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LCD 수리... 어렵군요;
사실 골동품이나 다름 없는 노트북이 있습니다. 현주 Friend VI 5750 이라고 액정도 큰(당시 기준;) 모델이죠.
사양탓인지 소음이 전혀 없어 너무나도 잘 사용하고 있었는데 말이죠.
LCD 인버터 고장(케이블 연결 부분 납땜이 떨어져 부품이 대롱대롱;;)으로 화면이 엄청 어둡게 보이는 상황이 되어버렸습니다.
물론 납땜을 해주면 되겠지만 납땜 한다고 정상이 된다는 보장도 없고, 그만한 납땜 기술도 없어서;;
그냥 업체에 보내서 수리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지역이 제주이다보니;
수리비는 4~5만에 택배비까지 하면 이만한 사양의 노트북 하나 구매할 가격이 나와버립니다;
그래도 애정이 있어 제가 스스로 수리하려고 했지만...
현주컴퓨터 언제 망해버렸나요?; 혹시나 인버터 재고라도 있을까 연락하려 했더니 업체도 없어지고...
수리 관련 사이트 돌아다니면서 아무리 찾아봐도 인버터 형태가 약간이라도 비슷해 보이는게 없어서;
그냥 인버터를 구한다 하더라도 노트북 내에 삽입을 못하게 되면 의미가 없으니까요;
고민입니다. 일단은 전파사(?) 같은데라도 가서 저 떨어진 인버터를 납땜해보고...
안된다면 액정 분리하고 AD 카드 구매해서 모니터로 사용해야 할 것 같습니다.
다소 영양가가 없는 글 같아서.. 노트북 LCD에 관해 몇글자 적는다면,
노트북 본체 ─ 액정 화면 출력
└ 인버터 (액정 전력 공급) ─ 액정 백라이트 출력
위와 같은 형태로 노트북 화면이 출력됩니다.
그냥 서글픈 넋두리였습니다..;
리눅스 쓰는 사람은
리눅스 쓰는 사람은 사실 LCD 고장난 노트북이 쓸모가 많지 않나요...? 고민할 것 없이 무소음 저전력 서버로 만들어 돌리면 되니까요. 뭐 굳이 LCD 비싸게 돈주고 고치지 말고 서버로 만들어 쓰세요. 전기적 노이즈 차단 잘되는 USB 사운드 카드 하나 달고 거실 앰프에 연결하면 하이파이 주크박스요 남는 USB 포트에 프린터 연결하면 프린터 서버요 하드 디스크 넣어주면 네트워크 스토리지요 rsyncd 돌리면 자동 백업 솔루션이오 dummy hub 연결하면 인터넷 공유기요 bittorrent 클라이언트 걸어 놓으면 하루종일 대용량 미디어 파일들 다운 받아 줄 것이오... 등등등...
이거 다 따로따로 사려면 얼마하나요? 흐흐흐.
이래서 사람은 서울
이래서 사람은 서울 살라는 말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모 회사의 랩톱 액정이 고장나서 수리를 받으러 갔는데, 워런티가 끝나 있어서 유상으로 고쳐야했습니다.
대략 60 만원 달라고 했다네요.
워런티도 끝나고 구입한 지도 오래되어서 랩톱의 중고가가 대략 60만원인 상황이었습니다.
고치느니 차라리 새걸 사야하는 것이었죠.
AS 센터를 나와 용산을 조금 전전하다 노트북 수리점을 뒤졌답니다. 인버터에 문제가 있다고 하면서
교환을 하면 된다면서 대략 10 만원을 요구했다고 하네요.
수리하는 것보다
수리하는 것보다 새로 사는게 더 저렴한 시대.
아날로그적인 매력이 없는 것 같아요, 요즘 세상은.
──────────────────────────────────
10만원도 사실은
10만원도 사실은 비싸죠. 10만원으로 저가형 LCD 모니터를 살 수 있는 세상입니다. 새제품 저가형 랩탑이 40, 50만원에도 나오는데요.
그런데 농담아니고 진짜로 오래된 랩탑이 저전력 무소음 경량 리눅스 서버로 활용도가 좋습니다. 특히 액정이 깨진 랩탑을 구할 수 있으면 최상이죠. 중고 데스크탑을 업어와도 되지만 저전력에 무소음 만들기는 참 어렵더군요.
흠... 서버로
흠... 서버로 활용한다면 어떻게 활용해야 좋을까요?
위에서 예시로 든 내용을 생각한다면 구지 서버를 만들어서 하지 않아도 될 것 같고요;;
실사용은 별볼일 없이 전기세만 계속 나간다면... 흠;;
하드도 착탈식이 아니기에 하드 용량도 고정적이라(게다가 저용량;) 스토리지로 사용하기도 그렇네요;
──────────────────────────────────
공유기/프락시로
공유기/프락시로 쓰심이.
아니면 네퉉 공부용 혹은 개발용, 간단한 웹서버 등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스토리지는 외장하드를 이용하면 되지만 돈 좀 들어갈겁니다.
usb 외장하드는 속도느리고, cpu점유율높고, 오래 꽂아놓으면 불안해지기 때문에 비추천하고,
pcmcia 타입 esata 컨트롤러 + esata 외장하드를 추천합니다.
Written By the Black Knight of Destruction
Written By the Black Knight of Destruction
음... 쥬크박스가
음... 쥬크박스가 필요 없으신거군요? ㅎㅎ
스토리지가 필요하다면 usb 외장 하드를 연결해 보세요. usb 연결이 아무래도 좀 못미더우면 pcmcia 용 serial ata 인터페이스 카드 같은 것을 추가로 사서 고용량 하드를 연결해도 되겠죠. 참고로 이런 제품도 있습니다. 이게 휴대폰을 충전용 dock 에 꽂듯이 3.5인치 하드를 dock 스타일로 꽂게 만들어 놓은 제품도 있는데.. 지금은 못찾겠네요.
http://www.newegg.com/Product/Product.aspx?Item=N82E16812816014
그리고 노트북 전원 아답타는 최대용량이 보통 65와트 정도입니다. 노트북이 풀로 돌고 있을때 소비전력이 65와트라는 얘기죠. 이정도면 예상 최대 소비 전력치를 대강 계산해 볼 수 있을 겁니다.
랜포트가 자체적으로
랜포트가 자체적으로 있다면 더 좋겠네요. PCMCIA로 확장해야만 랜포트가 가능한 진정 올드한 노트북이라서^^
좋네요, 스토리지로 쓸 방안을 연구해봐야겠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드리고요^^
──────────────────────────────────
거의 제가 갖고 있는
거의 제가 갖고 있는 노트북 사양과 비슷하신가보네요. 제 건 다행히 아직 LCD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데 메모리 192메가 P3 550Mhz 시피유입니다. 랜포트가 없는 까닭에 오래된 3com 제품 pcmcia 10Mbps 짜리 랜카드를 달아 쓰고 있어요.
저 역시 이걸 서버로 바꾸고 있는 중인데... 제 경우는 이미 USB 2.0 연결이 가능한 외장형 3.5인치 하드가 있습니다. 그런 이유로 pcmcia usb 2.0 인터페이스 카드를 일단 알아보고 있구요. 대강 아래 제품과 비슷한 걸 살까 싶네요.
http://cgi.ebay.com/NEW-4-Port-USB-2-0-HUB-PCMCIA-Cardbus-USB-Cable_W0QQitemZ110247096099QQihZ001QQcategoryZ42323QQssPageNameZWDVWQQrdZ1QQcmdZViewItem
serial ata 인터페이스 카드도 있습니다.
http://cgi.ebay.com/PCMCIA-SATA-2PORTS-CARD-SUPPORT-VISTA-W-SATA-CABLE_W0QQitemZ110248106012QQihZ001QQcategoryZ101268QQssPageNameZWDVWQQrdZ1QQcmdZViewItem
여기엔 이런 걸 연결하면 되겠죠.
http://www.seagate.com/docs/pdf/datasheet/disc/ds_fa_pro_us.pdf
제 경우는 조금 머리아픈 것 중 하나가... pcmcia 슬롯이 두개가 필요한데 이게 USB 4-port 카드를 넣으면 물리적으로 ethernet 케이블 꽂을 공간이 안나오는게 좀 복잡합니다. 뭐 이건 좀 더 비싸도 slim 타입 usb 2-port 카드를 사든가 아니면 아예 조그만 usb-to-ethernet 카드를 따로 하나 더 살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런 configuration은 소위 좀 희귀종이라서 리눅스에서 돌지 자신은 없는데 뭐 삽질하다보면 어떻게 되겠죠.
저도 2003년 초에 샀던
저도 2003년 초에 샀던 P3 노트북이 인버터가 나갔는지 백라이트가 나갔는지 화면이 안나오는데
이걸 고쳐서 딸냄이 인터넷 용으로 줄까하고 고민한지가 벌써 1년이 다되어 가는데, 수리비가 대충
10~15만원 정도 나오더라고요... 이걸 고치는게 맞는지 차라리 적당한 중고 노트북을 그 가격에
사는게 맞는지 고민이군요.
멀리서 찾을게 아니라... 15만원 이하로 P3급 노트북 중고 처분하실분 혹시 있으세요?
--------------------------------
윈도위의 리눅스 윈도위의 윈도우 리눅스위의 익스플로러
--------------------------------
윈도위의 리눅스 윈도위의 윈도우 리눅스위의 익스플로러
일단 서버로 쓰시는
일단 서버로 쓰시는 것은 보류하시고, 인버터쪽 납땜을 시도해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안되면 그때 서버로 쓰셔도 좋을테고, 사실 그리 어려운 것은 아닙니다...
백라이트의 경우 옥션등에서 1만원 미만으로 판매하는 것이 많습니다... (새제품)
교체만 해도 되는 것들이 많아서 꽤나 잘 팔리고 있더군요...
인버터의 경우도 중고품으로나 저렴하게 나와있는것 충분히 많습니다...
따라서 수리비가 10~15만원씩이나 들지는 않지만, 손수 하셔야 한다는 ^^* (나름 재미있습니다)
구형컴퓨터는 쓸모없는 것이 아닙니다...
쓰임새를 찾지 못하고 있을뿐입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구형컴퓨터는 쓸모없는 것이 아닙니다...
쓰임새를 찾지 못하고 있을뿐입니다...
이것도 찾아보니
이것도 찾아보니 은근히 정보가 제법 나오네요. 참고하시길.
http://www.laptoprepair101.com/laptop/2007/01/31/replace-screen-inverter-fix-backlight/
P3 933MHz / 384MB / 20GB
P3 933MHz / 384MB / 20GB 하나가 남길래 웹서버로 만들었습니다.
- 램이랑 하드 좀 주우러 다녀야겠어요.
--
돼지군 작업실: 4word 64bit OS, IMPerator, SMPlayer 한국어 번역, ...
대전월평중 2 / Ubuntu Hardy / 070) 7594-3258 / 서명 변경일 2008/4/9
Real programmers /* don't */ comment their code.
If it was hard to write, it should be /* hard to */ read.
LCD 모니터 수리기
제 경우 LCD 모니터 수리였지만,
노트북 LCD 수리도 같은 방법으로 접근하실 수 있으실 것 같아 링크 남깁니다.
http://web.suapapa.net:8080/wordpress/?p=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