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그리는 IT 생태계

shint의 이미지

지금의 웹과 플래시 생태계를 보며
개방되고 체계적인 서비스와 생태계에 대해 고민해봤습니다.
간략하고 난해할 수 있지만. 의도를 목차에 적었으니 한번 보아주시길 바랍니다.

데이터의 문서화. 함수화를 사전화하고 그것을 UI에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체계.가
앞으로의 개발환경을 어떻게 이끌어가게 될지에 대해 궁금합니다.

darklorda의 이미지

죄송합니다
전 이런건줄 알았습니다.

http://postfiles2.naver.net/20101027_273/jyh0407_1288182810985bvw0D_JPEG/02.jpg?type=w2

후- 이제 인터넷을 끊어야겠다.

과연 하나의 엔티티는 하나의 목적만을 갖고 고쳐져야 하는가?

amorette의 이미지

말씀하시려는 사전화, 문서화, 함수화에 대한 정의부터 해주셔야 될 듯..

shint의 이미지

데이터의 문서화'라는건
HTML과 같이 데이터 자체를 문서로 보여줄 수 있는것을 말하고요

데이터의 함수화'라는건
데이터가 함수의 기능을 가지는것을 말합니다. 일종에 javascript예요.
text 데이터를 fn_test()라고 적으면 그게 함수죠.

사전화라는건
문서화 함수화를 통한 사전화를 말하는데
단순히 함수를 중복되지 않게 적어놓는것과 같습니다.

쉽게 생각하면.
함수 이름을 사전화 하고
그 안에 내용을 적는겁니다.

----------------------------------------------------------------------------
젊음'은 모든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매일 1억명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함께 만들어보고 싶습니다.
정규 근로 시간을 지키는. 야근 없는 회사와 거래합니다.

각 분야별. 좋은 책'이나 사이트' 블로그' 링크 소개 받습니다. shintx@naver.com

cleansugar의 이미지

정성어린 글 잘 봤습니다.

UML하고는 차이가 뭔가요?

재벌 2세가 재벌이 될 확률과
금메달리스트 2세가 금메달을 딸 확률이 비슷해지도록
자유오픈소스 대안화폐를 씁시다.

아이디의 아이디어 무한도전
http://blog.aaidee.com

귀태닷컴
http://www.gwita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