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단추를 잘못 꿰어서 바로잡을 때 참고할만한 과학기술 법칙이 있을까요?

cleansugar의 이미지

첫단추를 잘못 꿰어서 바로잡을 때 참고할만한 과학기술 법칙이 있을까요?

궤도 이탈한 게 정상궤도로 돌아오는 최적의 방법이나 가역반응같은 거요.

전산, 물리, 화학, 생물학, 건축학 등에서 말입니다.

snowall의 이미지

뭔가가 가역반응이면 당연히 어떻게 하면 되돌릴 수 있는지 알려져 있을 것이고, 비가역반응이면 에너지랑 엔트로피를 넣어줘야 되돌릴 수 있겠죠. 불가능할수도 있고요.

그런데, 범주 없이 "과학 기술 법칙"이라고만 하면 너무 광범위한데요...

예로 드신 인공위성이나 로켓의 궤도 이탈을 생각해 본다면, 이건 "법칙"이라고 말한다면 "뉴턴의 운동 법칙"밖에 없죠.
그럼 도대체 어떻게 하면 되는거냐고 묻는다면 그건 또 경우마다 다르겠죠. 이쪽으로 가야 하는데 저쪽으로 가고 있으면 로켓을 저쪽으로 발사해서 이쪽으로 되돌리는 건데, 로켓을 얼마나 세게 얼마나 오래 발사해야 하는가 하면 그건 그냥 F=ma를 풀면 되는 문제니까요.
물론 쉽지는 않지만 기본적으로는 운동방정식 문제겠죠.

어떤 답을 원하시는건가요?

피할 수 있을때 즐겨라! http://melotopia.net/b

cleansugar의 이미지

경로 의존성과 전환 비용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029&aid=0000181072

정리하면 경로의존성 문제가 생겼을 때,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는 전략이나 법칙이 궁금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재벌 2세가 재벌이 될 확률과
금메달리스트 2세가 금메달을 딸 확률이 비슷해지도록
자유오픈소스 대안화폐를 씁시다.

아이디의 아이디어 무한도전
http://blog.aaidee.com

귀태닷컴
http://www.gwitae.com

snowall의 이미지

뭐가 안될때, 어디서 틀렸는지만 찾아내도 문제의 반은 해결한거죠.

아시다시피 단추를 잘못 꿰었을 때, 최적의 답은 잘못 꿰기 시작한 부분까지 풀고 거기서부터 다시 꿰는 겁니다. 확인하면서. 첫단추부터 틀렸으면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겠죠.

피할 수 있을때 즐겨라! http://melotopia.net/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