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 대체로 http://sample.com?p=1 ... ?p=10이런 식으로 요청을 보내면 데이터가 몇개씩 넘어올 텐데, 규칙적일 겁니다.
주소를 적당히 분석해서 사용하면 될 겁니다. 그리고 아마 어쩌면 우연히 운좋게, 파라미터에 몇개씩 보여달라는
변수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한번에 ?p=1&s=1000 이런식으로 천개씩 가져올 수도 있을 겁니다.
왠지, 미국 와레즈 긁는 느낌이군요. 하하..
윗 분이 말씀하신 것처럼 post거나 퀴리형식일 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의도적으로 주소창에 도메인만 표시되게 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여러 도메인을 쓰는 경우, 몇 개의 도메인은 단순 링크식(포워딩)으로 했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되면 완전한 주소가 표시되는게 아니라, 도메인 이름만 표시됩니다.
이런경우에 아마 http://sample.com/blog에서 blog같은 하위주소가 아예 표시되지 않을 겁니다.
해더를 한 번 열어서 보시거나,
단순하게, 페이지를 넘기는 링크버튼에 마우스를 올려보시면, 원주소가 보일 수도 있습니다.
주소를 분석해야합니다.
아마 대체로 http://sample.com?p=1 ... ?p=10이런 식으로 요청을 보내면 데이터가 몇개씩 넘어올 텐데, 규칙적일 겁니다.
주소를 적당히 분석해서 사용하면 될 겁니다. 그리고 아마 어쩌면 우연히 운좋게, 파라미터에 몇개씩 보여달라는
변수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한번에 ?p=1&s=1000 이런식으로 천개씩 가져올 수도 있을 겁니다.
왠지, 미국 와레즈 긁는 느낌이군요. 하하..
주소에 파라미터값이 변함이 없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D
그런데
1페이지가 보여진 페이지나 10페이지가 보여진 페이지나 주소의 파라미터값이 변함이 없는 걸 보면
주소는 건드리지 않고 다른 방식을 쓰는 것 같아요.
흠..
표시할 페이지는 전달해야 되는 경우가
표시할 페이지는 전달해야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만약 마지막 게시물 번호만 전달됐다면 내부 SQL문에 적혀있을 겁니다.
아니라면 not get but post나 AJAX 방식일 수도 있습니다.
재벌 2세가 재벌이 될 확률과
금메달리스트 2세가 금메달을 딸 확률이 비슷해지도록
자유오픈소스 대안화폐를 씁시다.
아이디의 아이디어 무한도전
http://blog.aaidee.com
귀태닷컴
http://www.gwitae.com
단순히 숨기는 경우
윗 분이 말씀하신 것처럼 post거나 퀴리형식일 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의도적으로 주소창에 도메인만 표시되게 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여러 도메인을 쓰는 경우, 몇 개의 도메인은 단순 링크식(포워딩)으로 했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되면 완전한 주소가 표시되는게 아니라, 도메인 이름만 표시됩니다.
이런경우에 아마 http://sample.com/blog에서 blog같은 하위주소가 아예 표시되지 않을 겁니다.
해더를 한 번 열어서 보시거나,
단순하게, 페이지를 넘기는 링크버튼에 마우스를 올려보시면, 원주소가 보일 수도 있습니다.
사적인 페이지가 아니라면, 주소를 알려주세요. 한 번 확인해 보겠습니다.
주소입니다.
http://couponmoa.com/#/deal/deals?list=global_search&selection[keywords]=&selection[region_id]=0&selection[provider_id]=0&selection[category_id]=0
특이한 게 익스플로러와 크롬, 파폭에서 표시되는 방식이 다르네요.
익플에서는 하방 스크롤 대신 상품 더보기 버튼이 있습니다.
주소는 동일하네요.
변함없는 것도 동일하고.
왠지 점점 노가다를 해야 하는 쪽으로 나가는 것 같습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