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으로 코드관리할때 workflow에 대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현재 이직한 회사에서 버전관리툴로 git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svn을 주로 사용하다가 git을 사용하게 되다보니 git의 하나의 싸이클? workflow?에 대한 궁금증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현재 제가 사용하는 방법은
1. git 에 repository 등록 (master)
2. x1이라는 개인 branch 생성및 등록
3. x1 branch에서 계속작업하다가 하나의 기능이 완성
4. x1 branch에서 commit -> push
5. (x1) : git checkout master
6. (master) : git pull
7. (master) : git merge --squash x1
8. (master) : git commit -a
9. (master) : git push
10. (master) : git checkout x1
11. (x1) : git pull origin master
12. 개인 브랜치에서 계속 작업
이런식으로 하나의 사이클(?)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계속 사용하다보니 8번 과정에서 제 개인 브랜치에서 작업한 로그기록들이 처음부터 쌓여서 나타나게 되더군요
저는 --squash merge를 하게되면 그 이후의 커밋 기록들이 나타날줄알았는데 저렇게 모든 기록이 나타나버리니
과연 제가 잘 사용하고 있는건지 궁금해지게 되서요
이렇게 질문을 드립니다.
다른 분들은 어떻게 git을 사용하고 계신지 제가 사용하는 방법이 잘못되었는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덧붙이는 글)
그동안 KLDP에 거의 안오다가 오랜만에 와서 질문만 올리게 되어 죄송합니다. ^^;;;
git flow 씁니다. 참고하세요.
git flow를 바탕으로 간단히 프로젝트에 맞추어 간단한 룰을 정해놓고 씁니다.
https://github.com/nvie/gitflow
http://jeffkreeftmeijer.com/2010/why-arent-you-using-git-flow/
http://vimeo.com/16018419
와 정말 유용할 것 같습니다. 항상 좋은 정보 나누어
와 정말 유용할 것 같습니다.
항상 좋은 정보 나누어 주어서 정말 감사합니다.
Thanks for being one of those who care for people and mankind.
I'd like to be one of those as well.
감사합니다.
한번 사용해봐야겠네요
==================================================================
정체된 일상.... 계기를 만들어야 하는데........
BLOG : http://khmirage.tistory.com/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