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h에서라면 커맨드라인에서 history -c
하시면 되구요. $HOME/.bash_profile에 export $HISTSIZE=0
를 적어주시면 아예 history를 안 남길 겁니다. (확인 안해봤음. :( )
man bash에서 history 부분, info history를 참고하세요.
# 메모리에 남겨둘 명령어 목록 갯수, 로그아웃 하면 자동 지워짐
# 이것 마져 0으로 설정하면 작업시 불편하더군요.
HISTSIZE=10
# 히스토리 파일에 목록을 저장하기. 저장하고 싶지 않으면 0으로 설정
HISTFILESIZE=0
# 히스토리 파일의 이름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설정
# HISTFILE=.history
# 위의 변수를 환경변수로 설정하기 위해 export 시킴
export HISTSIZE HISTFILESIZE
음..
만약 bash를 사용하신다면, 홈 디렉토리에 .bash_history 라는 파일이 있을겁니다..
그 파일의 내용을 비워주시면 대략 사용했던 명령어들도 같이 날아갑니다. :)
Re: 컴엔드 내용 지우는 방법?알려 주세요
bash에서라면 커맨드라인에서
history -c
하시면 되구요. $HOME/.bash_profile에
export $HISTSIZE=0
를 적어주시면 아예 history를 안 남길 겁니다. (확인 안해봤음. :( )
man bash에서 history 부분, info history를 참고하세요.
----
http://nohmad.tumblr.com/
모든 사용자에게 적용하려면 /etc/profile 파일에...특정
모든 사용자에게 적용하려면 /etc/profile 파일에...
특정 사용자의 홈에서 적용하려면 ~/.bash_profile 에 다음을 추가합니다.
쉘을 새로 시작해야 적용되는 것 아시죠?
답변감사 드립니다. 한가지만 더 질문을 ...
그럼 mysql 에서도 똑같이 쿼리나 명령어들이 남아 있던데..
그건 어디서 지울수 있을까요? 다시 한번 부탁드리겠습니다.
Re: 답변감사 드립니다. 한가지만 더 질문을 ...
.mysql_history 겠죠 뭐...
[quote]그럼 mysql 에서도 똑같이 쿼리나 명령어들이 남아 있던데
레드햇 리눅스 기준으로....
* RPM 설치를 했다면
/etc/rc.d/init.d/mysql 파일을 보면 mysqld 데몬을 구동시키는 설정라인이 있습니다.
daemon safe_mysqld --user=$mysql_user --pid-file=$pidfile --datadir=$datadir --log=$logfile &
위와 유사한데요... --log=$logfile 을 삭제하고, 데몬을 재구동합니다.
* 소스 설치를 했다면
구동 스크립트에서 --log 옵션을 빼면 되겠죠.
mysql 로그가 엄청나게 쌓이죠.. 위의 설정은 쿼리 로그를 아예 만들지 않습니다. 로그 로테이션 기능을 활용하면 편리할 수도 있죠.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