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료] 이런 연결의 서버 구성이 가능할까요? (공유기 안쪽, 사설ip의 네임서버)
글쓴이: linux4u / 작성시간: 화, 2012/05/22 - 2:34오후
공인ip
|
공유기
| |
| |
| PC
Linux Server
1. 도메인을 공인 IP에 연결
2. 서버에서 사용할 각종 포트를 서버로 포워딩 하도록 공유기에 설정(공인IP로 서버에 접속되는 것 확인)
여기서 사설 IP를 갖는 리눅스 서버에 네임서버를 구축한 후 호스트 관리하는 것이 가능한지요?
(호스트 관리라고 해봐야 같은 서버의 웹, ftp 서버에 접속하는 것이 다일듯하지만요;;)
Forums:
가능합니다. 실제로 그렇게 사용되고 있는 사례도
가능합니다.
실제로 그렇게 사용되고 있는 사례도 부지기수이고요.(방화벽/VPN 안쪽에선 벼라별 일이 다 벌어집니다)
그 서버의 DNS 포트(udp/tcp)에 접속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DNS 서버를 그 서버로 지정할 수만 있으면 됩니다.
다만.. 그 서버가 power off 상태거나 기타 등등 query 에 제대로 응답 못하는 상황을 고려한다면,
myhome 등 있을리 없는 도메인을 사용하시고, 각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선 두번째 네임서버로 그 서버를 지정해야겠죠.
답변 감사합니다.
이게 되는 것인지 안되는 것인지를 몰랐었는데, 된다니 열심히 삽질해봐야 겠네요.@_@
답변 감사합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