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ke.conf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1. -mcpu 옵션과 -march의 차이점이 뭔가요?
영어가 짧아서 ㅠ_ㅠ
2. FEATURES="parallel-fetch ccache" <---이 부분도 샘플을 보니 엄청 많은 내용이 있던데...이런식으로 쓰면 좋은 점이??
3. 밑에 내용은 정수님과 다른분 플래그 내용을 제가 가지고 온건데요..
저런식으로 use플래그들을 변수에 지정하고 사용하는 방법과 package.use에 따로 지정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고 검색해서 알았습니다.
변수로 사용하는 방법을 쓰는 방법을 쓴다고 했을 때 emerge gnome이라고 입력하면 자동으로 제가 설정한 플래그들 값을 찾아서 설치해주는건가요? 제 생각은 따로 다른 방법으로 입력해야 될거 같은데 개념이 안잡히네요..
OPTI="fpu vme de pse tsc msr pae mce cx8 apic sep mtrr pge mca cmov pat pse36 mmx fxsr sse syscall mp mmxext 3$
#mmx mmxext sse 3dnow 3dnowext
USE="truetype X new-login xorg xv xcomposite opengl xgl"
GNOMEUSE="gtk2 cairo glitz gnome firefox -mozilla"
KDEUSE="-qt3 -qt4 -kde"
NOTUSE="-arts -ipv6 -eds -esd -fortran"
SYSTEM="hal gamin dbus aoss threads"
IMAGEUSE="jpeg gif tiff png svg pdf"
MEDIAUSE="alsa sdl mad vidix asf win32codecs mp4 aac x264 xvid nsplugin mp3 real xine"
GENERAL="samba java bzip2 symlink sqlite spell xml python"
USE="nptl nptlonly userlocales unicode ${OPTI} ${XUSE} ${GNOMEUSE} ${KDEUSE} ${NOTUSE} ${SYSTEM} ${IMAGEUSE} $$
다음으로 package.use내용을 볼려고 했더니 etc/portage/package.use에 파일이 없더군요. 자체적으로 만들어주면 적용이 되는건가요? 그래서 package.use에 밑에 내용을 입력하여 emerge gnome이라고 실행을 하면 그놈 설치할 때 저 목록들을 모두 참고하여 설치하는 것인가요? 만약 그렇다면 다른 패키지 설치 할 때도 저 부분을 매번 주석처리하여 사용자에 맞게 설정을 하는건가요? 저의 머리로 개념 잡기 힘드네요...
흑흑 주먹구구식이 아니라 이번엔 제대로 젠투에 대한 시스템을 이해하고 싶네요!!!!
sys-libs/glibc glibc-omitfp
x11-libs/cairo glitz png svg
app-editors/vim vim-with-x
net-im/gaim msn
media-plugins/audacious-plugins mad wma
app-text/acroread nsplugin
x11-base/xorg-server aiglx
app-office/openoffice java
sys-apps/pciutils -zlib
media-video/mplayer x264 xvid win32codecs aac dts dvd quicktime mad truetype
net-www/mplayerplug-in divx wmp divx quicktime.
좋은 답변은 못
좋은 답변은 못 달아드렸지만 전에 젠투를 사용했던 관계로 올려주신 몇개의 질문은 모두 보았습니다.
젠투 핸드북을 안보고 계시다는 짐작이 듭니다. 한글 번역본이 없는 관계로 귀찮기는 하지만... 읽긴 읽어보셔야 합니다. 여태까지 질문하셨던 내용들이 핸드북에 적절하게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make.conf에서 USE 환경변수를 이용한 방법은 모든 패키지들에 적용됩니다. 그래서 패키지 개별적으로 전체 설정과는 다른 USE 설정을 하고 싶다고 할 때 package.use를 사용할 수 있겠습니다. 기본적으로는 저 파일이 없고 만드시면 됩니다.
make.conf 파일에는 없지만 젠투에서 기본적으로 셋팅한 USE 값이 있습니다. 이걸 먼저 읽어들이고 그 후에 make.conf에서 설정된 USE 설정을 읽어 들입니다. 그리고 또 package.use를 읽어 들입니다. 그리고 나서 혹시 emerge시에 USE 환경 변수를 직접 지정했다면 그것도 읽어 들입니다.
불려들여지는 순서로 나중것이 우선순위를 가지게 됩니다.
--
마잇
--
마잇
http://www.gentoo.org/doc/en/
http://www.gentoo.org/doc/en/handbook/handbook-x86.xml?part=2&chap=3
핸드북 중에서 FEATURES 설정 부분에 해당되는 내용을 설명한 부분을 링크 합니다.
제가 직접 써본건 ccache 였는데 같은 내용을 다시 컴파일 할 때를 위해서 캐쉬를 디스크에 저장해 놔서 컴파일 속도의 향상을 기대할수가 있습니다.
CCACHE_SIZE="2G"
이런식으로 캐쉬 용량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
마잇
--
마잇
다음 문서에서
다음 문서에서 인용합니다.
http://www.gentoo.org/doc/en/gcc-optimization.xml
저는 이정도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march : 다른 시피유에서는 동작하지 않는 호환성 없는 코드를 생성하지만 가장 최적화된 결과를 만들어낸다..
mtune : 하위 시피유에서도 호환성 있는 코드를 생성한다.
- 제가 젠투 사용할때까지는 gcc에 이런 옵션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적어도 젠투 문서에서는 언급하지 않았었던 걸로 기억납니다.
mcpu : 없어질 예정입니다 사용하지 마세요.
- 제가 젠투 사용할때는 이 옵션이 mtune 옵션에 해당하는 기능이었습니다. 하위 호환성을 제공하면서 최적화를 해주던... 지금은 mtune 옵션이 대신하나 봅니다.
시피유가 바뀔 가능성이 많지 않은 상황이라면. march 옵션이 무난한 선택이겠지요.
잘난척 하는것일까봐 매우 조심스럽지만,
http://www.gentoo.org/doc/en/index.xml
http://gentoo-wiki.com/
이 두군데는 북마크 해두시고 매우 자주 애용하시길 적극 추천해드립니다.
타 배포본과 차별화된 젠투에 특화된 내용이라면 젠투 핸드북에 거의 모두 다뤄지고 있고 공통적인 부분도 위의 사이트 분류에서 찾을수 있는 다양한 문서에서 '젠투의 방식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그 이후 부족한 내용들은 gentoo-wiki.com을 뒤지시면 '거의 모두' 찾으실 수 있습니다. 우분투를 사용하면서도 문제가 생길 경우 검색을 통해 찾아가다 보면 종착지는 저곳인 경우가 꽤 많습니다. 양질의 문서들을 많이 만나실 수 있습니다.
젠투는 사용자가 아는 만큼 좋은 배포본입니다. 바꿔 말하면 모를수록 힘든 배포본입니다. 문서들을 열심히 읽고 싶지 않다면 친절하지 않은 배보폰 입니다. 친절하지는 않지만 자신만의 방식대로 다루기에 가장 좋은 배포본입니다.
단순히 컴퓨터를 '사용'하고 싶다면 그다지 권하고 싶은 배포본은 아닙니다. '들여다보고' '파헤치고' 싶다면 추천하고 싶습니다.
--
마잇
--
마잇
정말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열심히 공부하겠습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