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httpd.conf Doc root 가 어려워서 질문드려봅니다. ^^
안녕하세요?
저는 리눅스를 잘 다루지는 못하지만 사용 그 자체가 재미있고 또한 즐기는 한 유저입니다. :)
최근에 CentOS 5.3을 이용하여 APM를 셋팅하였습니다.
물론 소스컴파일 기반으로 설치 하였는데요...
도저히 제 선에선 해결이 될거 같지 않아 고수선배님(?) 들께 도움을 청하려고 합니다.
상황은 아래와 같답니다.
Apache 설치 경로 : /usr/local/server/apache
Apache의 Document Root /usr/local/server/apache/htdocs
근데 위의 루트경로로 지정하면 ftp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애로사항이 많더라구요..
이에 저는 useradd로 'khalisto'라는 ID를 만들었습니다. (경로 : /home/khalisto/public_html)
나름 인터넷을 뒤져서 해결을 해보려 했습니다. httpd.conf 파일의 doc root 부분을 khalisto의 경로로
바꾸는 방법으로요. 하지만 전혀 적용이 되지 않았습니다.
또한 apache디렉토리의 conf서브디렉토리에 보면 original이라는 디렉토리가 있더라구요
(/usr/local/server/apache/conf/original)
내용을 보자하니 httpd.conf 와 extra 디렉토리가 있습니다.
original 상위 디렉토리인 conf 디렉토리에도 httpd.conf 와 extra는 있는데 말이죠
현재 모든 적용값은 /home/khalisto/public_html로 잡혀있는데요..
403 포비든도 뜨지 않고 그냥 /usr/local/server/apache/htdocs 경로의 파일을 보여줍니다. -_-;
제 사이트 주소는 http://khalisto.com 입니다.
php정보는 http://khalisto.com/phpinfo.php 이구요...
제 질문이 너무 두서가 없어서 죄송합니다. ^^;
결론을 내자면 기본으로 잡혀있는 문서경로를 한방에 바꿀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
감히 부탁드려봅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필요하시다면 SSH계정 root 공개해드리겠습니다.
1. CentOS를
1.
CentOS를 쓰신다면...
APM을 소스 컴파일로 설치하지 말길 권해드립니다.
아래 설명은 기본 패키지로 APM을 설치했다는 전제 하에 말씀 드립니다.
정 소스를 컴파일해서 설치해야 한다면 소스 rpm으로 설치하면 됩니다. tar.gz 파일 받아서 설치하는 건 금물입니다.
2.
/etc/httpd/conf/httpd.conf 파일에서
DocumentRoot "/var/www/html"
부분을
DocumentRoot "/home/khalisto/public_html"
바꿔주십시오.
3.
2와 같이 바꾼 후에는
# service restart httpd
해서 아파치를 재시작하십시오.
4.
selinux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 setsebool -P httpd_enable_homedirs 1
# chcon -R -t httpd_user_content_t ~khalisto/public_html
--
academic은 제 고등학교 때 동아리 이름입니다.
academic, 아주 가끔은 저도 이랬으면 좋겠습니다.
----
academic은 제 고등학교 때 동아리 이름입니다.
academic, 아주 가끔은 저도 이랬으면 좋겠습니다.
소스컴파일을
소스컴파일을 반대하시는 어떤 이유라도 있나요? ^^;
궁금해서요~
그건요.
아파치도 모듈화 되어 있어서 여러 기능 설치해도 느리거나 하지 않고요.
보통 쓰는 사람들이 아무리 노력해 옵션 잘줘서 컴파일 해도 기본 rpm만 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여러가지 설정문제도 얽혀있고요.
정품 소프트웨어 사용 캠패인
정품 소프트웨어 사용 캠패인
유지보수 문제도 한몫하죠
비단 레드햇 계열에만 해당되는 문제는 아니긴 합니다만...
보안 문제로 관련 프로그램이 업데이트되면,
소스컴파일로 설치한 서버에는 다시 수동으로 재컴파일해서 설치해야 합니다.
일단 이런 일련의 과정이 패키지에 비해서 적용하기가 까탈스럽죠.
또한 관련 프로그램별로 보안 업데이트가 되었나 수시로 모니터링해야 하는데,
이것도 여간 귀찮은게 아닙니다.
혹여 몇가지가 누락되어 관리가 소홀해지다보면,
보안 쪽에 구멍도 생길 위험성도 크고요.
이러면 해킹되는 것은 시간문제죠.
흔한 상황은 아니지만,
패키지로 설치된 의존 라이브러리가 크게 업데이트되었을 경우,
본의 아니게 또다시 재설치를 해야하는 상황도 생길 수 있습니다.
반면에 제공되는 패키지를 사용하면 단 1~2개의 커맨드 만으로 위 단점들을 모두 극복할 수 있지요.
속도도 moonhyunjin님께서 말씀하셨다시피 차이가 많이 줄었고요.
실제로 MySQL의 경우에는 보통 내장 패키지 자체가 굉장히 많이 튜닝된 상태로 컴파일되어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레퍼런스 메뉴얼에서도 RPM 설치가 가능하면 RPM으로 설치하라고 권장하고 있습니다.
참고 :
http://dev.mysql.com/doc/refman/4.1/en/linux-rpm.html
http://dev.mysql.com/doc/refman/4.1/en/installing-source.html
네 잘 알겠습니다.
일단 CentOS 부터 다시 깔고 yum패키지로 APM를 깔아봐야겠습니다. :)
답변들 모두모두 감사합니다.
또 어려운거 있음 질문드릴께요 ㅎㅎ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