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 -s했을시에 표시되는 용량에 대해서 설명 좀 부탁드릴께요.
리눅스 공부를 시작한지 3달됐습니다. 혼자 책보면서 공부하는데..
서버관리실무바이블3, 뇌를자극하는 페도라 이렇게 두권보고 있습니다.
리눅스는 공부하면 할 수록 컴퓨터 기초가 중요하다는것을 느끼내요. CCNA 공부 마치고 리눅스 시작을했는데
전공이 컴퓨터 쪽이 아니다보니 막히는것이 많습니다. 아무리 찾아봐도 제 지식에서는 어떤것을 검색해야할지 몰라서
여기에 질문드립니다
ls -l에서 표시되는 용량은 byte 단위이고
ls -sl에서 표기되는 용량은 Kbyte단위로 알고 있습니다.
[man page]
-s, --size
with -l, print size of each file, in blocks
[블록 단위로 파일의 용량을 출력한다고 하는데 블록이라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요?]
[linux complete command reference 레드햇 에서 나온 프리북인듯합니다. 2000년에 나온듯하고요.]
–s, --size
Print the size of each file in 1KB blocks to the left of the filename. If the environment
variable POSIXLY_CORRECT is set, 512-byte blocks are used instead.
[파일의 좌측에 1KB블록 단위로 파일의 크기를 표시한다고 하고 POSIX옵션을 사용하면 512byte 블록 단위라고 나옵니다.]
물론 네이버에서 블록 이렇게 검색해봤지만 파일에 관한 개념이 너무 없다보니 검색을 중지하고 여기로 왔습니다.
아래 제가 실습한것입니다.
#touch 1 2 3 4 5
#ls -l
total 0
-rw-r--r-- 1 root root 0 Jan 22 19:29 1
-rw-r--r-- 1 root root 0 Jan 22 19:30 2
-rw-r--r-- 1 root root 0 Jan 22 19:30 3
-rw-r--r-- 1 root root 0 Jan 22 19:30 4
-rw-r--r-- 1 root root 0 Jan 22 19:30 5
#vi 1 [1이라고 한개의 문자만 입력]
#ls -l
total 4
-rw-r--r-- 1 root root 2 Jan 22 20:34 1 [분명 2바이트인데 total 4라고 나옵니다]
-rw-r--r-- 1 root root 0 Jan 22 19:30 2
-rw-r--r-- 1 root root 0 Jan 22 19:30 3
-rw-r--r-- 1 root root 0 Jan 22 19:30 4
-rw-r--r-- 1 root root 0 Jan 22 19:30 5
# ls -s
total 4
4 1 0 2 0 3 0 4 0 5
# vi 2 [1이라고 한개의 문자만 입력]
# ls -sl
total 8
4 -rw-r--r-- 1 root root 2 Jan 22 20:34 1 [2바이트인데 맨 앞에 표시된것은 4블록이라고 나옵니다.]
4 -rw-r--r-- 1 root root 2 Jan 22 20:34 2
0 -rw-r--r-- 1 root root 0 Jan 22 19:30 3
0 -rw-r--r-- 1 root root 0 Jan 22 19:30 4
0 -rw-r--r-- 1 root root 0 Jan 22 19:30 5
여기서 -sl옵션으로 봤을때 표기 되는 용량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사방 찾아봤지만 역부족이었습니다. 도와주세요 ㅠㅠ
[bushi@rose ~]$ dd
OTL
bushi님이 올려준
bushi님이 올려준 화면을 보고 따라 해보니 모르는 명령어가 있었내요.
한가지 힌트는 잡은듯하내요. 우선 파일시스템에 대해서 공부해야겠네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