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료]어셈코드에서 16진수 표기할때 \x h 0x의 궁금증입니다.
글쓴이: 3n73rW0rld / 작성시간: 화, 2012/04/17 - 7:20오후
어셈코드를 만들거나 디스어셈된코드를 본다거나 할때 16진수를 표현하는데 \x h 0x의 프리픽스나 서프픽스를 사용합니다.
그런데 왜 저 세가지(제가 모르는게 있을 수도 있지만)의 표현방식이 존재하며 16진수를 표기하는건 맞지만 셋의 차이점(컴퓨터든 사람이든 누구를 위해, 혹은 왜?)이 뭔지 잘 모르겠습니다.
컴퓨터 공부 초기에 16진수는 0x로 시작된다는걸 알았는데 계속 공부를 하다보니 \x 라던가 h로도 표현이 되어있어서 왜 그런지 무엇을 위해 그런지 알고 싶습니다.
Forums:
나눗셈을 ÷ 로도 쓰고 / 로도 쓰듯이, 둘이 주로
나눗셈을 ÷ 로도 쓰고 / 로도 쓰듯이, 둘이 주로 보이는 곳이 다르고 구태여 찾아보자면 약간의 차이가 있을수 있으나 바꿔써도 별 문제가 없듯이, 다 그런겁니다.
좀더 이쪽동네 얘기로 하자면
나머지 연산을 나타내는 연산자를 어디서는 %로, 어디선 \ 로, 어디선 MOD 로 쓰죠. 그냥 각자의 역사가 이어져 내려왔다고 생각하면 될것 같습니다.
그럼 \x 0x h 등이 별 특징 없이 쓰이고 싶을때
그럼 \x 0x h 등이 별 특징 없이 쓰이고 싶을때 쓰이는 건가요?
어디엔 뭐가 쓰이고 어떠한 경우엔 뭐가 쓰인다의 관습이나 전통같은 경우는 없는건지 궁금합니다.
이게 다 관습이나 전통이죠. 그런고로 대충 "이동네는
이게 다 관습이나 전통이죠. 그런고로 대충 "이동네는 이렇게 쓰더라" 하는거지 규칙성이 있는게 아닙니다. 아님 전부 찾아서 리스트로 정리해주길 바라시는 건지, ㅎ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9716768/hexadecimal-notation
별 내용은 없습니다.
답글 감사합니다 :)
답글 감사합니다 :)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