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프로젝트로 체인코드를 이용한 필기인식을 만들라고 교수님께서 지시하셨는데 현재 앞서 진행했던 선배분들께서 입력받은 문자를 세선화하여 체인코드로 만드는 것까지는 하셨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어받은 저희가 지금 체인코드나 세선화가 무엇인지 어떻게 사용하는건지 몰라 전혀 진행이 되지를 못하고 있습니다. 관련해서 공부할 수 있는 서적이나 사이트가 있다면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그건 지시하신 교수님께 물어보셔야죠. 그러라고 비싼 등록금 내고 학교 다니시는건데요
그게 다 공부라며 그것도 못찾아서 물어보면 나중에 취직해서도 모르는 기술 나오면 그땐 어떻게 찾을거냐며 하냐며 그정도는 스스로 찾아보라 하십니다;;
그정도는 찾아보는게 기본이긴 하지만, 인수인계가 제대로 안 되어 있으면 찾아본다고 해서 될 일이 아니죠.
앞서 진행한 선배들에게 연락해서 도대체 뭘 만들어 놓고 간건지 설명을 부탁하세요.
피할 수 있을때 즐겨라! http://melotopia.net/b
군대가셔서 말이죠... rotc..
- http://www.oocities.org/turbowu/chaincod.htm chaincode 알고리즘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techshare&logNo=100137156001 - 세선화
검색에 걸린 시간 약 5분
chaincode 알고리즘의 원리는 많이 알려져있고 또한 알기 쉽습니다. 세선화 원리도 역시 위 소스를 참고하시거나 검색해보시길.
------- 세선화가 필요한 방식이면 오프라인 필기 인식같은데, 그보다 좀 더 쉽고(?) 세선화 과정도 필요없는 온라인 필기인식이 대학 프로젝트에 더 적합하고 응용범위도 넓을 것 같네요.
온라인 필기 인식 과 오프라인 필기 인식이 있나 보네요.. 감사합니다 온라인 필기 인식도 찾아보아야 겠습니다.
텍스트 포맷에 대한 자세한 정보
<code>
<blockcode>
<apache>
<applescript>
<autoconf>
<awk>
<bash>
<c>
<cpp>
<css>
<diff>
<drupal5>
<drupal6>
<gdb>
<html>
<html5>
<java>
<javascript>
<ldif>
<lua>
<make>
<mysql>
<perl>
<perl6>
<php>
<pgsql>
<proftpd>
<python>
<reg>
<spec>
<ruby>
<foo>
[foo]
그건 지시하신 교수님께 물어보셔야죠. 그러라고 비싼
그건 지시하신 교수님께 물어보셔야죠.
그러라고 비싼 등록금 내고 학교 다니시는건데요
그게 다 공부라며
그게 다 공부라며 그것도 못찾아서 물어보면 나중에 취직해서도 모르는 기술 나오면 그땐 어떻게 찾을거냐며 하냐며 그정도는 스스로 찾아보라 하십니다;;
그정도는 찾아보는게 기본이긴 하지만, 인수인계가
그정도는 찾아보는게 기본이긴 하지만, 인수인계가 제대로 안 되어 있으면 찾아본다고 해서 될 일이 아니죠.
앞서 진행한 선배들에게 연락해서 도대체 뭘 만들어 놓고 간건지 설명을 부탁하세요.
피할 수 있을때 즐겨라! http://melotopia.net/b
군대가셔서..
군대가셔서 말이죠...
rotc..
-
- http://www.oocities.org/turbowu/chaincod.htm chaincode 알고리즘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techshare&logNo=100137156001 - 세선화
검색에 걸린 시간 약 5분
chaincode 알고리즘의 원리는 많이 알려져있고 또한 알기 쉽습니다.
세선화 원리도 역시 위 소스를 참고하시거나 검색해보시길.
-------
세선화가 필요한 방식이면 오프라인 필기 인식같은데, 그보다 좀 더 쉽고(?) 세선화 과정도 필요없는 온라인 필기인식이 대학 프로젝트에 더 적합하고
응용범위도 넓을 것 같네요.
온라인? 오프라인?
온라인 필기 인식 과 오프라인 필기 인식이 있나 보네요..
감사합니다 온라인 필기 인식도 찾아보아야 겠습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