 고객이 소유한 장비에 설치하여 파는 경우

무료 소프트웨어를 선호하는 개인 사용자에게는 AGPL 라이센스를 권장합니다. 
하지만 모든 영리 기관과 정부 단체에 상용 라이센스를 권장합니다. 
그러면 AGPL 라이센스의 폭넓고 엄격한 요구 사항(소스를 공개 해야 하는 요구 사항)에서 자유로울 수 있습니다.
  • 하지만 2인 이상의 단체, 기업 등은 무료로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 만약 구름 IDE를 상업적으로 이용하실 경우에는 라이센스를 구매하여 사용하셔야 합니다.

  • 상용 라이센스 구매가 필요한 구름 설치/사용의 예

    • goorm IDE를 포함하고 있는 소프트웨어를 고객에게 팔아 고객이 소유한 장비에 설치하는 경우
    • goorm IDE를 포함하고 있는 소프트웨어를 고객에게 서비스하는 경우
    • goorm IDE를 포함하고 있는 하드웨어를 고객에게 파는 경우
    • goorm IDE를 고객이 소유한 장비에 설치하여 파는 경우

github에 AGPL로 소스 코드를 이미 올리셨는데, 이 내용들은 AGPL과 어긋나는 것 같습니다.

제가 뭔가 잘못 알고 있나...


--
마잇

마잇의 이미지

서비스 시작 하는데 괜한 찬물을 뿌리는 것 같아 죄송하긴 한데 '오픈 소스'라는 타이틀을 붙이시려면 그 기준에 맞아야 합니다.


--
마잇

ddoman의 이미지

http://en.wikipedia.org/wiki/Open-source_license

"Licenses which only permit non-commercial redistribution or modification of the source code for personal use only are generally not considered as open-source licenses."

무조건 소스를 공개를 한다고 오픈소스로 불리는것이 아닙니다. 상용적 사용 제한이 두면서 소스를 공개하는것은, 오픈소스 라이센스로 불리지 않습니다. 그냥 상용라이센스이죠.

오픈소스의 목표는 기술을 감추고, 독점적 지위를 이용하여 시장을 점유하는 것을 방지하는것입니다.
기술(소프트웨어/코드)를 판매하는것이 아니라, 서비스를 판매하는 모델로 가야한다고 주장 합니다.

많은 클라우드 플랫폼 기업들은, 자사의 기술(소프트웨어)를 오픈하고, 누구나 사용할수 있게 하며, 수익모델은 컨설팅으로 합니다.
아무리 기술이 오픈되었다하더라도, 개발을 주도하는 원저작자가 자사의 기술을 활용하는 컨설팅을 제일 잘하거든요. 그런회사들은 소프트웨어가 아니라, 아이디어와 서비스를 팝니다. 그게 오픈소스가 지향하는길이기도 합니다.

모든 소프트웨어가 오픈소스가 될 필요가 없습니다. 원하시는 목표가 기업들을 대상으로 소프트웨어를 판매 하는것이라면, 그냥 데모 프로그램 만들어서 배포하시는것이 원하시는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ytkim4558의 이미지

코드가 오픈이 되어있다고 서비스까지 개발자가 막지는 않습니다.

-------------------
여기서부터는 서명입니다:-)
---------------------
운명이란 누가 주어주는것도 아니고
본인의 피로 그걸 극복할 수 있다
그 운명을 좀더 공평하게 만들고자 하는게 내 일이다.

ytkim4558의 이미지

소스가 공개된 쉐어웨어로군요..
라이센스는 바꾸시고 프리웨어가 아님을 명시하는게 혼란을 줄일듯합니다. ^_^

-------------------
여기서부터는 서명입니다:-)
---------------------
운명이란 누가 주어주는것도 아니고
본인의 피로 그걸 극복할 수 있다
그 운명을 좀더 공평하게 만들고자 하는게 내 일이다.

mirheekl의 이미지

버추얼박스는 기본 패키지는 GPLv2로 룰만 지키면 누구나 자유롭게 쓸 수 있으나, 확장팩은 별도의 라이센스를 지녀서 상업적으로 이용시 구매를 해야 합니다.

이런 방식을 사용해보시는 건 어떨까 싶네요.

본문을 보니 상업서비스용으로는 "실시간 코드 동시 편집 / 코드 변경 히스토리 / 채팅 등의 협업을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고 되어있는데 바로 이 부분을 별도의 패키지 처리하면 되지 않을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