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료]로케일 참조 디렉토리..
글쓴이: SilverWhalle / 작성시간: 목, 2008/02/28 - 8:24오후
책에는 로케일 디렉토리가 /usr/share/locale/ko/LC_MESSAGES라고 합니다.
KLDP에선 gettext관련문서에는 /usr/local/share/locale/ko/LC_MESSAGES라고 합니다.
물론 책에선 레드햇기준인것 같습니다. 그래서 데비안을 쓰는 저에겐 위키내용이 맞는듯해 보입니다. 하지만 찾아보니 두 디렉토리다 가지고 있네요.
아무튼 시스템 로케일을 변경해도 한글만 나옵니다. 현재 일어와 한국어 두개언어로 시험해보고 있으며 한국어는
/usr/share/locale/ko/LC_MESSAGES에 넣어 두었고.. 일어는
/usr/share/locale/ja/LC_MESSAGES에 넣어 두었습니다.
그리고 나서 $export LANG=ja_JP.UTF-8로 로케일 변경했습니다. 기본은 ko_KR.UTF-8입니다. 그러고나서 실행해보니 그대로 한글로 나옵니다. 로케일 설정이 잘못된것일까요?
아니면 각 한글과 일어의 *.mo파일을 잘못된 곳에 두어서 참조를 못하는 것일까요? 한글은 잘 나오는걸 봐서 제대로 된 위치에 둔것 같습니다. 일어는 어느 디렉토리에 넣어야 제대로 참조되는 것일까요? 아니면 제가 로케일설정방법을 제대로 모르는 것입니까?
Forums:
컴파일할 때
컴파일할 때 설정하는 prefix가 무엇인지 확인 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빌드한 환경을 알 수 없다면 strace로 어떤 파일을 열려고 시도하는지 확인 하는 것이 도움 될것입니다.
strace -f -F -e trace=open 실행파일
이런 형식으로 실행 파일을 동작 시키면 실행 파일이 어떤 파일을 접근하는 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만약 strace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다면 배포판에서 제공하는 설치도구로 설치하면 됩니다.)
----
Do not feed troll!
----
데스크탑 프로그래머를 꿈꾸는 임베디드 삽질러
감사합니다.
strace 설치하고 해보니, gdm환경에선 export가 제대로 먹히지 않는것 같습니다.
ja_JP.UTF-8로 맞춰도 로케일을 한글로 인식을 하고 있어서 계속 한글쪽만 참조하네요.
콘솔에서 해보니 로케일이 제대로 적용되어서 일본어쪽을 찾아보긴 하는데, 조금 다른곳
을 열고 있군요. 이 부분은 좀더 자세히 알아봐야 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