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료] Ubuntu/Apache2/PHP www-data로 파일 생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글쓴이: chanyy / 작성시간: 화, 2008/10/21 - 9:42오후
아마 비슷한 질문이 있었던 것으로 아는데요...
PHP에 의해서 파일이 생성될 경우 user/group이 www-data/www-data로 설정되는데요,
이걸 각 계정 사용자의 소유로 생성되게 만들고 싶어서요.
대략 여기저기 들쑤셔보니 (제가 들어보기에 그럴싸한) 몇 가지 방법으로 압축되는데...
1) suPHP
이건 아예 패키지로 보이더군요. 설치하고 enable시킨 후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서 헤메고 있습니다.
2) php-cgi
이건 아직 시도를 해 보지는 않았습니다만 (사실 원리도 잘 이해가 안됩니다요 ㅠㅠ)
3) PHP with suexec
제일 현실적인 방법 같은데, 역시 초보자가 따라가기에는 힘듭니다요;
4) setgid
제가 정확하게 이해한 게 맞다면, 디렉토리에 이 Flag가 설정되어 있으면 그 디렉토리 안에서
실행되는 Script에 의해서 생성된 파일은 그 디렉토리의 group으로 설정된다는 것 같은데,
실제로 생성되는 파일들을 보니 그렇지 않더라구요.
----
이러나저러나 파일 주인이 잘 안 바뀌는 것 같네요.
이제 막 리눅스 제대로 만지게 된 지 1주일여인데다
영문 자료들을 보아도 잘 이해가 되지 않아서 질문 드립니다요.
뭔가 좀 효과적인 방법이 있을까요?
혹은 참고할만한 자료가 있다면 부탁드리겠습니다. ^^
(혹시 이 문제는 영원한 숙제인건가요? 흑흑...)
Forums:
자문자답입니다.
의외로 문제는 어느정도 가닥을 잡아갑니다.
일단 접근해법은 suPHP네요.
1. libapache2-mod-suphp 설치
2. /etc/apache2/mods-enabled/의 php5.* 링크 삭제
3. /etc/apache2/mods-enabled/에다가 suphp 관련 모듈 링크걸기
여기까지 하면 docroot에서는 user/group이 실행자 권한으로 작동되고,
이 때 파일이 생성되면 user/group 소유가 되네요.
남은 문제는, user-dir 모듈을 사용할 때인데...
열심히 구글링 하고 있습니다.
...다들 알고 계셨던걸까나요 흙
자문자답 두 번째 조각입니다.
아... 결국은 해결했네요.
위까지는 맞습니다.
suPHP의 기본설정은 내부적으로 설정하는 docroot 아래에서 실행되는 PHP에 대해서
Group unwritable이면 실행되게 되어 있네요.
각 계정 사용자의 권한으로 PHP가 실행됩니다.
/etc/suphp/suphp.conf에서 docroot를 변경하시고,
디렉토리/PHP code의 그룹 권한만 조정해 주시면 바로 되네요...
초보의 첫 삽질이 그나마 결과를 보게 되어서 기쁘네요;;
chanyy 님께서 하신 것을 좀 자세히 알려주실 수 있나요?
suPHP 검색하다가 보게 됬는데요,
우분투 10.04 LTS 에 suPHP를 설치할려고 하는데
쉽지가 않네요
첨부터 상세히 알려주실 수 있나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