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임서버 운영하기.....
페도라 코어 6을 사용하고 있는 유저입니다.
현재 책을 보고 나름대로 zone파일과 named.conf파일을 구성했다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기존에 gabia에 등록을 하여 웹 서비스를 대행하고 있었습니다.
물론 whois에 도메인을 구입해서 가비아로 네임서버를 등록 시켜서 사용을 하고 있었지요.
이제, 직접 서버를 구축해서 웹 서비스를 제 서버에서 직접 운영을 하려고 하는데, 그렇게 녹녹한 일이 아니더군요.
우선 whois에 1차, 2차 도메인을 ns.******.co.kr로 IP:XXX.XXX.XXX.XXX로 등록을 하였고,
3,4차 도메인에 ns.******.co.kr IP : 가비아 주소 로 등록을 하였습니다.
정상적으로 제 서버가 셋팅이 되었다면 서비스가 제 서버에서 먼저 되어야 정상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아무리 하여도 웹 서비가 제대로 이루어지는거 같지 않습니다.
ping으로 확인을 하여 보아도 Pinging ******.co.kr [211.43.212.57] with 32 bytes of data:
즉, 가비아 주소로 핑이 쏘아지는 겁니다.
왜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지 솔직히 모르겠습니다.
===========================================
하여 질문을 드리고 싶은 부분은,
네임 서버를 구축하기 위해선
정확히 어떤 파일들을 손봐야만 하는지 정확히 짚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fedora core 6의 시스템은
zone파일이 /var/named/chroot/var/named 안에 존재를 해야만 하며,
conf파일은 /etc/named.conf
그 외 named설정은
/etc/named.caching-nameserver.conf 파일을 설정 해 주었고,
이 파일에 보면 include "/etc/named.rfc1912.zones"; 이렇게 되어 있어서
참조된 파일을 다시 열어 보니 그곳에 호스트 네임과 존 파일의 파일명을 적게 되어 있었습니다.
하여 모든 설정을 제 환경에 맞게끔 다 설정을 하고는 named를 재 시작 해 보았으나
nslook에서 제 도메인을 확인해 보면 여전히 211.43.212.57로 나타납니다.
제가 아직 체크 못한 파일이 무엇인지 아신다면 부디 저의 고민을 덜어 주셨으면 합니다.....
고것은..
named.conf는 /var/named/chroot/etc/ 에 만들어 주신 다음 서비스 하려는 도메인만 세팅 하시면 됩니다.
다만 저는 named.conf 맨 아랫줄에
include "/etc/named.caching-nameserver.conf";
include "/etc/named.rfc1912.zones"; 이 두줄을 추가해 주었구요,
그럼 named.conf 전체 내용은 이렇게 되겠네요
rfc1912.zones 이파일은 건드리지 않았습니다.
named.caching-nameserver.conf 또한 건드리지 않은 상태에서 로컬호스트로만 리슨하는 부분과 맨 아래
local-resolver 항목 전체를 삭제하여 주었습니다. (include "/etc/named.rfc1912.zones";행 포함)
named.conf 소유자는 root.named 이고 zone파일 위치인 /var/named/chroot/etc/named 폴더의 소유자는 named.named
로 해주었습니다.
이렇게 하면 기존 bind와 똑같이 작동하는 것 같네요... 한 번 해보시길
XD~
ping으로 확인을 하여
ping으로 확인을 하여 보아도 Pinging ******.co.kr [211.43.212.57] with 32 bytes of data:
즉, 가비아 주소로 핑이 쏘아지는 겁니다.
=>****.co.kr. 주소 뒤에 점을 찍어서 ping을 때려보세요. 그러면 가비아 주소가 나오지 않을 겁니다.
nslook에서 제 도메인을 확인해 보면 여전히 211.43.212.57로 나타납니다.
=> nslookup에서도 도메인 뒤에 점을 찍어서 때려보세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