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OS도 설치되어 있지 않은 컴퓨터와 리눅스를 설치한 컴퓨터와 연결을해서 아무OS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컴퓨터를 부팅하려고 하거든요
그래서 커널 컴파일은 했거든요.
커널컴파일할때 BOOTP SUPPORT, RARP SUPPORT, DHCP SUPPORT는 체크했구요
그래서 부팅은 되는데 그다음에 어떻게 해야하나요?
1년 쯤 전에 플로피도, CDROM도 없는 노트북에 리눅스
설치하면서 이더넷 부팅을 해봐서 기억이 가물가물 하긴 합니다만...
순서는 대략
1. 부팅 시킬 부트 이미지를 구해서(배포판 CD의 image디렉토리에 있음.)
/tftp/boot.... 어쩌구 하는.... bootp 디렉토리에 넣고...
2. 리눅스 박스에 TFTPD, BOOTP 및 PXE를 지원하는 데몬을 띄운다.
3. 허브가 있으면 허브를 통해서 일반케이블 , 없으면 크로스로 리눅스박스와
네트웍 부팅을 원하는 녀석 사이에 네트웍을 구성한다.
4. 네트웍 부팅을 한다. ^^
한 반나절쯤 삽질하니깐 되더군요 -_-;
네트웍 부팅에 사용할 이미지가 네트웍 부팅할 장비의 랜카드에서 지원하는
부트롬 용량보다 크면 안된다는겁니다.
일반적으로 싼 랜카드(realtek 계열)이면 카드 자체에서 네트웍 부팅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intel, 3COM 계열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넘어지는건 아직 괜찮다.
하지만 넘어질때마다 무언가를 주워서 일어나자.
PXE롬 박힌 랜카드를 구별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랜카드 보면 어딘가 썰렁한데가 있습니다.
즉, 칩을 뺏다 끼웠다 할 수 있는 소켓 부분이 있는게 있죠.
여기에 아무것도 없다면 PXE롬은 전혀 없습니다.
PXE 당연히 못씁니다.
(박혀있다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만, Novell Netware 등등이
담긴 롬이 박혀있는 경우도 있으니 100%속단은 못합니다)
하지만 용산에서 돌아다니는 리얼텍 랜카드는 롬 박힌거 전혀 못봤습니다.
만원 이하 싸구려 조그만한거는 아예 소켓 자체가 없고 리얼텍 칩만
달랑 박힌것도 있는데 이것도 100%없는겁니다.
PXE롬 박힌 리얼텍 랜카드 구하시려면
아마 기업대 기업 거래를 하시는 분이거나. 특히 아는 분
중에 랜카드제조업체에 근무하는 분이 있다면 그분을 통해서 구하시길
바랍니다.
인텔은 있는걸로 압니다. 스펙 보면 WFM, PXE지원이라고 되어 있거든요.
물론 다그런건 아니지만(저가형은 당연히 없음)
인텔은 있는걸로 압니다. 스펙 보면 WFM, PXE지원이라고 되어 있거든요.
물론 다그런건 아니지만(저가형은 당연히 없음)
100% 진실이라고 보시면 되구요.
NETWORK INSTALL을 위해 인텔이 만들어낸 것이 PXE입니다.
사실 리눅스를 위한 것 보다는 윈도그를 위한 것입니다.
거의 대부분의 고가 ITEL 랜카드는 PXE 롬이 장착되어 있지지만,
NetBoot Rom이라는 것이 붙어 있는 LAN카드 중에도
Rom에 PXE롬이 안깔려 있는 놈도 있다는 겁니다.
그럼 해당 LAN Chip에 맞는 PXE롬 이미지를 구해다가,
write를 해주어야 합니다.
PXE의 최대의 단점은 Customized 된 Kernel을 만들기가 어렵다는 점입니다.
PXE가 표준 프로토콜이라고 보기가 어려운데다가,
INTEL에서 충분한 reference를 제공하지 않아...
PXE의 배포서버도 신뢰성이 떨어지고,
설치를 위한 Kernel외에는 구하기 어렵다는 점이지요...
지금 제가 리퍼런스가 없어서 그러는데..
mkni~~~ 어쩌고 하는 tagged kernel을 만들어 주는
유틸하고,
tftp가 필수 입니다.
bootparmd 라는 데몬도 있는데
이것도 잘 작동되지 않고,
또 DHCP 세팅도 필수입니다.
지금 제가 리퍼런스가 없어서 그러는데..
mkni~~~ 어쩌고 하는 tagged kernel을 만들어 주는
유틸하고,
근데 tagged kernel 이 뭔가요...(궁금해서 물어 보는것임)
예전에 제가 할때..
RedHat linux 에서는 그냥 잘 되던데...
레드햇이나 다른 부분에는 PXE 관련 rpm 파일이 있구요.. Kickstart 스크립트를 이용하면 쉽게 구성 할수 있습니다..
아마도 알아봐야 할것...
- PXE 지원 되는 랜카드 (intel 홈피 가면 pxe 대한 정보가 있습니다.
- pxe 관련 rpm 파일 설치 (pxe, tftp, .....)
설치후 man pxe 하면 정보가 잘 나와 있습니다. 참고:http://syslinux.zytor.com/pxe.php
- NFS 에 대한 설정 방법
- Kickstart 스크립트 (레드햇 설치시 /root/ 디렉토리리에 xxx.ks 파일 참조)
등일 겁니다...아마도.. 다른 리눅스로는 잘 모르겠네요..
$$헉~~ 네트웍 부팅후 리눅스 설치하는것이 아니구나...
그냥 예전 생각이 나서.. 72대에 리눅스 설치하기가...
[url]http://etherboot.sourceforge.net[/u
http://etherboot.sourceforge.net
에 가보시면 원하시는 답이 있을겁니다.
1년 쯤 전에 플로피도, CDROM도 없는 노트북에 리눅스
설치하면서 이더넷 부팅을 해봐서 기억이 가물가물 하긴 합니다만...
순서는 대략
1. 부팅 시킬 부트 이미지를 구해서(배포판 CD의 image디렉토리에 있음.)
/tftp/boot.... 어쩌구 하는.... bootp 디렉토리에 넣고...
2. 리눅스 박스에 TFTPD, BOOTP 및 PXE를 지원하는 데몬을 띄운다.
3. 허브가 있으면 허브를 통해서 일반케이블 , 없으면 크로스로 리눅스박스와
네트웍 부팅을 원하는 녀석 사이에 네트웍을 구성한다.
4. 네트웍 부팅을 한다. ^^
한 반나절쯤 삽질하니깐 되더군요 -_-;
네트웍 부팅에 사용할 이미지가 네트웍 부팅할 장비의 랜카드에서 지원하는
부트롬 용량보다 크면 안된다는겁니다.
일반적으로 싼 랜카드(realtek 계열)이면 카드 자체에서 네트웍 부팅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intel, 3COM 계열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넘어지는건 아직 괜찮다.
하지만 넘어질때마다 무언가를 주워서 일어나자.
궁금해서 그런데요...랜카드에 롬이 달려있나요? 아니면 따로 사서 꼽
궁금해서 그런데요...
랜카드에 롬이 달려있나요? 아니면 따로 사서 꼽아야 하는건가요?
일자무식이라서요. 좀 가르쳐주세요 ^^;
PXE롬 박힌 리얼텍 랜카드는
PXE롬 박힌 랜카드를 구별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랜카드 보면 어딘가 썰렁한데가 있습니다.
즉, 칩을 뺏다 끼웠다 할 수 있는 소켓 부분이 있는게 있죠.
여기에 아무것도 없다면 PXE롬은 전혀 없습니다.
PXE 당연히 못씁니다.
(박혀있다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만, Novell Netware 등등이
담긴 롬이 박혀있는 경우도 있으니 100%속단은 못합니다)
하지만 용산에서 돌아다니는 리얼텍 랜카드는 롬 박힌거 전혀 못봤습니다.
만원 이하 싸구려 조그만한거는 아예 소켓 자체가 없고 리얼텍 칩만
달랑 박힌것도 있는데 이것도 100%없는겁니다.
PXE롬 박힌 리얼텍 랜카드 구하시려면
아마 기업대 기업 거래를 하시는 분이거나. 특히 아는 분
중에 랜카드제조업체에 근무하는 분이 있다면 그분을 통해서 구하시길
바랍니다.
인텔은 있는걸로 압니다. 스펙 보면 WFM, PXE지원이라고 되어 있거든요.
물론 다그런건 아니지만(저가형은 당연히 없음)
Written By the Black Knight of Destruction
편법이지만, 부트롬 대신 디스크나 bootloader를이용하는 방법도
편법이지만, 부트롬 대신 디스크나 bootloader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There is no spoon. Neo from the Matrix 1999.
아 그리고 배포되는(tftp로 뿌려지는 kernel)은tagged 형
아 그리고 배포되는(tftp로 뿌려지는 kernel)은
tagged 형태야 되고,
반드시 Kernel Level Auto Config 옵션이 지원되어야 합니다.
There is no spoon. Neo from the Matrix 1999.
Re: PXE롬 박힌 리얼텍 랜카드는
100% 진실이라고 보시면 되구요.
NETWORK INSTALL을 위해 인텔이 만들어낸 것이 PXE입니다.
사실 리눅스를 위한 것 보다는 윈도그를 위한 것입니다.
거의 대부분의 고가 ITEL 랜카드는 PXE 롬이 장착되어 있지지만,
NetBoot Rom이라는 것이 붙어 있는 LAN카드 중에도
Rom에 PXE롬이 안깔려 있는 놈도 있다는 겁니다.
그럼 해당 LAN Chip에 맞는 PXE롬 이미지를 구해다가,
write를 해주어야 합니다.
PXE의 최대의 단점은 Customized 된 Kernel을 만들기가 어렵다는 점입니다.
PXE가 표준 프로토콜이라고 보기가 어려운데다가,
INTEL에서 충분한 reference를 제공하지 않아...
PXE의 배포서버도 신뢰성이 떨어지고,
설치를 위한 Kernel외에는 구하기 어렵다는 점이지요...
지금 제가 리퍼런스가 없어서 그러는데..
mkni~~~ 어쩌고 하는 tagged kernel을 만들어 주는
유틸하고,
tftp가 필수 입니다.
bootparmd 라는 데몬도 있는데
이것도 잘 작동되지 않고,
또 DHCP 세팅도 필수입니다.
제가 다음주 월요일날 출근하면 그 때 자료좀 추가해서 올리겠습니다.
There is no spoon. Neo from the Matrix 1999.
pxe
근데 tagged kernel 이 뭔가요...(궁금해서 물어 보는것임)
예전에 제가 할때..
RedHat linux 에서는 그냥 잘 되던데...
레드햇이나 다른 부분에는 PXE 관련 rpm 파일이 있구요.. Kickstart 스크립트를 이용하면 쉽게 구성 할수 있습니다..
아마도 알아봐야 할것...
- PXE 지원 되는 랜카드 (intel 홈피 가면 pxe 대한 정보가 있습니다.
- pxe 관련 rpm 파일 설치 (pxe, tftp, .....)
설치후 man pxe 하면 정보가 잘 나와 있습니다. 참고:http://syslinux.zytor.com/pxe.php
- NFS 에 대한 설정 방법
- Kickstart 스크립트 (레드햇 설치시 /root/ 디렉토리리에 xxx.ks 파일 참조)
등일 겁니다...아마도.. 다른 리눅스로는 잘 모르겠네요..
$$헉~~ 네트웍 부팅후 리눅스 설치하는것이 아니구나...
그냥 예전 생각이 나서.. 72대에 리눅스 설치하기가...
이상은 Valkyrie
http://aladdin.co.kr/shop/wproduct.aspx?ISBN=8995710160&kw=00001A
mms://211.106.66.141/live4/kbs/psong182_m.asf
HAPPy !!
PXE스펙 공식 배포처는....
여깁니다.
http://www.intel.com/labs/manage/wfm/index.htm
요새는 인텔이 이거 감추려고 하더군요.
인텔 홈페이지로 들어가서 검색하면 절대 못찾습니다.
Written By the Black Knight of Destruction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