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료]윈도우쪽 문서에서 한글 읽기가 안됩니다.
글쓴이: pamisu1 / 작성시간: 화, 2007/12/04 - 3:48오후
xubuntu 7.04 영어환경 시스템입니다.
윈도우와 파일공유를 위해서 fat32 파티션을 자료 저장공간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분투에서 마운트한 자료파티션의 한글이름 파일이나 디렉토리도 정상적으로 잘 보입니다.
그런데, 윈도쪽에서 작성한 텍스트파일을 리눅스에서 보면 내용중에 한글이 ??? 이런 식으로 나옵니다.
반면에 우분투에서 작성한 한글 텍스트 파일들은 리눅스나 윈도 양쪽에서 다 잘 보입니다.
전 주로 .txt 파일들을 기본설치된 마우스패드로 읽습니다만,
혹시나 싶어서 역시 기본설치된 아비워드란 것으로 열어도 마찬가지입니다.
아마 윈도쪽 인코딩이 달라서 그런 것 같습니다.
윈도쪽에서 작성한 문서의 한글도 잘 볼 수 있는 가벼운 텍스트 에디터로 뭐가 있을까요?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ps.
ppt 파일을 볼 수 있는 것은 없습니까?
오픈오피스로 볼 수 있다고는 하는데, 제가 할 줄 모르는지 열수가 없더라고요..
그래서 리눅스용 한글 2005로 열어보니 깨져서 열립니다.
대신 이건 .txt 파일에서 한글 잘 읽어들이네요.
하지만 그렇다고 단순히 .txt파일 열려고 오픈오피스나 한글 2005 쓰기는 너무 무겁고 느리죠.
Forums:
그렇게 가볍지는 않습니다만
jEdit(http://www.jedit.org/)는 어떤가요?
자바기반으로 동작하고 기능은 매우 좋은 편입니다.
메모장이나 텍스트기반 프로그램보다는 느리지만, 오피스 프로그램보다는 훨씬 가볍죠.
다만 jEdit도 EUC-KR 문서를 읽어들이기는 하는데 약간 옵션을 조정해줘야 제대로 보이는 것 같습니다.
vi나 emacs도 적절하게 설정만 하면 EUC-KR을 볼 수 있는 것으로 압니다만, 이 쪽을 찾아보는 것도 좋을 것 같군요.
------------------------------
How many legs does a dog have?
------------------------------
How many legs does a dog have?
마우스패드로 윈도의
마우스패드로 윈도의 텍스트를 읽으려면, Open창에서 맨 밑의 인코딩박스에서 'Auto Detect'로 된 설정을 CP949로 변경해 주면 됩니다.
gedit, jedit 등의 다른 에디터로 마찬가지로 열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마우스패드 더블클릭으로는 안되고, 일단 문서를 연 상태에서
새로열기로 열어서 파일형식을 [다른코드]로 한 뒤에
cp949를 입력한 뒤에 불러오니까 한글 잘 보이네요...
그래서 혹시나 싶어서 아비워드로 해보니 아비워드로는 어떻게 해도 한글이 안나오네요. 심지어는 리눅스 파티션에 있는 것도 한글이 이상하게 나오네요.. 기본 시스템 환경이 영어라서 그런것인가요?
그리고 한가지 더 질문 드린다면 ppt 파일을 진짜로 오픈오피스에서 열 수 있나요?
그럼 오픈오피스에서 불러올 때 어떤 포맷으로 불러와야하는지?
아무리 해도 맞지 않는 형식이라고 불러오질 못하네요.
마치 hwp 형식을 열때 오픈오피스의 hwp형식으로 포맷을 변경해봐도 안열리는 것처럼요.
왜 ppt 파일을 못읽나 했더니
저한테 깔린 건 오픈오피스 워드 프로세서 뿐이었군요.
스프레드시드도 볼 수 있기에 오픈오피스세트가 다 깔린 줄 알았더니, 스프레드시트는 지누메릭 스프레드시트 란 것이 설치되어 있네요.
그래서 오픈오피스 임프레시브란 것을 시냅틱으로 설치해 줬습니다.
이제야 제대로 ppt 파일이 잘 나옵니다.
부록으로 오픈오피스 드로잉이란 것도 따라오네요.
이걸 모르고 계속 오픈오피스로 ppt 파일이 안열린다고 헤매고 있었으니 참 ...
그런데, 이렇게 설치를 하고 보니 문서나 오피스관련해서만 해도
오픈오피스 워드, 아비워드, 한글 2005, 마우스패드, 지누메릭 스프레드시트,오픈오피스 임프레스, 오픈오피스 드로잉...
좀 낭비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