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E: 간단한 문서첨부용 vector graphics 만드는 추천 소프트웨어

imyejin의 이미지

Graphics Layout Engine 이라는 툴인데 홈페이지는 여기 http://glx.sourceforge.net/ 입니다.

보통 LaTeX으로 문서작성할 때 벡터 그래픽을 여러가지 방법으로 그려 넣는데요, xfig 같은 걸 쓰자니 너무 불편하고 원하는 대로 세밀하게 조정하기 힘들고 그렇다고 metapost나 asymptote를 쓰자니 코딩하기가 좀 머리아프기 때문에 간단한 걸 이걸로 날코딩하긴 너무 불편하고 그런데, 딱 그 중간쯤 되는 툴이 있습니다. 소스코드는 텍스트이지만 GUI로 간단한 조작을 할 수 있고 텍스트 파일을 편집하면 파일 내용 변화를 감지해서 업데이트해주는 GUI 뷰어를 제공해서 쓰기 편합니다. 일반 텍스트 필드 대신에 LaTeX 코드도 물론 삽입할 수 있고요. GLE 엔진이랑 커맨드 라인 프로그램은 BSD라이센스고 아마도 Qt 기반인 듯한 QGLE라는 GUI는 GPL입니다.

dorado2의 이미지

와우~~ 멋지네요.

Latex에선 그림 파일 만들기가 그야말로 골치아팠었는데, 좋은 툴이군요.

윈도우즈용 바이너리도 있고, Latex뿐만 아니라 일반 문서에 들어갈 다이어그램 만들 때도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겠습니다.

차리서의 이미지

저는 각종 다이어그램 작성시 주로 LaTeX의 PGF/TikZ를 쓰고있습니다만, 간혹 LaTeX 문서와 무관하게 이미지만 필요할 때에도 일단 LaTeX 문서 형식으로 작업해야해서 약간 불편했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GLE가 확실히 간편할 것 같습니다.

그런데, '작성중인 LaTeX 문서 내에 삽입하려는 목적'인 경우로 한정하여 비교한다면, PGF/TikZ 패키지에 비해서 장단점이 대략 어떻게 될지요? 다이어그램을 그릴 때에는 대부분 이런 목적으로 그리게되어서, 이럴 경우가 더 궁금하군요.

자주 작성하는 (비교 결과를 알고싶은) 다이어그램은 주로 오토마타나 카테고리 이론의 다이어그램들, 밴 다이어그램, 상태 차트 등이고, 함수 플로팅은 거의 하지 않습니다. :^)

--
자본주의, 자유민주주의 사회에서는 결국 자유마저 돈으로 사야하나보다.
사줄테니 제발 팔기나 해다오. 아직 내가 "사겠다"고 말하는 동안에 말이다!

--
자본주의, 자유민주주의 사회에서는 결국 자유마저 돈으로 사야하나보다.
사줄테니 제발 팔기나 해다오. 아직 내가 "사겠다"고 말하는 동안에 말이다!

klara의 이미지

오 정말 멋지네요. 그런데 속도는 어떤가요? 개인적으로 matplotlib라는 python으로 만들어진 플롯라이브러리를 쓰고 있었는데, 이게 python기반이라 그런지 속도가 상당히 느리더라구요. 이쪽이 속도가 괜찮다면 이쪽으로 갈아타보고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