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ket에 connect에 대한 질문을 드리겠습니다.
글쓴이: anaud2 / 작성시간: 월, 2008/11/03 - 3:13오후
안녕하세요
간단한 TCP/IP통신을 하고 있는데요
궁금한 사항이 있어서 질문을 드리겠습니다.
connect나 read write 에서 Sigalrm을 걸고 테스트를 하고 있는데요 Connect에서도 Timeout을 하려고 하는데
제생각에는 서버에서 accept 대기를 하고 있어야 클라이언트가 connect할수있다고 생각이 드는되요
1번 서버(다중서버아님 기본에코서버)가 accept대기 하다가 1번 클라이언트가 connect하고 서로 read write하고 있습니다.
그때 2번 클라이언트가 server에 포트로 connect한다고 하면
제생각에는 2번 클라이언트가 대기를 타거나 connect error를 내야된다고 생각이 드는데 connect 리턴값을 보니까 0을 리턴하네요
0이면 connect 성공인데..
다중서버도 아닌데 accept를 서버가 해주지도 않는 상황에서 connect가 되는게 신기합니다. 또한 그렇다면 서버가 구동이 안되고 있으면 -1을 리턴하고
서버가 있기만 하면(해당포트가 있으면)그냥 혼자서 connect를 하는것인가요?
그렇다면 sigalrm을 할필요가 없어보이네요 무한정 대기를 하지않으니까요
제생각이 맞는지 답변을 좀 부탁드립니다.
Forums:
accept함수가 아니라...
서버에서는 listen함수로 connect를 대기합니다.
listen함수의 파라메터로서 몇개의 클라이언트를 관리하겠냐는 옹근수값을 주는데
이값에 따라 한서버에 콘넥트할수있는 클라이언트수가 주어집니다.
accept함수는 단지 개별적인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련결을 지어주는 함수입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서버에서는
서버에서는 listen함수로 connect를 대기합니다.
listen함수의 파라메터로서 몇개의 클라이언트를 관리하겠냐는 옹근수값을 주는데
이값에 따라 한서버에 콘넥트할수있는 클라이언트수가 주어집니다.
accept함수는 단지 개별적인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련결을 지어주는 함수입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서버에서는
서버에서는 listen함수로 connect를 대기합니다.
listen함수의 파라메터로서 몇개의 클라이언트를 관리하겠냐는 옹근수값을 주는데
이값에 따라 한서버에 콘넥트할수있는 클라이언트수가 주어집니다.
accept함수는 단지 개별적인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련결을 지어주는 함수입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
한번 입력한 댓글은
한번 입력한 댓글은 삭제가 안되나요? ㅠ.ㅠ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