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그러하셨군요.
저도 그책보고 drbd를 가상환경에서 실제 해보았는데, 직접 구축해서 테스트를 해보는게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vrrp 그런건 아직 못해봤고요.)
HA 구성을 위한 여러 솔류션(heartbeat 외에도 여러게 있는 것 같더군요.) 들이 있으므로, 직접 해보고 문서로 잘 남겨놓는거 좋을 것 같습니다.
제가 있는 회사는 DRBD를 실무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DAS storage box와 vm machine들을 DRBD로 구현해 놓았습니다. heartbeat은 안하고 있기 때문에 실시간 전환은 안하고 있지만, 그래도 장애시에 바로 drdb slave를 서비스로 올리기 때문에 서비스 복구에는 시간이 많이 절약 되기는 합니다.
다만, DRBD 자체의 제한이 있기 때문에 범용적으로 쓸만하지는 못합니다. 그리고 DRBD는 active - stanby 만 가능 합니다.
RHCE를
RHCE를 따세요.
--------------------------------
윈도위의 리눅스 윈도위의 윈도우 리눅스위의 익스플로러
--------------------------------
윈도위의 리눅스 윈도위의 윈도우 리눅스위의 익스플로러
이래저래 알아보니
이래저래 알아보니 교육 및 응시 비용이 후덜덜 하군요.
시험은 못치더라도 교재라도 구해서 공부해보고 싶은데 구하기가 힘든것같네요;
---------------------------------------
http://www.waitfor.com/
---------------------------------------
http://www.waitfor.com/
http://www.textmud.com/
비용이 만만치가 않습니다..
RHCE 교재는 오픈되지 않습니다. RH300과정 수강자만 교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교재는 외부에 오픈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해서리...
RHCE는 레드헷 엔지니어의 기본입니다..
서버 이중화는 RHCS라 불리는 HA기반이고, 이는 RHCE상위과정인 RHCA의 한과목에 해당되는 RH436과정에 있습니다. (GFS, HA)
RH436은 가격이 -_-;
회사에서 지원해준다면야 좋지만 개인이 하기엔 너무 멀지 않을런지...
System Engineer
음.. 자격증
음.. 자격증 아니더라도 관련 내용을 공부할만한.... 국문 사이트는 혹시 없나요? ㅡ.,ㅡ;;;
---------------------------------------
http://www.waitfor.com/
---------------------------------------
http://www.waitfor.com/
http://www.textmud.com/
번역서
번역서 "서버/인프라를 지탱하는 기술" 를 권해 드립니다.
http://kangcom.com/sub/view.asp?sku=200904140003
아. 해당 서적은 이미
아. 해당 서적은 이미 가지고 있습니다.
사실 이 책을 보고 자격증 생각이 들었습니다.
---------------------------------------
http://www.waitfor.com/
---------------------------------------
http://www.waitfor.com/
http://www.textmud.com/
아,
아, 그러하셨군요.
저도 그책보고 drbd를 가상환경에서 실제 해보았는데, 직접 구축해서 테스트를 해보는게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vrrp 그런건 아직 못해봤고요.)
HA 구성을 위한 여러 솔류션(heartbeat 외에도 여러게 있는 것 같더군요.) 들이 있으므로, 직접 해보고 문서로 잘 남겨놓는거 좋을 것 같습니다.
실무에 성공적으로
실무에 성공적으로 적용하신건가요? 후기 적어두신게 있으면 참고해보고 싶습니다. :)
---------------------------------------
http://www.waitfor.com/
---------------------------------------
http://www.waitfor.com/
http://www.textmud.com/
제가 있는 회사는
제가 있는 회사는 DRBD를 실무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DAS storage box와 vm machine들을 DRBD로 구현해 놓았습니다. heartbeat은 안하고 있기 때문에 실시간 전환은 안하고 있지만, 그래도 장애시에 바로 drdb slave를 서비스로 올리기 때문에 서비스 복구에는 시간이 많이 절약 되기는 합니다.
다만, DRBD 자체의 제한이 있기 때문에 범용적으로 쓸만하지는 못합니다. 그리고 DRBD는 active - stanby 만 가능 합니다.
저는 아직 실무는
저는 아직 실무는 적용하지 못하였습니다. 김정균님께서 실무에 적용하고 계시다니 연휴 끝나고 삽질에 박차를 가해야겠네요. ^^
참고로 DRBD는 GFS와 OCFS2를 사용할 경우 active-active를 지원합니다.
참조 : http://www.drbd.org/users-guide/s-dual-primary-mode.html
RH301 과정을 회사
RH301 과정을 회사 지원으로 들을 수 있게 됐습니다. (원래 RHCE 시험이 4일 교육 후 5일째 시험인데, 시험만 빠진 과정)
시험을 못보는게 좀 아쉽긴 하지만 그래도 .. ㅎㅎ
음.. 개인적으로 비용을 추가 부담해서 시험까지 보고 싶은 욕심도 있긴 한데..
그것도 주중에 또 하루 시간을 내야 하는거라 부담이 좀 되기도 하고 그러네요 ㅡ.,ㅡ;
---------------------------------------
http://www.waitfor.com/
---------------------------------------
http://www.waitfor.com/
http://www.textmud.com/
301과정...
이왕이면 하루더 해서 300과정을 들으시는게....
자격증이라도 남아야 본인에게 이력서에 한줄이라도 더 긋죠... (근데, 진짜 자격증은 자격증일뿐이라...)
RH301 과정은 RHCE의 시험을 치기위한 review과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강사님이 전반적인 내용 설명을 해주신후, 각자가 LAB을 하는 과정으로 되어 있을 껍니다.. (수업 들어본지 너무 오래돼서..)
시험은 요즘은 간단히 변했다고 들었는데, RHEL 5부터... 하루종일은 아니고 반나절 시험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왕 회사에서 지원해주신다면 시험까지도 지원해주지... 쩝... (그래도 좋은 회사이신가 보네요..)
전 첫번째는 개인자금으로 해서리... ㅠ.ㅠ....
ps. RedHat에서 들어시는지.. 아님 SDS에서 들어시는지...
System Engineer
아무래도 프로젝트
아무래도 프로젝트 때문에 교육을 다음으로 미루어야 할것같습니다. ㅠㅠ
---------------------------------------
http://www.waitfor.com/
---------------------------------------
http://www.waitfor.com/
http://www.textmud.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