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dwifi 라는 무시무시한 이름의 무선랜 드라이버
글쓴이: imyejin / 작성시간: 일, 2007/09/23 - 6:59오전
sony vaio 랩탑에 많이 들어가는 녀석입니다.
인텔칩셋이 아닌 wifi 설치가 까다로울 거라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이름부터 무시무시하더군요. 나름대로 http://madwifi.org/ 에 나온 대로 따라 해 봤는데 안되더군요. 그냥 따라해서 한방에 되면 이름을 저렇게 붙이지도 않았겠죠. 저 프로젝트를 하는 사람들이 이제 완전한 오픈소스 드라이버를 만들기 시작했다고 하는군요.
저렇게 열심히 웹페이지를 만들어 설명을 상세히 해 놓는 것은 그만큼 한방에 설정이 성공하기가 쉽지 않다는 뜻이겠죠. 성공한 사람은 웹페이지까지 만들어서 자랑을 해 놨더군요. 설정할 문제와 변수가 한두가지가 아닌 듯 합니다.
다른건 다 금방 깔리고 vaio 화면 배경 lcd 밝기 조절하는 유틸리티까지 따로 있을 정도인데 무선랜 드라이버는 왜 이모양인지 ㅠ.ㅜ 이거 삽질하느라 밤늦게까지 잠 제대로 못 잤는데 결과는 실패입니다. 다음에 다시 해 봐야죠 에휴.
lspci 해보면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Atheros 칩셋의 miniPCI 카드인 것 같습니다.
06:00.0 Ethernet controller: Atheros Communications, Inc. Unknown device 001c (rev 01) Subsystem: AMBIT Microsystem Corp. Unknown device 0423 Control: I/O+ Mem+ BusMaster+ SpecCycle- MemWINV- VGASnoop- ParErr- Stepping- SERR- FastB2B- Status: Cap+ 66MHz- UDF- FastB2B- ParErr- DEVSEL=fast >TAbort- <TAbort- <MAbort- >SERR- <PERR- Latency: 0, Cache Line Size: 64 bytes Interrupt: pin A routed to IRQ 11 Region 0: Memory at da000000 (64-bit, non-prefetchable) [=64K] Capabilities: [40] Power Management version 2 Flags: PMEClk- DSI- D1- D2- AuxCurrent=375mA PME(D0-,D1-,D2-,D3hot-,D3cold-) Status: D0 PME-Enable- DSel=0 DScale=0 PME- Capabilities: [50] Message Signalled Interrupts: Mask- 64bit- Queue=0/0 Enable- Address: 00000000 Data: 0000 Capabilities: [60] Express Legacy Endpoint IRQ 0 Device: Supported: MaxPayload 128 bytes, PhantFunc 0, ExtTag- Device: Latency L0s <512ns, L1 <64us Device: AtnBtn- AtnInd- PwrInd- Device: Errors: Correctable- Non-Fatal- Fatal- Unsupported- Device: RlxdOrd+ ExtTag- PhantFunc- AuxPwr- NoSnoop- Device: MaxPayload 128 bytes, MaxReadReq 512 bytes Link: Supported Speed 2.5Gb/s, Width x1, ASPM L0s L1, Port 0 Link: Latency L0s <512ns, L1 <64us Link: ASPM Disabled RCB 128 bytes CommClk+ ExtSynch- Link: Speed 2.5Gb/s, Width x1 Capabilities: [90] MSI-X: Enable- Mask- TabSize=1 Vector table: BAR=0 offset=00000000 PBA: BAR=0 offset=00000000 Capabilities: [100] Advanced Error Reporting Capabilities: [140] Virtual Channel
@ 그래픽은 닥치고 엔비디아 아니면 인텔, 무선랜은 정말로 닥치고 인텔칩셋으로 흠냐. 혹시 vaio 랩탑에서 무선랜 잡아보신 분 있으면 조언 대단히 감사드리겠습니다.
Forums:
닥치고 엔비디아,
닥치고 엔비디아, 인텔 ...
깊이 공감합니다. 놋북 유저로서... ㅜㅜ
저는 Dell Inspiron 1501 쓰는데 이거 우분투 페이스티(7.04)에서는 무선랜 제대로 지원 안되서 ndiswrapper로 따로 설치해서 썼는데 것시(gutsy, 7.10)에서는 펌웨어인가를 인터넷 어디선가 사르르 다운받아서 자동으로 설치가 되네요. 물론 위법이 될 수 있다는 경고와 함께... 커널 자체에서 지원하는 것 보다야 훨 불편하지만 그나만 클릭 몇 번 해주면 알아서 설치가 되니 감사할 따름이네요.
부디 mad되지 않게 잘 잡히기를...
--
마잇
--
마잇
얼마전에 madwifi
얼마전에 madwifi 프로젝트가 ath5k 드라이버로 편입된다는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http://kerneltrap.org/Linux/MadWifi_Switches_Focus_to_ath5k
----
Do not feed troll!
----
데스크탑 프로그래머를 꿈꾸는 임베디드 삽질러
아 드디어 성공했습니다 ㅠ.ㅜ
http://madwifi.org/wiki/UserDocs/FirstTimeHowTo
를 기본으로 하여
http://madwifi.org/wiki/UserDocs/Distro
에서 저의 배포판인 데비안에서 시키는 대로 한 뒤에
http://madwifi.org/wiki/UserDocs/MiniPCI
요것을 약간 참고했습니다.
이제 이걸 좀더 자동화할 방법을 생각해 봐야겠습니다.
현재 상태로는 부팅한 루트로 FirstTimeHowTo 에 나온 한 명령어 3라인은 쳐 넣고 나서야 wlassistant 를 띄워서 겨우 AP를 검색할 수 있으니 아직까진 대략 난감합니다만 그래도 AP를 찾는다는 데 일단 만족.
[예진아씨 피카사 웹앨범] 임예진 팬클럽 ♡예진아씨♡ http://cafe.daum.net/imyejin
조낸 쉽던데....
조낸 쉽던데.... -_-?
그냥 모듈 올리고... 아, 혹시 콘솔에서 하는 거라면 귀찮긴 합니다.
AP를 고르기 위해 설정 파일을 완전히 이해해야 하는 것 같던데...
그냥 X에서 network-manager로 쓰고 있습니다.
혹시 모르죠. 어떤 시간이 너무 남아 돌아 고민인 용자가 빠삭하게
WPA 기반 wireless 설정법을 블로그에다 올릴지.
---------------------------------------------------------------------------------------------------------------------------------------------

그 네트웍 매니저든
그 네트웍 매니저든 뭐든 띄우기 전 작업을 수동으로 해줘야 되는 거라니까요.
잘못 짚으신 것 같네요. 그 후의 일이야 조낸 쉬운 거는 누구나 다 압니다.
네트웍 매니저가 아직 ifconfig 에도 안잡히는 디바이스를 저절로 pci 버스에서 찾아 주진 않는답니다.
@ 일단 디바이스만 제대로 잡히면 WPA 기반 설정도 wlassistant 를 쓰면 조낸 쉽게 된답니다.
[예진아씨 피카사 웹앨범] 임예진 팬클럽 ♡예진아씨♡ http://cafe.daum.net/imyejin
그러게요
그러게요 networkmanger에서 잡히면 다 잡힌건데요.
제 칩셋도 우분투 페이스티에서는 바로 지원 안되더니 것시(gutsy)부터는 펌웨어를 인터넷 어디선가 받아오는 방식으로(restrict-manager) 자동 지원 되더군요.
미래를 바라보며 희망을 가지시길 -_-
--
마잇
--
마잇
삽질도 두번째
삽질도 두번째 하니까 좀더 쉬워지는군요.
다시 지우고 처음부터 다시 시키는 대로 하나하나 따라 하니까 잘 되네요.
자동으로 부팅할 때 디바이스도 잡히게 되었습니다 -_-;
[예진아씨 피카사 웹앨범] 임예진 팬클럽 ♡예진아씨♡ http://cafe.daum.net/imyejin
댓글 달기