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232C 통신 관련
글쓴이: 익명 사용자 / 작성시간: 토, 2011/08/06 - 10:53오후
모터드라이버를 가지고 있습니다.
모터 제어를 하기 위해서 아두이노 보드와 TTL-RS232C 컨버터(MAX3232)를 사용하려고 합니다.
모터드라이버 제조사의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모터가 잘 작동됩니다.
간단한 시리얼 통신용 프로그램을 작성하여서 아두이노 보드와 TTL-RS232C 컨버터를 통해서 통신을 하면
PC와 통신이 잘 이루어집니다.
그런데 모터드라이버와 아두이노 보드를 연결하면 동작하지 않습니다.
아무래도 제가 잘 모르고 있는 부분이 있는 것 같습니다.
제가 놓치고 있는게 무엇인가요?
Forums:
...
저는 2상 stepping motor를 위와같은 방법으로 동작시킨 경험이 있습니다. 컨버터에서 어떠한 신호가 나오는지, 모터드라이버가 어떠한 신호로 움직이는지를 보시는게 나으실 듯 싶네요.
프로토콜을 말씀하시는건가요?
드라이버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문자열 프로토콜을 말씀하시는 거라면 이미 확인했습니다.
제가 아두이노 보드에 사용한 동일한 코드로 PC에서 전송하면 동작을 합니다.
차이는 PC에서 시리얼 통신을 수행할때 사용한 라이브러리와
아두이노에서 제공하는 라이브러리(HardwareSerial 혹은 SoftwareSerial)가 다르다는 것인데
이것도 PC와 통신할때는 문제가 되지않기에 질문을 올렸던 것입니다.
혹시 신호라는게 오실로스코프로 찍어보라는 뜻은 아니시죠?
그러면 눈물 날 것 같은데.. ㅠㅠ
혹시, RS232C 커넥터의 핀맵을 확인 해보셨습니까?
혹시, RS232C 커넥터의 핀맵을 확인 해보셨습니까?
혹시나 해서요....
핀맵이라고 하시면
RX, TX, GND를 제대로 연결했는지를 말씀하시는 건가요?
제가 볼때는 잘 연결한것 같습니다.
일단 PC에서는 잘 되니까요
게다가, 혹시나 싶어서 RX, TX를 바꿔서도 해보았습니다. ㅜㅜ
접점 불량이었네요.
접점 불량이었네요.
결국 오배선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ㅠㅠ
하하하
정말이지
저런 실험할때 원인모를 오류 원인의 80%는 커넥터 쪽에서 발생하는 듯 합니다.
몰렉스 커넥터를 만들어서 꼽았다 뺐다 하면서 하다 보면 헐거워져서 접점이 잘 안 붙는 경우도 많고
TTL레벨 신호선의 배선이 길어졌는데 노이즈 타는 경우도 있고
아무튼 문제가 생겼을 때 배선을 하나씩 인내심가지고 찾아보다 보면
문제의 원인을 크게 좁힐 수 있는 것 같아요.
======================================
Mechanical Engineer
DymaxionKim.github.io
======================================
저는//
저는 네비게이션이랑 컴퓨터를 연결해야 되는데 화면이 안들어오네요...
어떻게 해야되는거죠?
어떻게 하셨는데요?
어떻게 하셨는데요?
피할 수 있을때 즐겨라! http://melotopia.net/b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