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컴퓨터로 리눅스 프린트 서버 구축하기
GUI로 쓰기는 힘든 오래된 컴퓨터가 한대 있습니다. 사람들이 말하는 거 듣고 우분투로 프린트 서버 구축이나 하려고 했죠. 사실 구차한 사정이 더 있지만요. 강아지를 피해서 프린터를 높은 곳에 설치해야 한다거나... 느린 속도에 고통받지 않기 위해 우분투닷컴에서 12.04 최소설치 베포판으로 설치했습니다. 그리고 윈도우7 컴퓨터에서 putty를 사용해서 cups랑 samba를 설치하고 인터넷에 나온대로 cupsd.conf와 smb.conf를 만져봤지만 윈도우 피씨에서 프린터를 사용하는데 실패했습니다. 윈도우 컴퓨터의 웹브라우저로 cups에 접속하고 그것의 프린터 검색창에 우분투 컴퓨터의 작업그룹과 호스트네임을 표시하는데 성공했지만 프린터는 인식에 실패했는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우분투 컴퓨터의 아이피와 포트번호(631), 그리고 프린터 명을 직접 입력하여 찾아보기도 했지만 검색되지 않았습니다. cups 웹인터페이스를 통해 시험페이지는 잘 출력되니 프린터 연결의 문제나 네트워크 접속 문제는 아닌 듯합니다. 인터넷으로 검색되는 쉬운 해결법은 gui로 시스템 설정을 건드리는 것인데 그것은 사양의 문제로 절대 불가능합니다(제가 알기로 리눅스는 cui중심인데 우분투라서 그런지 gui 방법이 더 많이 나오더군요). 별 안 되는 커멘드라인 해결법을 따라가봤지만 버젼이 달라서 그런지 조금씩 달라서 뭘 해야할지 망설이게 만든더군요. 윈도우 컴퓨터들에서 이 우분투 컴퓨터에 연결된 프린터가 나타나게 할 방법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어디가 문젠지 모르는 상황이니까... 일단
어디가 문젠지 모르는 상황이니까... 일단 samba는 덜어내고 cups만 신경써보려면
윈도우에서 프린터추가 대화상자 열고
http://접속주소:631/printers/프린터이름
해서 등록이 되야할텐데요. 이 방식에선 samba는 관여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해도 안되나요?
\\접속주소\프린터이름
이건 samba구요.
samba 세팅을 하셨다면
윈도우에서 실행 대화상자 열고
\\접속주소\
로 탐색기가 잘 열리는지, 거기 프린터가 보이는지 해보시구요.
방화벽도 확인해보시구요.
cups에는 등록됐어요.
그러니까 테스트 페이지를 출력했죠.
그냥 윈도우 컴퓨터에 프린터 물리고 프린터 밑에 책상을 놔서 강아지가 못 올라가게 했습니다.
윈도우에 물리니 별 문제없이 윈도우 컴퓨터끼리 공유 완료 굳~ -_-;;
리눅스 컴퓨터는 그냥 교육용으로 써야겠네요.
이거 뭐 버리기도 아깝고 계륵이라서요, 완전.
그런데 이 프린터에 물린 컴퓨터 끄고 프린트 되게 할 수 없을까요?
전기세가 만만치 않아서요 ㅋㅋ.
ActiveX 좀 안 쓰는 세상이 오기를
당연히 안 됩니다. 그래서 네트워크 지원 프린터나
당연히 안 됩니다. 그래서 네트워크 지원 프린터나 USB 프린터 서버 같은 게 있습니다. Wake-on-LAN 같은 걸로 평소에 꺼 두거나 대기 모드로 놓고 인쇄하기 전에만 켜서 쓰는 방법이 있는데 이건 또 이거 나름대로 불편할 수도 있습니다.
네트워크 프린터라...
다나와에서 분류되어 있던데 아무거나 사서 컴퓨터에 연결 없이 랜에 바로 연결하면 별 다른 설정없이 같은 랜에 있는 윈도우 컴퓨터에서 찾아 쓸 수 있나요?
만약 그런 거면 구매의사가 있어서요. ^^
ActiveX 좀 안 쓰는 세상이 오기를
모든 네트워크 프린터가 smb printer 를
모든 네트워크 프린터가 smb printer 를 제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 뭐가 됐건 매뉴얼에 잘 나와있으니 그대로 따라하면 됩니다.
예를 들면,
"프린터에 네트웍 세팅을 잘 하고 전원을 켜 놓은 상태에서 windows 에 그 프린터의 드라이버 패키지를 설치하면 네트웍 스캔을 통해 프린터를 디텍트 한 다음 자동으로 설정해서 프린터 목록에 추가한다"
인 경우도 있습니다.
cups 에 등록됐다면 그걸 그대로 export 해서
cups 에 등록됐다면 그걸 그대로 export 해서 linux 건 unix 건 windows 건 mac OS 건 상관없이 접근/사용 할 수 있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쓰신 분이 그걸 설명한 것이고요.
간단하게 되는 것은 아니지만 howto 가 많으니 그대로 따라하셔도 큰 무리없고,
samba 를 쓸 이유가 없습니다.
뭐... samba를 구지 안 쓸 이유도 없죠.
특히, windows 에선 설정하기가 어렵다고 느끼는 사람도 있을 수 있으니.
(linux/unix cups 의 경우엔 네트웍상에 공개된 프린터를 자동으로 잡아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 이상하게 인터넷에 치면 두개가 같이 묶어 나와서요.
당연히 같이 설치해야 하는 줄 알았죠.
뭐 이미 윈도우 컴퓨터에서 연결해서 그냥 해결했지만요 -_-;;
ActiveX 좀 안 쓰는 세상이 오기를
... windows PC 에 연결된 프린터를
... windows PC 에 연결된 프린터를 Linux cups 에서 잡아 쓸 수 있습니다.
samba 서버와는 관련 없고, 따로 패키징 되는 smb client 라이브러리가 필요합니다.
다만, windows OS는 프린터 드라이버를 반드시 local 에 설치하기를 요구하기 때문에,
windows PC 에 물린 프린터를 Linux cups 에서 잡아쓰려면 그 프린터의 리눅스용 드라이버(하다못해 호환 ppd라도)가 필요합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